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35644 | |
005 | 20180315182556 | |
007 | ta | |
008 | 180315s2018 ulka b 001c kor | |
020 | ▼a 9791162441404 ▼g 937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411 ▼2 23 |
085 | ▼a 411 ▼2 DDCK | |
090 | ▼a 411 ▼b 2018 | |
100 | 1 | ▼a Rogers, Henry, ▼d 1940- ▼0 AUTH(211009)90317 |
245 | 2 0 | ▼a (언어학으로 풀어 본) 문자의 세계 / ▼d 헨리 로저스 지음 ; ▼e 이용 외 옮김 |
246 | 1 9 | ▼a Writing systems : ▼b a linguistic approach |
260 | ▼a 서울 : ▼b 역락, ▼c 2018 | |
300 | ▼a xxvii, 439 p. : ▼b 삽화 ; ▼c 26 cm | |
500 | ▼a 기획: 국립한글박물관 | |
500 | ▼a 공역자: 김성주, 김양진, 김유범, 박진호, 안대현, 황선엽, 고은숙 | |
500 | ▼a 부록: A. 언어학 기초 용어 몇 가지, B. 국제음성기호, C. 영어 전사 외 | |
500 | ▼a 참고문헌(p. 419-429)과 색인수록 | |
650 | 0 | ▼a Writing |
650 | 0 | ▼a Writing ▼x History |
650 | 0 | ▼a Graphemics |
700 | 1 | ▼a 이용, ▼e 역 ▼0 AUTH(211009)115723 |
700 | 1 | ▼a 김성주, ▼e 저 ▼0 AUTH(211009)98924 |
700 | 1 | ▼a 김양진, ▼e 저 ▼0 AUTH(211009)818 |
700 | 1 | ▼a 김유범, ▼e 저 ▼0 AUTH(211009)126978 |
700 | 1 | ▼a 박진호, ▼e 저 ▼0 AUTH(211009)66214 |
700 | 1 | ▼a 안대현, ▼e 저 ▼0 AUTH(211009)60419 |
700 | 1 | ▼a 황선엽, ▼e 저 ▼0 AUTH(211009)9914 |
700 | 1 | ▼a 고은숙, ▼e 저 |
900 | 1 0 | ▼a 로저스, 헨리,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11 2018 | 등록번호 111787796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13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문자의 발전 과정에서 언어가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현재에 사용하는 문자부터 이미 사라진 문자까지 폭넓게 다루고 있다. 문자에 대해 첫발을 내딛는 독자들을 위하여 원문에 있는 어려운 개념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덧붙였고, 일부 동양 문자에 대한 잘못된 점에 대해서는 각주에서 보완하여 설명되어있다.
문자는 어떤 목적과 원리로 만들어 지는가
한글은 『훈민정음』(해례본)이라는 해설서가 존재하여 누가, 왜, 어떤 원리로 이러한 문자를 만들었는지를 잘 알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지구상에서 만들어져 사용되고 있는 많은 문자들은 한글처럼 자세하게 문자를 만든 목적과 원리가 밝혀져 있지 않다. 그래서 세계의 언어와 문자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한글의 이러한 점을 매우 높이 평가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는 한글을 사랑하고 한글이 훌륭하다는 자랑을 하면서도 한글이 세계 문자 속에서 어떤 위치에 있는 문자인지, 어떤 부분이 체계적이고 자랑스러운 것인지 잘 알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한글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계 문자의 흐름을 알고 다른 문자와 비교를 해보아야만 한글의 위치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에 발간된 『언어학으로 풀어 본 문자의 세계』는 문자의 발전 과정에서 언어가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현재에 사용하는 문자부터 이미 사라진 문자까지 폭넓게 다루고 있다. 문자에 대해 첫발을 내딛는 독자들을 위하여 원문에 있는 어려운 개념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덧붙였고, 일부 동양 문자에 대한 잘못된 점에 대해서는 각주에서 보완하여 설명되어있다.
