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이해와 탐구이론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이해와 탐구이론 (Loan 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박은종
Title Statement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이해와 탐구이론 / 박은종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교육과학사,   2018  
Physical Medium
496 p. : 삽화, 도표 ; 27 cm
ISBN
9788925412320
General Note
권말부록: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초·중·고교)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488-491)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35087
005 20180604161545
007 ta
008 180313s2018 ulkad b 001c kor
020 ▼a 9788925412320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5 ▼2 23
085 ▼a 375 ▼2 DDCK
090 ▼a 375 ▼b 2018
100 1 ▼a 박은종
245 1 0 ▼a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이해와 탐구이론 / ▼d 박은종 지음
260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18
300 ▼a 496 p. : ▼b 삽화, 도표 ; ▼c 27 cm
500 ▼a 권말부록: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초·중·고교)
504 ▼a 참고문헌(p. 488-491)과 색인수록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75 2018 Accession No. 15134069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 영역인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설계.실행과 편성.운영의 탐구서이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학생들이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 등의 여러 영역을 통하여 학교 안팎에서 폭넓고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유.초.중.고교 현직 교원들과 교사임용고사를 준비하는 예비 교사는 물론 교육학자, 교육 전문직, 학부모 등이 두루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서는 창의적 체험활동(체험학습)을 중심으로 다양한 활동을 하는 유치원 교육과정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특히 예비교사와 현직 교사 외에도 수석교사·교감·교장 등 교육 관리자, 교육학자, 교육전문가, 예비 교사, 학생, 학부모 등이 두루 길라잡이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특히 유치원의 ‘안전 생활과 창의적 체험학습’,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도입된 초등학교 ‘안전한 생활’ 교과목, 2016학년도부터 전국 중학교에 전면 도입·적용된 ‘자유학기제’ 등의 지도와 운영에 두루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돼 있다. 또 2018학년도부터 전국 중학교에 확대·도입되는 자유학년제 운영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 영역인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설계·실행과 편성·운영의 탐구서이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학생들이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 등의 여러 영역을 통하여 학교 안팎에서 관찰, 답사, 수집, 집단 활동, 견학, 교류, 봉사, 협동 등 아주 폭넓고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일선 학교에서 이를 직접 지도하는 교사들의 지도 방법 구안에 따라서 아주 창의적이고도 알차게 지도,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자기주도적인 창의적 학습력 신장을 위한 창의적 체험활동은 학생들의 다양한 활동이 전제되듯이 반드시 일선 교원들의 다양한 교재 연구와 창의적인 지도 방안 연구가 요구된다는 점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본서는 유·초·중·고교 현직 교원들과 교사임용고사를 준비하는 예비 교사는 물론 교육학자, 교육 전문직, 학부모 등이 두루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특히 대학교의 교재로 활용하기에 용이하도록 구성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박은종(지은이)

진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학과(석사) 및 교육학과(교육과정 및 교육심리학 전공ㆍ교육학 박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사회과교육학과, 공주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학과(박사) 등을 졸업한 사회교육학 박사이다.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객원연구원,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객원연구원, 한국교총 교육정책연구소 객원연구원 등으로 교육학 일반, 사회과 교육학과 사회과 교육론 등에 대한 연구에 종사하여 왔다. 또한 한국산업연수원 청주능력개발원 첨삭교수,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시간 강사, 공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시간 강사, 동신대학교 교양교직학부 외래 교수, 홍익대학교 교양교직학부 외래 교수, 성신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외래 교수, 청운대학교 교양교직학부 외래 교수, 호서대학교 교양교직학부 외래 교수 등을 역임하면서 인간관계론, 교육학 개론, 교육과정과 교육심리학, 교육행정과 교육경영, 교직실무, 사회과 교육학과 사회과 교육론, 사회과 교재연구 및 교수법 등의 교과목을 강의하였다. 전국의 지방자치단체, 지방의회, 학교, 기업체, 단체 등의 구성원들에게 학부모의 역할, 21세계 세계화 시대 리더십, 공직자의 역할, 소통과 인간관계, 기업윤리와 리더십, 통일과 통일교육, 환경ㆍ지속가능발전교육(ESD) 등의 외부 강의도 수행하고 있다. 아울러, 교육부 중앙교육연수원 강사, 충남교육연수원 강사, 전북교육연수원 강사, 한국교총교육연수원 강사, 공주교육대학교초등교육연수원 강사, 진주교육대학교초등교육연수원 강사, 공주대학교중등교육연수원 강사 등을 역임하면서 교육과정, 수업분석과 수업장학, 교수ㆍ학습법, 사회과 교육학, 세계화 시대 리더십 등에 관한 강의를 수행하여 왔다. 또 충청남도교육청 장학사, 충남교육연수원 교육연구사 등을 역임하면서 사회과 교육학(론) 관련 교육행정과 교육연구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교육부 교육정책자문위원, 한국교총 교육정책전문위원, 국정교과서편찬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 공주대학교 겸임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전국 단위 연구 학회인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 회장으로 재임하고 있다. 