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35628 | |
005 | 20180315164320 | |
007 | ta | |
008 | 180315s2014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99702396 ▼g 0318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616.85/844509 ▼2 23 |
085 | ▼a 616.858445 ▼2 DDCK | |
090 | ▼a 616.858445 ▼b 2014 | |
100 | 1 | ▼a Shneidman, Edwin S. ▼0 AUTH(211009)82675 |
245 | 2 0 | ▼a (에드윈 슈나이드먼 박사의) 심리부검 인터뷰 / ▼d Edwin S. Shneidman 저 ; ▼e 조용범 역 |
246 | 1 9 | ▼a Autopsy of a suicidal mind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14 | |
300 | ▼a 291 p. ; ▼c 23 cm | |
500 | ▼a 부록: 아서의 자살유서 | |
504 | ▼a 참고문헌(p. 285-288)과 색인수록 | |
650 | 0 | ▼a Suicide ▼v Case studies |
650 | 0 | ▼a Psychological autopsy |
700 | 1 | ▼a 조용범, ▼e 역 ▼0 AUTH(211009)55927 |
900 | 1 0 | ▼a 슈나이드먼, 에드윈,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16.858445 2014 | Accession No. 11178777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16.858445 2014 | Accession No. 11178796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16.858445 2014 | Accession No. 11180779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슈나이드먼 박사는 현대에 들어 자살예방학의 선구자라고 불리는 분이다. 박사의 자살에 대한 연구는 죽음에 대한 무기력한 연구가 아니었다. 오히려 인간 존재에 대한 적극적인 이해와 삶을 조명하려는 통찰력 있는 생생한 연구였다. 그는 결코 인간의 자살의 원인을 단순히 생물학적 원인이나 심리학적, 정신병리적 원인, 혹은 환경적 원인만으로 환원시킬 수 없으며, 인간의 실존을 규정하는 다면적인 원인에 의해서만 이해되고 규명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지금도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상식으로 수용되고 있다. 바로 이렇게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인간의 자살행동이 나타나기 때문에 그만큼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이 문제를 같이 고민하고 예방을 위해 공동의 노력을 해 나가야만 하는 것이다.
이 책은 슈나이드먼 박사의 마지막 저서이며 그의 학술적 지인들의 지혜와 학식을 담고 있다. 변호사이며 의사였던 아서의 죽음에 대한 심리학적 부검을 통해 우리는 아서의 실존을 감싸고 있는 다면적인 자살위험 요인에 대해 알게 되고, 또 어떻게 하면 아서를 구할 수 있었을까 깊이 있게 생각하게 만든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 책은 한 사람의 삶을 철저하게 분석함으로써 우리 인간의 삶과 존재와 가치에 대해서, 그리고 인간의 고통에 대해서 공부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에드윈 슈나이드먼(지은이)
미국의 심리학자이며, 현대 자살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1918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에서 태어난 에드윈 슈나이드먼은 UCLA에서 심리학을 전공하고 서던캘리포니아대학에서 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병원에 근무하면서 자살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어 로버트 리트먼, 노먼 파버로와 함께 로스앤젤레스 자살예방센터를 설립해 24시간 상담 서비스를 운영했다. 1966년 미국 국립정신건강연구소(NIMH)의 요청으로 자살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했으며, 1968년 미국자살학회를 조직하고, 1971년 자살학 분야의 전문 학술지인 《자살과 생명위협행동(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을 창간했다. 1970년부터 UCLA의 교수로 일하기도 했던 그는 2009년 향년 91세로 생을 마쳤다. 에드윈 슈나이드먼은 심리부검, 정신통 등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면서 현대 자살학의 이론적 토대를 세우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자살 위험군에 대한 면담과 자살 예방 프로그램 등을 통해 임상 현장에서도 많은 업적을 남겼다. 주요 저서로는 『자살의 단서(Clues to Suicide)』(공저), 『자살의 정의(Definition of Suicide)』, 『정신통으로서의 자살(Suicide as Psychache)』, 『자살하려는 마음(The Suicidal Mind)』, 『에드윈 슈나이드먼 박사의 심리부검 인터뷰(Autopsy of a Suicidal Mind)』 등이 있다.
조용범(옮긴이)
미국 뉴욕 주 심리학자, 더 트리 그룹 대표. University of Utah를 졸업하고, 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에서 임상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8년부터 뉴욕의 The Zucker Hillside Hospital/Long Island Jewish Medical Center에서 본격적인 DBT 임상 수련을 받았다. 그는 2002년부터 한국인과 아시아계를 중심으로 감정조절장애와 경계선 성격장애, 화병 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에게 처음으로 DBT를 적용하였으며, 같은 병원에 ‘Asian American Family Clinic’을 오픈했다. 다양한 문화권의 내담자에게 심리치료로 도움을 준 그의 활동이 뉴욕타임즈 및 다양한 언론 매체에 소개되기도 했다. 한국에서 ‘더 트리 그룹’을 설립하여 DBT(다이어렉티컬 행동치료)와 PE(지속노출치료) 및 행동치료 등 과학적 근거를 갖춘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2007년에는 한국 DBT 센터(Dialectical Behavior Center)를 마샤 리네한 박사와 시애틀 DBT 전문가 팀의 도움으로 설립하였고, 2008년에 리네한 박사를 초청하여 DBT 전문가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이후 뜻있는 전문가들과 함께 고통받고 있는 성인 내담자와 청소년 및 부모와 가족들에게 DBT 치료를 하고 있으며 다양한 언어권의 내담자들과 트라우마 피해자들의 심리적 고통을 경감시키기 위한 치료와 봉사,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다.

Table of Contents
역자 서문 주디 콜린스의 서문 저자 서문 01 심리부검의 시작 02 자살유서에 대하여 03 몰튼 실버만 박사의 자문 04 어머니와의 심리부검 인터뷰 05 심리부검의 기본 06 아버지와의 심리부검 인터뷰 07 로버트 리트만 박사의 자문 08 제롬 모토 박사의 자문 09 노먼 파베로 박사의 자문 10 형과의 심리부검 인터뷰 11 여동생과의 심리부검 인터뷰 12 존 말츠버거 박사의 자문 13 친구와의 심리부검 인터뷰 14 로널드 마리스 박사의 자문 15 전 부인과의 심리부검 인터뷰 16 여자 친구와의 심리부검 인터뷰 17 심리치료사와의 심리부검 인터뷰 18 데이비드 루드 박사의 자문 19 정신과 의사와의 심리부검 인터뷰 20 애버리 와이즈만 박사의 자문 21 아서의 어머니에게 보내는 편지 부록 - 아서의 자살유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