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무라카미 하루키를 음악으로 읽다 (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栗原裕一郎, 저 大谷能生, 저 鈴木淳史, 저 大和田俊之, 저 藤井勉, 저 김해용, 역
서명 / 저자사항
무라카미 하루키를 음악으로 읽다 / 구리하라 유이치로 외 지음 ; 김해용 옮김
발행사항
서울 :   영인미디어,   2018  
형태사항
323 p. ; 20 cm
원표제
村上春樹を音楽で読み解く
ISBN
9791188258161
일반주기
공저자: 오타니 요시오(大谷能生), 스즈키 아쓰후미(鈴木淳史), 오와다 도시유키(大和田俊之), 후지이 쓰토무(藤井勉)  
권말특별부록: 무라카미 하루키가 말한 음악과 음악으로 이야기되는 무라카미 하루키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34923
005 20180321172550
007 ta
008 180313s2018 ulk 000c kor
020 ▼a 9791188258161 ▼g 03670
035 ▼a (KERIS)BIB000014713420
040 ▼a 241008 ▼c 241008 ▼d 241008 ▼d 211009
041 1 ▼a kor ▼h jpn
082 0 4 ▼a 780.2 ▼2 23
085 ▼a 780.2 ▼2 DDCK
090 ▼a 780.2 ▼b 2018
245 0 0 ▼a 무라카미 하루키를 음악으로 읽다 / ▼d 구리하라 유이치로 외 지음 ; ▼e 김해용 옮김
246 1 9 ▼a 村上春樹を音楽で読み解く
260 ▼a 서울 : ▼b 영인미디어, ▼c 2018
300 ▼a 323 p. ; ▼c 20 cm
500 ▼a 공저자: 오타니 요시오(大谷能生), 스즈키 아쓰후미(鈴木淳史), 오와다 도시유키(大和田俊之), 후지이 쓰토무(藤井勉)
500 ▼a 권말특별부록: 무라카미 하루키가 말한 음악과 음악으로 이야기되는 무라카미 하루키
546 ▼a 일본어로 된 원저작을 한국어로 번역
700 1 ▼a 栗原裕一郎, ▼e
700 1 ▼a 大谷能生, ▼e
700 1 ▼a 鈴木淳史, ▼e
700 1 ▼a 大和田俊之, ▼e
700 1 ▼a 藤井勉, ▼e
700 1 ▼a 김해용, ▼e
900 1 0 ▼a 구리하라 유이치로, ▼e
900 1 0 ▼a 오타니 요시오, ▼e
900 1 0 ▼a 스즈키 아쓰후미, ▼e
900 1 0 ▼a 오와다 도시유키, ▼e
900 1 0 ▼a 후지이 쓰토무, ▼e
900 1 0 ▼a 무라카미 하루키, ▼e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청구기호 780.2 2018 등록번호 15134051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무라카미 하루키 작품에 등장하는 음악이나 음반에는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지만 정작 하루키의 음악론이라고 할 만한 것은 많지 않다. 그러나 하루키에게 음악은 그가 사랑하는 문학 작품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존재이다. 이 책 <무라카미 하루키를 음악으로 읽다>는 그 중심을 문학에서 음악으로 옮겨 하루키 소설을 보고 다시 읽고 있다.