문자를 언어와 언어학의 관점에서 설명
이 책에서는 세계의 다양한 문자를 지역별로 나누어 소개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문자의 기본 개념(1, 2장)을 살펴본 뒤에, 문자에 대해서 '동양 지역(3, 4장) - 중동 지역(5, 6, 7장) - 유럽 지역(8, 9, 10장) - 인도 및 서남아시아 지역(11장) - 메소아메리카 지역(12장) - 기타 문자 - 문자 분류'의 순으로 배열하고 정리하였다.
이 책의 설명 방식이 가진 장점은 문자를 언어와 언어학의 관점에서 잘 설명하고 있다는 점이다. 가장 오래된 문자가 발명되고 차용과 자극 확산에 의해 전파되고 확산되는 과정에 언어가 어떻게 관여되어 있는지를 중심으로 논의를 이끌어가고 있다. 이처럼 언어가 관련된 지점에서 요소요소 저자가 지닌 언어학지식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독자의 입장에서는 문자의 발전 과정에서 언어라는 변수가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책을 읽어나간다면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본다.
우리가 가지고 있던 문자적 전통이 이 책에서 설명하고 있는 차용 또는 자극 확산과 어떤 관련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일은 매우 흥미로운 작업이 될 것이다. 이 책의 분류에 따르면 차자표기의 전통이야 누가 보아도 차용과 관련지어야 하지만, 훈민정음은 어떻게 판단해야 할지가 망설여진다. 이 점이 한글이 문자사에서 지니는 독특성 내지는 매력이 발현되는 지점이 아닌가 한다. 차자표기는 다른 문자에서도 유사한 문자 운용이 보이는데 이 점에 관심을 갖고 읽어나간다면 이 책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각 지역의 문자 설명은 먼저 발명된 문자를 제시하고 이 문자가 차용 또는 자극에 의해 전파되고 확산되는 순서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언어의 특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주요 문자가 제시될 때는 언어적 특성에 관한 설명이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책을 읽는 과정에서 이 점에 유의하여 문자와 언어 간의 상관관계에 주의를 기울인다면 보다더 효율적으로 이 책에 접근할 수 있으리라 보인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발간사 ⅶ 역자 머리말 ⅸ 감사의 말 ⅹⅹⅵ 연대 표기상의 주의점 ⅹⅹⅶ 1. 개관 ...................................................................1 1.1. 문자의 중요성 1 1.2. 문자의 정의 2 1.3. 문자의 양상 6 1.4. 더 읽을 거리 11 1.5. 용어 11 연습 문제 12 2. 이론적 기초 ....................................................... 13 2.1. 내적 구조 13 2.2. 음성 언어와의 관계 18 2.3. 양층언어현상 24 2.4. 더 읽을 거리 25 2.5. 용어 26 연습 문제 27 3. 중국 문자 ......................................... 29 3.1. 배경, 역사와 사회언어학적 이해 29 3.2. 현대 표준 중국어의 음운 체계 36 3.3. 중국어와 한자의 관계 38 3.4. 중국 한자의 기원과 구조 44 3.5. 중국 한자의 구조 56 3.6. 중국어의 한자는 몇 개인가? 62 3.7. 최근의 개혁 64 3.8. 더 읽을 거리 67 3.9. 용어 67 연습 문제 69 4. 일본어, 한국어, 베트남어 ....................................... 71 4.1. 일본어 71 4.2. 한국어 95 4.3. 베트남어 104 4.4. 더 읽을 거리 108 4.5. 용어 109 연습 문제 110 5. 설형 문자 .........................................................113 5.1. 배경과 역사 113 5.2. 물표와 문자의 발명 116 5.3. 서사 재료들 119 5.4. 설형 문자의 사회적 맥락 122 5.5. 우루크에서 나온 초기 수메르 점토판 122 5.6. 설형 문자의 내부 구조 125 5.7. 설형 문자 텍스트의 예 129 5.8. 