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야생화를 찾아서 : 박강수 시집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강수
서명 / 저자사항
야생화를 찾아서 : 박강수 시집 / 박강수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북랩,   2018  
형태사항
137 p. : 삽화 ; 21 cm
ISBN
9791159879937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35474
005 20190311140241
007 ta
008 180313s2018 ulka 000cp kor
020 ▼a 9791159879937 ▼g 03810
035 ▼a (KERIS)BIB000014777001
040 ▼a 222003 ▼c 222003 ▼d 211009
082 0 4 ▼a 895.715 ▼2 23
085 ▼a 897.17 ▼2 DDCK
090 ▼a 897.17 ▼b 박강수 야
100 1 ▼a 박강수
245 1 0 ▼a 야생화를 찾아서 : ▼b 박강수 시집 / ▼d 박강수 지음
260 ▼a 서울 : ▼b 북랩, ▼c 2018
300 ▼a 137 p. : ▼b 삽화 ; ▼c 21 cm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97.17 박강수 야 등록번호 15134108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박강수 시집. 에피소드 1 '야생화향을 찾아', 에피소드 2 '교직 생활의 추억', 에피소드 3 '자연과 가족사랑'으로 구성되었다.

천직을 내려놓고 인생의 황혼녘에 드니 들꽃조차 새롭다!
길가에 외로이 핀 야생화 한 송이에서 맡는 인생의 향기


한 뿌리에서 자라나 꽃이 먼저
줄기가 올라와서 꽃이 피고
나중에 잎이 돋아나는 상사화
전생에 무슨 잘못을 하여
서로 함께 돋아 푸른 잎이 자라고
예쁜 꽃이 피며 의좋게 함께 살지 못하나
하늘의 별 직녀와 견우처럼
너희도 서로를 그리워하고 생각하며
평생을 살아야 하기에
상사화라 일컫고 이름 지었나
우리나라가 원산지이며 관상용으로 자라왔지
꽃은 팔월부터 구월에 피고
네 송이에서 여덟 송이가 피나 나중에 갈라지며
암술 하나 올라와 씨방은 있으나
씨를 맺지 못한다
- 시 ‘상서화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박강수(지은이)

시인의 이름은 박강수이다. 전남 장흥의 시골 농촌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자연에서 생활하며 자랐고, 가난 때문에 광주교육대학에 입학하여 일찍 교단에 발을 들여놓아 38년간 젊음을 다 바쳐 경기도의 여러 학교를 전전하며 어린 꿈나무 교육을 위해 헌신해 오다가 2014년 8월 말에 퇴직하였다. 교직 생활을 하면서도 틈틈이 펜을 들어 시를 쓰다가 퇴직 이후, 육십 끝자락에 본격적으로 시를 썼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Prologue = 5 
episode Ⅰ. 야생화향을 찾아 
 상사화 = 12 
 코스모스 = 14 
 연꽃 = 16 
 들꽃 같은 당신 = 18 
 야생화 얘기 = 20 
 산수유 = 22 
 제비꽃 = 24 
 찔레꽃 = 26 
 봉선화 = 28 
 갈대 = 30 
 냉이꽃 = 32 
 매화 = 34 
 두릅순 = 36 
 들국화 = 38 
 맨드라미 = 40 
 진달래 추억 = 42 
 백일홍 = 44 
 동백꽃 추억 = 46 
 유채꽃 = 48 
 할미꽃 = 50 
 도라지꽃 = 52 
 백합 = 54 
 무궁화 소원 = 56 
 사찰에 핀 매화 = 58 
episode Ⅱ. 교직 생활의 추억 
 하굣길 풍경 = 62 
 소금처럼 살자 = 64 
 별 이야기 = 66 
 교사의 바람 = 68 
 명예퇴임을 하면서 = 70 
 네팔 여행의 추억 = 72 
 비무장지대 나는 새 = 76 
episode Ⅲ. 자연과 가족사랑 
 내 고향 = 80 
 대나무밭의 추억 = 82 
 봄비 = 84 
 늦가을 시골풍경 = 86 
 운악산의 가을 = 88 
 풀잎 노래 = 90 
 가을의 한낮 = 92 
 꽃과 벌 = 94 
 바람의 노래 = 96 
 고향 시냇가 = 98 
 슬픈 매미 = 100 
 눈 내린 아침 = 102 
 섣달 그믐날 = 104 
 눈꽃 = 106 
 만추(晩秋) = 108 
 일출(日出) = 110 
 고사리 = 112 
 남해 바다 = 114 
 비둘기의 슬픔 = 116 
 물 여행 = 118 
 취 = 121 
 달래 = 122 
 보리 서리 = 124 
 쑥 캐는 추억 = 126 
 녹차를 마시며 = 128 
 소중한 두 아이 = 130 
 다래 따먹기 = 132 
 등산객 행렬 = 134 
 연탄과 김장 = 136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