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영화속으로 : 작가·장르·스타일

영화속으로 : 작가·장르·스타일 (5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편장완
서명 / 저자사항
영화속으로 : 작가·장르·스타일 / 편장완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2018   (2020 3쇄)  
형태사항
324 p. : 삽화 ; 20 cm
총서사항
고려대학교핵심교양 ;4
ISBN
9788976419507 9788976419071 (세트)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36260
005 20211230111712
007 ta
008 180322s2018 ulka AC 000c kor
020 ▼a 9788976419507 ▼g 04680
020 1 ▼a 9788976419071 (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791.4309 ▼2 23
085 ▼a 791.4309 ▼2 DDCK
090 ▼a 791.4309 ▼b 2018
100 1 ▼a 편장완 ▼0 AUTH(211009)115330
245 1 0 ▼a 영화속으로 : ▼b 작가·장르·스타일 / ▼d 편장완
246 1 1 ▼a Into film : ▼b authorship, genre, style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c 2018 ▼g (2020 3쇄)
300 ▼a 324 p. : ▼b 삽화 ; ▼c 20 cm
440 0 0 ▼a 고려대학교핵심교양 ; ▼v 4
536 ▼a 이 저술은 고려대학교 기초교육원과 출판문화원의 집필지원을 받아 저술됨
900 1 0 ▼a Pyeon, Jang-wan, ▼e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91.4309 2018 등록번호 111830217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0-04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91.4309 2018 등록번호 51105173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91.4309 2018 등록번호 12125376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91.4309 2018 등록번호 521004507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0-06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91.4309 2018 등록번호 111830217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0-04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91.4309 2018 등록번호 51105173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91.4309 2018 등록번호 12125376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91.4309 2018 등록번호 521004507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0-06 예약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영화는 예술, 오락, 산업, 과학이라는 복합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사상과 감성을 동시에 전달하는 표현매체이다. 영화라는 매체에 관한 체계적 이해를 위한 입문의 과정으로 독자들을 안내하는 책이다. 특히, 음악, 미술, 연극 등의 예술 매체가 주는 미적 체험을 영화는 어떠한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영화는 예술, 오락, 산업, 과학이라는 복합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사상과 감성을 동시에 전달하는 표현매체이다. 단순한 유희의 차원을 넘어 영화를 바라보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영화 언어, 영화사, 영화 장르 등에 관한 기본적인 습득의 과정이 필요하다. 이 책은 영화라는 매체에 관한 체계적 이해를 위한 입문의 과정으로 독자들을 안내하고자 한다. 특히, 음악, 미술, 연극 등의 예술 매체가 주는 미적 체험을 영화는 어떠한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는가에 흥미를 지닌 독자에게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편장완(지은이)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뉴욕대학교 예술대학원 영화학과와 한국영화아카데미를 졸업하였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장,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장,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수석프로그래머를 역임하였다. 저서는 《편집을 알면 영화가 보인다?현대 할리우드 영화의 편집 분석》, 역서는 《일본영화 다시 보기》, 논문은 〈셰익스피어 희곡의 영화화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장편 극영화 〈여름, 속삭임〉 〈그림자〉를 제작하기도 했다. 한국일보를 비롯한 여러 매체에 영화평을 기고하였으며, 〈시네마 천국〉의 방송 대본과 〈영화 노트〉의 방송 진행을 맡기도 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에서 〈내러티브 워크숍〉 〈국제공동제작 워크숍〉 〈영화연출 분석〉 등을, 고려대학교에서 〈어떻게 영화를 읽을 것인가〉를 강의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1장 영화의 탄생과 초창기 영화 
-뤼미에르 형제에서 D. W. 그리피스까지 
1-1 영화 이전의 영화 
1-2 뤼미에르 형제와 시네마토그래프 
1-3 조르주 멜리에스와 <달세계 여행> 
1-4 토머스 에디슨과 키네토스코프 
1-5 에드윈 S. 포터와 <대열차 강도> 
1-6 D. W. 그리피스와 <국가의 탄생>, <불관용> 