무엇보다도 각 장의 말미에 있는 ‘무라카미 하루키와 음악을 이해하기 위한 DISC GUIDE’는 하루키의 소설에서 다루어졌던 또는 하루키를 이해하는 데 결정적인 음반들을 간략한 설명과 함께 제공하고 있다. 독자들은 이 책이 들려주는 재즈, 클래식, 팝스, 록 그리고 80년대 이후의 음악을 통해 무라카미 하루키의 초창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그의 작품 세계를 새롭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중심을 문학에서 음악으로 옮겨 무라카미 하루키 소설을 보고 다시 읽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신작이 나올 때마다 책 속에 등장하는 음악도 화제에 오른다. 인터넷에는 어떤 음악이 작품에 인용되었는지 전체 곡 리스트를 작성한 블로그나 모든 음악의 링크를 올린 유튜브 채널들이 여럿 존재하는 등 관련 음악이나 음반에 관심이 쏠리고는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하루키 작품에 등장하는 음악가와 음반에 대한 리스트는 많이 존재하는 반면,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 안에서 음악이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 어떻게 이야기에 작용하는지, 주제와 어떻게 관련되는지 등 하루키의 음악론이라고 할 만한 것은 거의 없다. 한마디로 고유명사만 나열하듯이 표층적이고 기호적으로만 소비해 버린 것이다. 그러나 하루키에게 음악은 그가 사랑하는 문학 작품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존재이다. 실제로 무라카미 하루키는 재즈 마니아로 유명하며 작가로 데뷔하기 전에는 <피터 캣>이라는 재즈 카페 겸 재즈 바를 경영하기도 했다. 그는 70년대를 꼬박 음의 세부를 정확히 가려듣고, 그것을 자신의 오디오 시스템으로 플레이함으로써 자신의 세계관을 제시하는 ‘재즈 카페’라는 장소에 계속 머물렀으며 무라카미 하루키의 작품들은 그 시작부터 그러한 사적, 공적 공간 안에서 쓰이기 시작했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 또한 늘, 어디에서 어떻게 연주되고 녹음되었으며, 어떻게 유통되어 어떻게 들리는가 하는 ‘디테일’을 정확히 파악한 상당히 구체적인 음악이다. 한마디로 재즈를 비롯해 클래식과 팝스 그리고 록에 이르기까지 그의 음악에 대한 기술은 지극히 정확하며 작품상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섬세한 감수성과 지성이 겸비되어 있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무라카미 하루키에게서 나오는 음악은 결코 화려하고 지적인 장식이나 기호가 아니다. 그것은 작품 세계 안에서 중요한 전개를 촉진하고, 심리를 암시하며, 전체를 담는 그릇도 된다. 이와 같이 이 책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초기 3부작인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 『1973년의 핀볼』, 『양을 쫓는 모험』부터 최근작인 『1Q84』까지 그 중심을 문학에서 음악으로 옮겨 하루키 소설을 보고 다시 읽고 있다.

