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34461 | |
005 | 20180510101759 | |
007 | ta | |
008 | 180313s2018 ulkg 000 kor | |
020 | ▼a 9791186096680 ▼g 93670 | |
035 | ▼a (KERIS)REW000000317673 | |
040 | ▼a 244002 ▼c 244002 ▼d 244002 | |
082 | 0 4 | ▼a 780.95195 ▼2 23 |
085 | ▼a 780.953 ▼2 DDCK | |
090 | ▼a 780.953 ▼b 2018 | |
100 | 1 | ▼a 서정민 |
245 | 1 0 | ▼a 오선악보로 보는 단가 / ▼d 서정민 |
260 | ▼a 서울 : ▼b 채륜, ▼c 2018 | |
300 | ▼a 178 p. : ▼b 악보 ; ▼c 30 cm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0.953 2018 | Accession No. 15134005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우리 전통음악 ‘단가’를 오선악보화 시킨 악보집이다. 단가는 본래 판소리를 부르기 전 목을 풀기 위해 부르는 짧은 노래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현재는 단순히 목을 푸는 소리의 기능뿐 아니라 하나의 독립적인 영역을 가진 장르가 되었다.
단가 역시 판소리처럼 구전심수로 전해지기 때문에 너른 전승과 연구에 다소 제약이 있었다. 이에 저자는 단가를 악보화 시키는 일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작업을 수행했다. 이 책에는 다양한 명창들이 부른 단가를 오선악보화하여 사설과 함께 수록하고 뿐만 아니라 사설에서 추가 설명이 필요하거나 어려운 어휘를 해설하는 작업까지 함께 병행하여 음악적 연구에도 보탬이 되고 단가의 전승 교육에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구전심수되던 ‘단가’, 오선악보로 태어나다
단가, 오선악보로 다시 태어나다
단가는 현재 판소리 명창들에 의해 다양한 곡들이 불리며, 전승되고 있다. 이때의 전승은 당연히 문서화된 것이 아니라 보통 스승이 제자에게 구전심수의 방법으로 전하기 마련이다. 그러니 마땅한 교재도, 눈으로 보고 익힐 악보집 역시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단가를 원활하게 전승하고 단가의 이론적 발전을 도모하고자 소리를 기록하여 악보화한 것이 바로 이 책이다.
단가의 음악적 연구와 전승에 꼭 필요한 악보집
저자 서정민은 소리꾼이면서도 판소리를 깊이 있게 연구하는 판소리 이론가다. 그래서 이전에도 동초제 판소리 악보집 시리즈(“적벽가”, “흥보가”)를 제작하여 판소리 교육과 연구에 이바지한 적이 있다. 이번에는 ‘단가’에 눈을 돌려 전승교육과 연구에 활용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하지만 소리를 오선악보화한다는 것만으로도 결코 쉬운 일이 아니겠으나, 이 악보집은 단순히 악보만 모아 놓은 것이 아니다. 여기에 더해 책의 뒤쪽에는 단가 사설 속 어휘를 따로 해설해 주는 부분까지 마련하여 진정한 이해가 가능하도록 했다.
물론 소리의 배움은 책이 아니라 스승으로부터 온 마음을 다해 전수 받는 데서 온다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노래를 담아낸 악보, 그리고 그 노래에 얽힌 이야기들이 함께한다면 전승 교육 그리고 음악학적 연구에도 분명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가장 좋은 것은 우리 전통 음악을 배워 전승해 나가는 젊은 소리꾼들이 많아지는 것이겠지만, 이런 악보집 작업을 통해 점차 잊히어 가는 우리의 무형문화유산을 후대에 남길 수 있지 않을지 조심스레 생각해본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이 책을 펴내면서 = 4 강상풍월(江上風月) / 성우향 = 9 공도(公道)라니 / 성창순 = 14 광대가(廣大歌) / 김일구 = 20 만고강산(萬古江山) / 안숙선 = 27 백구가(白鷗歌) / 김연수 = 32 백발가(白髮歌) / 오정숙 = 41 벗님가 / 오정숙 = 47 사철가(四節歌) / 이일주 = 50 시절가(時節歌) / 서정민 = 56 여객(旅客)같은 / 박송희 = 61 예의동방(禮儀東方) / 박초월 = 66 운담풍경(雲淡風景) / 성창순 = 72 이산저산 / 조상현 = 78 인생백년(人生百年) / 박송희 = 84 장부가(丈夫歌) / 신영희 = 88 적벽부(赤壁賦) / 안숙선 = 93 죽장망혜(竹杖芒鞋) / 성창순 = 99 진국명산(鎭國名山) / 성우향 = 106 천하태평(天下泰平) / 박초월 = 111 초한가(楚漢歌) / 이일주 = 120 추억(追憶) / 임방울 = 125 춘몽가(春夢歌) / 신영희 = 130 충효가(忠孝歌) / 이일주 = 136 편시춘(片時春) / 박송희 = 140 한노가(恨老歌) / 박녹주 = 146 호남가(湖南歌) / 임방울 = 156 호남가(湖南歌) / 오정숙 = 163 사설 풀어 읽기 = 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