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35103 | |
005 | 20180605094454 | |
007 | ta | |
008 | 180313s2018 ulkad b 000c kor | |
020 | ▼a 9791129003317 ▼g 93680 | |
035 | ▼a (KERIS)BIB000014760956 | |
040 | ▼a 211023 ▼c 211023 ▼d 211009 | |
082 | 0 4 | ▼a 005.74 ▼2 23 |
085 | ▼a 005.74 ▼2 DDCK | |
090 | ▼a 005.74 ▼b 2018z1 | |
110 | ▼a 한국문화정보원 | |
245 | 1 0 | ▼a 문화분야 빅데이터 추진체계 수립 연구 = ▼x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system of the big data in Korean cultural sector / ▼d 한국문화정보원 지음 |
260 | ▼a 서울 : ▼b 진한엠앤비, ▼c 2018 | |
300 | ▼a 230 p. : ▼b 삽화, 도표 ; ▼c 26 cm | |
500 | ▼a 부록: 1.문화분야 빅데이터 거버넌스 과제 실행계획, 2. 문화분야 빅데이터 수집기반 과제 실행계획, 3. 한국문화정보원 주도 서비스 과제 실행계획 | |
504 | ▼a 참고문헌: p. 203-206 | |
700 | 1 | ▼a 김범환, ▼e 저 |
700 | 1 | ▼a 임종덕, ▼e 저 |
700 | 1 | ▼a 홍일유, ▼e 저 |
700 | 1 | ▼a 하정필, ▼e 저 |
700 | 1 | ▼a 신종섭, ▼e 저 |
700 | 1 | ▼a 최정실, ▼e 저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 | 청구기호 005.74 2018 z1 | 등록번호 15134071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목차
I.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2. 현황 및 문제점
3.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제3절 연구추진 프로세스
1. 연구추진 프로세스
2. 연구 기대효과
II. 빅데이터 현황 및 사례
제1절 해외 빅데이터 현황 및 사례
1. 빅데이터를 통한 미래예측
2. 빅데이터를 통한 위험관리
3. 빅데이터를 통한 경쟁력 강화
4. 빅데이터를 통한 신가치 창출
제2절 국내 빅데이터 현황 및 사례
1. 국내 빅데이터 추진조직 현황
2. 국내 빅데이터 활용사업 현황
제3절 문화분야 빅데이터 현황 및 사례
1. 문화분야 빅데이터 활용사업 현황
2. 문화체육부 빅데이터 현황 및 사례
3. 지방자치단체 문화분야 빅데이터 현황 및 사례
III. 빅데이터 거버넌스 체계
제1절 문화분야 빅데이터 거버넌스 체계
1. 빅데이터 거버넌스 개념 및 중요성
2. 문화분야 빅데이터 거버넌스 체계
제2절 빅데이터 거버넌스 단계별 발전방안
1. 빅데이터 거버넌스 성숙모델
2. 문화분야 빅데이터 거버넌스 현 수준
3. 문화분야 빅데이터 거버넌스 단계별 발전방안
제3절 빅데이터 거버넌스 2단계 수립방안
1. 제도부문 수립방안
2. 조직부문 수립방안
3. 서비스부문 수립방안
4. 인프라부문 수립방안
IV. 빅데이터 활용사업 시범과제 발굴
제1절 문화분야 빅데이터 과제 로드맵 설정
1. 문화분야 빅데이터 활용사업 과제발굴 방법
2. 문화분야 빅데이터 과제 로그맵 설정
제2절 빅데이터 단기 과제 추진방안
1. 주도적 추진과제 수행방안
2. 문화분야 빅데이터 거버넌스 체계 관련 과제
3. 빅데이터 수집기반 과제
4. 한국문화정보원 주도적 추진 서비스 과제
5. 산하기관 지원을 통한 추진과제 수행방안
제3절 빅데이터 중장기 과제 추진방안
1. 중장기 추진과제
2. 기타 추진과제 아이디어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정보제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