재즈, 클래식, 팝스, 록 그리고 80년대 이후의 음악을 통해 이해하는 무라카미 하루키와 그의 작품 세계

이 책은 크게 다섯 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무라카미 하루키와 ‘재즈’의 관계를 탐독하는데, 우선 재즈 마니아로서의 무라카미 하루키와 그가 한창 재즈에 몰두하던 젊었을 당시의 재즈를 둘러싼 전반적인 분위기를 따라간다. 그리고 그가 자신의 소리에 대한 애착과 감수성을 배웠던 과정과 그것을 자신의 작품에 어떻게 묘사하는지를 살펴보는데, 그것은 한마디로 재즈 뮤지션들이 만들어낸, 미세하게 다른 수많은 연주와 사운드의 ‘디테일’을 세부까지 엄밀하고 정확하게 기술하고 배치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무라카미 하루키의 작품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음악을 다루는 방식에서 어떠한 변화들이 있었는지를 살펴본다.
제2장에서는 무라카미 하루키와 ‘클래식’의 관계를 살펴본다. 우선 무라카미 하루키의 작품에서 바로크 음악이 어떻게 사용되는가로부터 시작해 과거와 현재의 깊은 단층을 만들어내는 것, 다른 세상으로 이끄는 것으로서의 클래식의 사용을 설명한다. 그 뒤를 이어 무라카미 하루키의 작품들 속에서 클래식 음악들이 의미하는 바와 구조를 살펴보면서 그가 얼마나 정중하게 음악을 다루며 음악이 그의 작품 세계에 얼마나 중요한가를 설명한다.
제3장은 무라카미 하루키와 ‘팝스’인데, 여기에서는 하루키의 작품에서 ‘파퓰러’ 혹은 ‘팝스’라 불리는 음악 장르의 표출에 주목한다. ‘공백’과 ‘회로’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태엽 감는 새』를 기점으로 한 초기 작품에서는 의미 부여를 거부하는 대체 가능한 고유명사들로 작용하는 팝스 뮤직들의 나열을 통해 이러한 음악이 그의 작품에서 ‘공백=부재’를 만들어내고 ‘상실’이라는 주제를 뒷받침한다고 이야기한다. 반면 후기 작품들에서는 오히려 혼돈스러운 세계에 일정한 질서를 가져다주고, 다른 세계를 연결하는 회로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고 설명한다.
제4장에서는 무라카미 하루키와 ‘록’을 다루는데, 이 장은 과거 무라카미 하루키 작품을 상징하는 음악이라고 하면 단연 록이었다고 단언하면서 시작한다. 비치 보이스와 브라이언 윌슨의 음악이 자신의 마음을 두드린 것은 그가 ‘손이 닿지 않는 먼 장소’에 있는 것에 대해 진지하고 열심히 노래했기 때문이 아닐까라는 하루키의 말을 인용하면서 그의 소설에서 록은 주인공의 기억을 상징하는 음악, 시대의 변화나 풍속을 상징하는 음악으로서 작품에 꼭 필요한 요소였다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어느 시점을 경계로 록은 더 이상 무라카미 하루키 작품을 상징하는 음악이 아니게 되었다고 말하면서 그의 작품에서 록의 묘사 방법이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초기부터 최근의 작품들까지 자세히 살펴본다.
제5장에서는 무라카미 하루키와 ‘80년대 이후의 음악’을 다룬다. 이 장은 무라카미 하루키 소설에서 『댄스 댄스 댄스』를 경계로 음악 고유명사를 등장시키는 빈도가 줄고 무엇보다도 ‘록, 팝스’ ; ‘재즈, 클래식’의 비율이 전자에서 후자로 역전되었음을 보여주면서 시작한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무라카미 하루키 작품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를 살펴본다. 60년대를 ‘팝 뮤직의 시대’ 혹은 ‘록 르네상스의 시대’라고 상정했던 무라카미 하루키에게 그 가치는 60년대 중반부터 후반의 얼마 안 되는 기간 동안만 존재할 수 있었던 기적 같은 것이며 록/팝이 소리를 멈춘 이유도 ‘고도자본주의’에 의해 60년대적 가치관이 70년대를 거쳐 80년대 이후에 ‘완만’하게 죽어갔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무라카미 하루키와 음악을 이해하기 위한 DISC GUIDE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하면 각 장 마지막 부분에 있는 ‘무라카미 하루키와 음악을 이해하기 위한 DISC GUIDE’일 것이다. 재즈, 클래식, 팝스, 록 그리고 80년대 이후의 음악 각각에 걸쳐 하루키의 소설에서 다루어졌던 또는 하루키를 이해하는 데 결정적인 15개 내외의 곡이나 음반이 간략한 설명과 함께 제시되어 있다. 스탠 게츠의 <포커스>부터 야나체크의 <신포니에타>, 비치 보이스의 <펫 사운즈>와 <서핀 U.S.A>, 비틀스의 <노르웨이의 숲> 그리고 토킹 헤즈의 <버닝 다운 더 하우스>와 빌리 브랙 & 윌코의 <머메이드 애비뉴>까지를 망라하는 이 목록들은 독자들에게 무라카미 하루키와 그의 작품들을 음악을 통해 이해하는 길잡이가 되어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음악 장르에서 해당 곡이나 음반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그 곡이나 음반에는 어떠한 배경이 있는지에 대한 훌륭한 지도 역할 또한 할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스즈키 아쓰후미(지은이)

1970년 출생. 음악 평론가. 저서로 『클래식은 삐딱하게 들어라!』, 『배덕의 클래식 가이드』, 『클래식 악마의 사전』, 『클래식 음악 이단 심문』 등이 있다.

오타니 요시오(지은이)

1972년 출생. 평론가이자 색소폰 연주자로서 선구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 『재즈와 자유는 손을 잡고 지옥으로 간다』, 『가져갈 노래, 두고 갈 노래』 등이 있다.

구리하라 유이치로(지은이)

1965년 출생. 평론가. 문학, 음악, 사회 분야에서 다양한 집필 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 『도작의 문학사』(제62회 일본 추리작가 협회상), 공저로 『이시하라 신타로를 읽다』 등이 있다.

오와다 도시유키(지은이)

1970년 출생. 게이오 대학교 법학부 교수. 전공은 미국 문학, 대중음악 연구. 저서로 『아메리카 음악사』(제33회 산토리 학예 문학상), 공저로 『문화계를 위한 힙합 입문』 등이 있다.