2장 시점 숏을 이용한 주관적 편집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과 브라이언 드 팔마 감독 
2-1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 서스펜스의 대가 
2-2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의 주관적 편집 
2-3 브라이언 드 팔마 감독: 알프레드 히치콕의 수제자 

3장 러시아 몽타주의 창시자 
- 세르게이 미하일로비치 에이젠슈테인 감독과 프세볼로트 푸돕킨 감독 
3-1 세르게이 미하일로비치 에이젠슈테인 감독: 충돌 몽타주 
3-2 프세볼로트 푸돕킨 감독: 연결 몽타주 

4장 <전함 포템킨>과 <언터처블>의 계단 장면 스타일 비교 분석 
4-1 몽타주의 활용 
4-2 주관적 편집과 사운드의 사용 
4-3 카메라 포지션, 카메라 앵글, 카메라 움직임 

5장 미장센 영화 언어와 오슨 웰스 감독의 <시민 케인> 
5-1 미장센 영화 언어의 방법과 목적 
5-2 오슨 웰스 감독의 <시민 케인> 
5-3 오슨 웰스 감독의 작품 

6장 연극에서 영화로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거미의 성>, <란> 
6-1 <거미의 성> 
6-2 <란> 

7장 사실주의와 표현주의 영화 언어의 통합과 확장 
-스탠리 큐브릭 감독 
7-1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작품 세계와 영화 언어 
7-2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미래 삼부작: <닥터 스트레인지러브>,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시계태엽 오렌지> 
7-3 테크놀로지의 마술사: <배리 린든>, <샤이닝> 

8장 공상과학(Science Fiction) 영화 -테크놀로지의 상상력 

9장 공포 영화의 묵시록 
-웨스 크레이븐 감독과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감독 
9-1 공포 영화에 관한 이론 
9-2 공포 영화의 궁극적 목적 
9-3 웨스 크레이븐 감독의 공포 영화 
9-4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감독의 공포 영화 

10장 누벨바그와 작가주의 
10-1 누벨바그의 탄생 배경과 특징 
10-2 《카예 뒤 시네마》와 작가주의 
10-3 누벨바그 감독의 영화 

11장 장 뤽 고다르 감독 -형식의 메시지 
11-1 장 뤽 고다르 감독 영화의 특징 
11-2 고다르의 영화 미학과 브레히트의 서사극 
11-3 고다르 감독의 <네 멋대로 해라>, <비브르 사 비>, <주말>, <만사형통> 

12장 짐 자무시 감독 -장 뤽 고다르와 낯선 곳으로의 여행 

13장 이탈리안 뉴 시네마의 영화 작가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감독과 페데리코 펠리니 감독 
13-1 네오리얼리즘과 이탈리안 뉴 시네마 
13-2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감독 200 
13-3 페데리코 펠리니 감독의 영화 세계와 작품 

14장 아메리칸 뉴 시네마 -예술성과 대중성의 조화 
14-1 아메리칸 뉴 시네마의 탄생 배경과 특징 
14-2 아메리칸 뉴 시네마의 작품 

15장 서부극 -황야를 떠도는 전설 
15-1 서부극 탄생과 성장 배경 
15-2 고전적 서부극과 존 포드 감독 
15-3 심리적 서부극과 전문가 서부극 

16장 할리우드 갱스터 영화와 필름 누아르 
16-1 고전적 할리우드 갱스터 영화 
16-2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의 <대부>, <대부 2>와 <지옥의 묵시록> 
16-3 필름 누아르의 정의와 특징 
16-4 고전적 필름 누아르 영화 
16-5 고전적 필름 누아르 영화의 쇠퇴와 유산 
16-6 네오 누아르: 필름 누아르의 재등장 

17장 고전적 할리우드 갱스터 영화와 필름 누아르의 현대적 수용과 해석 
17-1 폴 버호벤 감독의 <원초적 본능> 
17-2 <좋은 친구들>과 <저수지의 개들> 

18장 코엔 형제 ―관습을 거부하는 인디영화 작가 

19장 왕가위 감독 ―홍콩 영화의 모더니스트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