한국사회과교육학회,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회원이며, 연구의 주 관심 영역은 교육학 일반, 교육과정,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수법, 사회과 교육학, 사회과 교재연구 및 교수ㆍ학습 방법 등이다. 최근에는 사회과 통합 교육, 사회과 세계시민교육, 사회과 교육 국제 비교 연구, 다문화 이해 교육 등에도 깊은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학회지인 교육평론, 교육연구, 교육연구논총, 사회과 교육연구논총, 사회과학연구, 충남교육 등에 논문을 게재하고 있으며, 주요 저서로는 「으뜸 수업 탐구의 정석」,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 탐구: 분석 및 모형 개발 탐색」, 「사회과 교육학 핸드북: Key Point」, 「현대 사회과 교육학ㆍ사회과 교육론 신강」, 「한국 교육의 지평과 미래 비전 탐구」 등 여러 권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학회지에 발표한 「세계화ㆍ정보화 시대의 바람직한 세계시민교육 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세계화 시대, 제4차 산업혁명 시대사회과 교육의 트렌드(Trend) 연구」 등 여러 편이 있다. 한편, <새교실>지(誌)와 <교육자료>지(誌)에 사회과 수업안을 다년간 집필한 바 있으며, 대전일보ㆍ중도일보 등의 교육칼럼위원, 백제신문ㆍ공주신문ㆍ한국교육신문 등의 논설위원, 월간 ‘새교육’지(誌) 편집위원, 교육평론지(誌) 편집위원, ‘교육과 사색’지(誌) 전문위원 등도 역임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제1장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이해 = 13 
 제1절 교육(敎育)의 개념과 목적 = 13 
 제2절 교육과정(敎育課程)의 개념과 특성 = 21 
 제3절 교육과정의 방향과 핵심 역량 = 28 
 제4절 교육과정 일반과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 40 
제2장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개관 = 43 
 제1절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도입 : ''''안전한 생활'''' 영역(단원) 포함 = 43 
 제2절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적용의 주요 내용 = 46 
 제3절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의의 = 48 
 제4절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특징 = 51 
제3장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탐구 = 55 
 제1절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성격 = 55 
 제2절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목표 = 62 
 제3절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영역과 활동 = 65 
 제4절 창의적 체험활동의 내용 및 교수ㆍ학습 방법 = 70 
제4장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편성ㆍ운영 = 127 
 제1절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편성ㆍ운영 = 127 
 제2절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편성ㆍ운영 = 164 
 제3절 고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편성ㆍ운영 = 199 
 제4절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지원 = 232 
 제5절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평가 = 237 
제5장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 = 253 
 제1절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변천의 개괄(槪括) = 253 
 제2절 초등학교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 = 256 
 제3절 초등학교 특별활동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 = 263 
 제4절 중학교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 = 296 
 제5절 중학교 특별활동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 = 303 
 제6절 고등학교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 = 322 
 제7절 고등학교 특별활동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 = 328 
제6장 안전한 생활 영역 교육과정의 이해 = 349 
 제1절 ''''안전한 생활'''' 교육과정의 개관 = 349 
 제2절 ''''안전한 생활'''' 교육과정의 배경과 중점 = 350 
 제3절 ''''안전한 생활'''' 교육과정의 성격 = 352 
 제4절 ''''안전한 생활'''' 교육과정의 목표 = 354 
 제5절 ''''안전한 생활''''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및 성취 기준 = 356 
 제6절 ''''안전한 생활'''' 교육과정의 교수ㆍ학습 및 평가의 방향 = 382 
제7장 창의적 체험활동 중심 학교 현장체험학습의 운영 = 385 
 제1절 학교 현장체험학습의 개관 : 목적 및 유형 = 385 
 제2절 학교 현장체험학습의 유형별 운영 방법 = 392 
제8장 창의적 체험활동 중심 학교 현장체험학습의 추진 = 403 
 제1절 학교 현장체험학습 기본 계획 수립 = 403 
 제2절 학교 현장체험학습의 학교(유치원)운영위원회 심의(사립 : 자문) = 408 
 제3절 학교 현장체험학습의 계약 = 409 
 제4절 학교 현장체험학습 장소 사전 현장 답사(踏査) = 426 
 제5절 학교 현장체험학습 최종 계획 수립 = 426 
 제6절 학교 현장체험학습 사전 안전 교육 실행 = 427 
 제7절 학교 현장체험학습의 운영 실제 = 428 
 제8절 학교 현장체험학습 경비 집행 및 정산 = 434 
제9장 창의적 체험활동 중심 학교 현장체험학습 결과 정리 = 435 
 제1절 학교 현장체험학습 만족도 조사 및 결과 활용 = 435 
 제2절 학교 현장체험학습 평가 결과 탑재 및 공개 요령 = 435 
 제3절 학교 현장체험학습 결과 공개방 탑재의 실제 = 436 
부록 
 1.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초ㆍ중ㆍ고교) = 453 
 2.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반영 자료 = 471 
 3. ''''안전한 생활'''' 교육과정(초등학교 제1-2학년) = 479 
 4.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관련 내용 = 488 
참고문헌 = 489 
찾아보기 = 492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