또 다른 설형 문자 체계 130 5.9. 더 읽을 거리 134 5.10. 용어 134 연습 문제 135 6. 이집트 문자 ......................................................137 6.1. 어족 137 6.2. 배경과 역사 138 6.3. 고대 이집트어의 음운 체계 140 6.4. 이집트 문자의 기원 141 6.5. 서체(書體) 141 6.6. 문자의 사회적 맥락 143 6.7. 이집트 문자의 구조 145 6.8. 텍스트의 예 155 6.9. 해독 156 6.10. 더 읽을 거리 157 6.11. 용어 157 연습 문제 158 7. 셈 문자 ............................................................159 7.1. 셈어족 159 7.2. 셈 압자드의 기원 162 7.3. 셈 압자드의 발달 165 7.4. 히브리 문자 172 7.5. 아랍 문자 181 7.6. 에티오피아 아부기다 189 7.7. 압자드의 특수성 192 7.8. 더 읽을 거리 194 7.9. 용어 194 연습 문제 196 8. 그리스 알파벳 ....................................................199 8.1. 배경과 역사 199 8.2. 알파벳 이전의 그리스 문자 202 8.3. 그리스 알파벳의 발달 209 8.4. 압자드에서 알파벳으로 212 8.5. 그리스어에서의 언어와 문자의 관계 219 8.6. 그리스 문자에서 변형된 문자 221 8.8. 용어 229 연습 문제 230 9. 로마 알파벳 ......................................................231 9.1. 그리스로부터 이탈리아로 231 9.2. 에트루리아어 231 9.3. 라틴어 234 9.4. 로마 알파벳 235 9.5. 로마 문자의 사례 237 9.6. 로마 알파벳의 그 후의 역사 239 9.7. 표기법의 깊이: 두 가지 사례 241 9.8. 더 읽을 거리 246 9.9. 용어 247 연습 문제 248 10. 영어 ..............................................................251 10.1. 배경과 역사 251 10.2. 고대 영어 254 10.3. 중세 영어 257 10.4. 근대 영어 258 10.5. 철자법과 음 변화 264 10.6. 철자 개혁 265 10.7. 더 읽을 거리 269 10.8. 용어 269 연습 문제 270 11. 인도의 아부기다와 아시아의 다른 표음 문자 .....................................271 11.1. 배경과 역사 271 11.2. 인더스 계곡 문자 273 11.3. 브라흐미 문자와 카로슈티 문자 277 11.4. 산스크리트어에 적용된 데바나가리 문자 291 11.5. 동남아시아 문자 300 11.6. 티베트 아부기다 303 11.7. 파스파 문자 308 11.8. 몽골과 만주의 문자 309 11.9. 더 읽을 거리 312 11.10. 용어 312 연습 문제 313 12. 마야 문자 ........................................................315 12.1. 배경 및 역사 315 12.2. 마야 문자 체계의 구조 318 12.3. 마야력 322 12.4. 텍스트의 예 327 12.5. 더 읽을 거리 332 12.6. 용어 332 연습 문제 333 13. 그 밖의 문자 체계 ..............................................335 13.1. 체로키 문자 335 13.2. 크리 문자 338 13.3. 이누이트 문자 343 13.4. 룬 문자 345 13.5. 오검 문자 350 13.6. 파하우 몽 문자 353 13.7. 블리스 심벌 356 13.8. 더 읽을 거리 363 13.9. 용어 363 연습 문제 364 14. 문자 체계의 분류 ..............................................365 14.1. 음성 문자, 의미 문자, 언어 문자 365 14.2. 언어 문자 체계 369 14.3. 주의: 형태소 표시의 정도와 표기법의 깊이 373 14.4. 겔브의 단선적인 발달 이론 374 14.5. 음절 대 모라 375 14.6. 자질 문자 체계로서의 한글 376 14.7. 결론 377 14.8. 더 읽을 거리 378 14.9. 용어 379 부록 A 언어학 기초 용어 몇 가지 부록 B 국제음성기호 부록 C 영어 전사 부록 D 용어 해설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