후지이 쓰토무(지은이)

1983년 출생. 작가. 2008년 평론가 도요자키 유미가 주최한 서평 대회 참가를 계기로 글을 쓰기 시작했다. 공저로 『무라카미 하루키를 음악으로 읽다』가 있다.

김해용(옮긴이)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출판 편집자로 일하며 다수의 일본 소설과 만화를 번역하고 편집했다. 주요 번역 작품으로 고다 도모의 『오네 산부인과』,이사카 고타로의 『AX』, 미야베 미유키의 『브레이브 스토리』, 『퍼펙트 블루』, 오쿠다 히데오의 『버라이어티』,『방해자 1~3』, 『나오미와 가나코』, 이시다 이라의 『도쿄 돌』, 『슬로 굿바이』, 마미야 유리코의 『존댓말로 여행하는 네 명의 남자』, 히구치 타쿠지의 『내 아내와 결혼해주세요』, 다니 미즈에의 『추억의 시간을 수리합니다 1~4』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머리말

제1장 무라카미 하루키와 ‘JAZZ’
적재적소에 쓰인 ‘부스러기’―무라카미 하루키와 재즈에 대해

재즈 마니아 무라카미 하루키
60년대의 재즈
재즈의 신은 세부적인 것에 깃들어 있다
음악을 다루는 방식에서 볼 수 있는 무라카미 하루키의 변용
무라카미 하루키와 ‘재즈’를 이해하기 위한 DISC GUIDE

제2장 무라카미 하루키와 ‘CLASSIC’
우선은 음악, 다음이 문학?―무라카미 하루키와 클래식의 관계를 탐독하다

1973년의 바로크 음악
클래식은 다른 세상으로 이끈다
이미지의 확산과 수습―<신포니에타>에 의탁한 형식감
그 음악이 작품 속에서 의미하는 것
‘벌꿀파이’의 삼중 구조
무라카미 하루키와 ‘클래식’을 이해하기 위한 DISC GUIDE

제3장 무라카미 하루키와 ‘POPS’
공백(空白)과 회로(回路)―무라카미 하루키의 작품에서 보이는 ‘파퓰러’한 음악

좋은 음악과 나쁜 음악
서핀USA
공백으로서의 음악
회로로서의 음악
무라카미 하루키와 ‘팝’을 이해하기 위한 DISC GUIDE

제4장 무라카미 하루키와 ‘ROCK’
무라카미 하루키적 록 지상주의

무라카미 하루키의 마음의 문을 활짝 연 음악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단편적인 기억과 비치 보이스
『1973년의 핀볼』―<러버 소울>로 연결되는 과거의 암시
『양을 쫓는 모험』―시대에서 채취한 이야기와 록의 부재
‘기호’로서의 록의 변용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과거와 현실을 접속하는 밥 딜런
『노르웨이의 숲』―이야기 속에서 제조된 기억과 비틀스
『댄스 댄스 댄스』―과거 기억의 불확실함과 록 시대의 종언
『국경의 남쪽 태양의 서쪽』〜『애프터 다크』―록 부재와 기억의 누락
『1Q84』―개조된 과거에 떠오른 ‘특별한 것’
무라카미 하루키와 ‘록’을 이해하기 위한 DISC GUIDE

제5장 무라카미 하루키와 ‘80년대 이후의 MUSIC’
80년대 이후 ‘60년대적 가치관’을 봉쇄한 것과 록 및 팝이 멈춘 것의 관계에 대해

‘나’가 밴드와 뮤지션을 경멸한 이유
토킹 헤즈야말로 ‘댄스 댄스 댄스’이다
고도자본주의 사회에서 ‘춤을 춘다’는 것
토킹 헤즈와 제3의 ‘댄스’
무라카미 하루키 작품에서 파퓰러 음악이란 무엇인가
퇴행하는 ‘나’의 ‘춤추는 방식’
록/팝이 소리를 멈춘 것은 왜인가
무라카미 하루키와 ‘80년대 이후의 음악’을 이해하기 위한 DISC GUIDE

특별대담
오타니 요시오×스즈키 아쓰후미×구리하라 유이치로
‘더 깊이, 하루키의 우거진 숲속으로…’

권말특별부록
무라카미 하루키가 말한 음악과, 음악으로 이야기되는 무라카미 하루키


정보제공 : Aladin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