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35066 | |
005 | 20180502151343 | |
007 | ta | |
008 | 180313s2018 ulk 001c kor | |
020 | ▼a 9791188836000 ▼g 93350 | |
035 | ▼a (KERIS)BIB000014749186 | |
040 | ▼a 221002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02.35 ▼2 23 |
085 | ▼a 302.35 ▼2 DDCK | |
090 | ▼a 302.35 ▼b 2018 | |
245 | 1 0 | ▼a 조직행태론 = ▼x Organizational behavior / ▼d 오세덕 외 지음 |
260 | ▼a 서울 : ▼b 윤성사, ▼c 2018 | |
300 | ▼a 512p. ; ▼c 25cm | |
440 | 0 0 | ▼a 도서출판 윤성사 ; ▼v 010 |
500 | ▼a 공저자: 이명재, 강제상, 임영제 | |
504 | ▼a 참고문헌(p.474-495)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이명제, ▼e 저 |
700 | 1 | ▼a 강제상, ▼e 저 |
700 | 1 | ▼a 임영제, ▼e 저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02.35 2018 | 등록번호 15134067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오세덕(지은이)
경희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경희대학교 행정학과 교수·사회과학대학장· 행정대학원장을 역임하고, 현재 경희대학교 행정학과 명예교수로 재임하고 있다. 국가공무원 채 용시험·승진시험 위원, 한국행정학회 이사, 한국정치학회 이사, 한국행정사학회 부회장, 한국 인간관계학회고문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 조직관리론(법문사, 1981, 공저) 현대조직관리론(법문사, 1995, 공저) 현대행정관리론(동림사, 1997, 공저) 조직행태론(동림사, 2004, 공저) 행정관리론(대영문화사, 2007, 공저) 인생은 실록인가 유사인가(학림사, 2017) 조직행태론(윤성사, 2018, 공저)
강제상(지은이)
미국 뉴욕대학교(New York University)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경희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행정관리, 행정조직, 인사행정 등이다(jskang@khu.ac.kr).
임영제(지은이)
경희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경희대, 서울시립대, 숙명여대 등에서 외래교수와 겸임교수를 역임하였다. 학회활동으로는 한국행정학회 편집위원 및 총무위원, 한국인간관계학회 이사, 한국정책과학학회 연구이사, 안전행정부 정책자문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주요 관심분야는 리더십·갈등관리·전략기획 등이며, 현재 경희사이버대학교 보건의료관리학과에 재직하면서 강의와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주요저서] 행정학개론(박영사, 2006, 2010, 2015, 공저) 행정관리론(대영문화사, 2007, 2013, 2016, 공저) 조직행태론(윤성사, 2018, 공저) 조직론(윤성사, 2018, 공저) 리더십(대영문화사, 2021, 공저)
이명재(지은이)
경희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상명대학교 행정학과 교수·인문사회과학대학 장·정치경영대학원장을 역임했고, 현재 상명대학교 행정학과 명예교수로 재임하고 있다. 국가 공무원 채용시험·승진시험 위원, 행정관리사시험 전문위원, 한국행정학회 이사, 한국인간관계 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 객관식 행정학(법문사, 1987) 한국행정의 과제와 개혁(아세아문화사, 1998, 공저) 조직발전론(대영문화사, 2003) 조직행태론(동림사, 2004, 공저) 행정조직론(동림사, 200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대영문화사, 2005, 공저) 행정관리론(대영문화사, 2007, 공저) 조직행태론(윤성사, 2018, 공저)

목차
목차 머리말 = 4 01 조직행태의 기초 = 10 제1장 조직행태의 개요 = 13 제1절 조직행태의 의의 = 13 제2절 조직행태론의 이론적 전개 과정 = 19 제3절 정보사회에서의 조직행태 = 27 제4절 이 책의 구성 체계 = 34 02 개인 차원의 연구 = 40 제2장 지각ㆍ학습ㆍ태도 = 43 제1절 지각 = 43 제2절 학습 = 55 제3절 태도 = 61 제3장 성격과 정서 = 72 제1절 성격의 의의 = 72 제2절 성격의 결정 요인 = 74 제3절 성격이론 = 75 제4절 정서와 조직행태 = 91 제4장 스트레스와 카운슬링 = 103 제1절 스트레스와 조직행태 = 103 제2절 스트레스의 관리전략 = 112 제3절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카운슬링 = 116 제5장 동기부여 = 131 제1절 동기부여의 의의 = 131 제2절 동기부여의 내용이론 = 133 제3절 동기부여의 과정이론 = 145 제4절 인간관과 관리전략 = 152 03 집단 차원의 연구 = 168 제6장 집단과 집단역학 = 171 제1절 집단의 의의와 유형 = 171 제2절 집단 형성의 계기와 발전 = 176 제3절 집단구조의 주요 요소 = 180 제4절집단역학 = 185 제7장 의사결정과 창의성 = 194 제1절 의사결정의 의의 = 194 제2절 의사결정의 유형 = 198 제3절 의사결정의 이론모형 = 200 제4절 집단 의사결정 기법 = 210 제5절 창의적 의사결정을 위한 창의성 개발 = 216 제8장 의사소통 = 226 제1절 의사소통의 의의와 과정 = 226 제2절 조직 의사소통의 유형과 효율화 = 237 제3절 조직의 의사소통 네트워크 = 247 제4절 의사소통과 정보기술 = 251 제9장 갈등과 협상 = 258 제1절 갈등의 의의 = 258 제2절 갈등의 기능 = 260 제3절 갈등의 유형 = 264 제4절 갈등 상황 = 272 제5절 갈등의 관리 방안 = 278 제6절 협상과 갈등 해결 = 289 제10장 권력과 조직정치 = 294 제1절 권력의 의의 = 294 제2절 권력의 원천과 유형 = 298 제3절 권력 과정의 역학 = 306 제4절 조직정치 = 313 제11장 리더십 = 322 제1절 리더십의 의의 = 322 제2절 리더십의 차원 분류 = 327 제3절 리더십의 상황이론 = 332 제4절 리더십이론의 새로운 경향 = 351 04 조직 차원의 연구 = 366 제12장 조직구조와 설계 = 369 제1절 조직구조의 의의와 기본 변수 = 369 제2절 조직설계에 대한 상황적 접근 = 381 제3절 조직구조의 유형 = 389 제4절 정보사회와 조직구조 = 402 제13장 조직문화 = 410 제1절 조직문화의 의의 = 410 제2절 조직문화의 접근 방법 = 413 제3절 조직문화의 기능과 구성 요소 = 418 제4절 조직문화의 유형 = 424 제5절 조직문화의 관리와 개발 = 429 제14장 조직변화와 개발 = 439 제1절 조직변화의 의의 = 439 제2절 조직변화의 접근 방법 = 443 제3절 조직변화의 단계와 성공 요소 = 447 제4절 변화에 대한 저항 원인과 대응 전략 = 450 제5절 조직개발 = 455 참고 문헌 = 473 찾아보기 = 4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