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33983 | |
005 | 20180313100758 | |
007 | ta | |
008 | 180313s2017 tgk b SC 001c kor | |
020 | ▼a 9788971804445 ▼g 93510 : ▼c \22000 | |
035 | ▼a (KERIS)BIB000014446006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610.9 ▼2 23 |
085 | ▼a 610.9 ▼2 DDCK | |
090 | ▼a 610.9 ▼b 2017z3 | |
100 | 1 | ▼a 김중명, ▼d 1922-1994 |
245 | 1 0 | ▼a 의사학개론 / ▼d 김중명, ▼e 이원길 지음 |
246 | 1 | ▼i 한자표제 : ▼a 醫史㶅槪論 |
250 | ▼a 제3판 | |
260 | ▼a 대구 : ▼b 경북대학교출판부, ▼c 2017 | |
300 | ▼a 358 p.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 (p. 354) 및 색인 (p. 355-358) 수록 | |
650 | 8 | ▼a 의학 역사[醫學歷史] |
700 | 1 | ▼a 이원길, ▼d 1952-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 청구기호 610.9 2017z3 | 등록번호 13105222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인간의 역사와 동시에 발생하고 발전해 오늘날에 이른 의학의 변천을 개괄하는 책으로, 의사학이라는 특색 있는 학문 분과의 입문서로 볼 수 있다. 이 책에서 구별하고 있는 대로 고대, 중세, 르네상스, 17세기, 18세기, 19세기, 20세기, 그리고 마침내 현대까지 의학의 역사를 살펴봄으로써 인간의 역사를 색다른 각도에서 조명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의사학개론’은 인간의 역사와 동시에 발생하고 발전해 오늘날에 이른 의학의 변천을 개괄하는 책으로, 의사학이라는 특색 있는 학문 분과의 입문서로 볼 수 있다. 이 책에서 구별하고 있는 대로 고대, 중세, 르네상스, 17세기, 18세기, 19세기, 20세기, 그리고 마침내 현대까지 의학의 역사를 살펴봄으로써 인간의 역사를 색다른 각도에서 조명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저자가 역설하고 있듯, 의사학에 대한 이해는 의학 자체에 대한 올바른 인식의 바탕을 제공할 것이다. 인간의 삶은 생로병사의 과정이며, 의학은 인간의 필요에 의해 그에 관여하면서 발달해 왔다. ‘의사학개론’을 통해 의학 내부에서 일어난 획기적인 발견뿐만 아니라 인간 문명에 전반에 일어난 크고 작은 사건들과 의학의 변화가 상호 영향관계에 있음을 이해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정보제공 :

목차
목차 제3판 서문 = 5 초판 서문 = 7 서론 = 15 제1장 고대 의학 제1절 고대 원시 의학의 본질 = 25 제2절 선사시대 = 32 제3절 이집트 의학 = 35 제4절 바빌로니아 및 메소포타미아 의학 = 38 제5절 인도 의학 = 40 제6절 중국 의학 = 43 제7절 한국 의학 = 48 제8절 일본 의학 = 51 제9절 그리스 의학 = 53 1. 히포크라테스 이전 시대 = 54 2. 히포크라테스 시대 = 59 3. 과도기적 알렉산드리아 시대 = 65 제10절 로마 의학 = 69 제2장 중세 의학 제1절 비잔틴 시대 의학 = 81 제2절 아라비아 의학 = 83 제3절 서구 의학 = 88 제4절 인도 의학 = 94 제5절 중국 의학: 수ㆍ당ㆍ송ㆍ금ㆍ원대 의학 = 97 1. 수대 의학 = 97 2. 당대 의학 = 99 3. 송ㆍ금ㆍ원대 의학 = 102 제6절 한국 의학: 통일신라와 고려 시대 의학 = 108 1. 통일신라 시대 의학 = 108 2. 고려 시대 의학 = 110 제7절 일본 의학 = 120 제3장 르네상스 시대 의학 제1절 해부학의 확립과 발전 = 128 제2절 혈액 순환의 원리 발견 = 133 제3절 임상의학의 혁신 = 136 1. 파라셀수스 = 136 1. 앙브루아즈 파레 = 140 제4절 중국 의학: 명대 의학 = 143 제5절 일본 의학: 요시노ㆍ무로마치 시대 의학 = 145 제6절 한국 의학: 조선 전기 의학 = 148 제4장 17세기 의학 제1절 의리학파 = 160 제2절 의화학파 = 163 제3절 불가시 세계로의 출발 = 166 제4절 새롭게 발족한 과학으로서의 임상의학 = 171 제5장 18세기 의학 제1절 생리학의 근대적 수립 = 178 제2절 병리학의 근대적 발전 = 185 제3절 임상의학의 발달과 종두법 = 190 제4절 일본 의학: 에도 시대 의학 = 197 제5절 중국 의학: 청대 의학 = 204 제6절 한국 의학: 조선 후기 의학 = 206 1. 의방서의 편찬 = 208 2. 유럽 의학의 전래 = 212 제6장 19세기 의학 제1절 프랑스 의학 = 221 제2절 독일 의학 = 227 제3절 세포병리학의 수립 = 237 제4절 미생물학의 발전 = 242 제5절 예방의학의 발달 = 252 제6절 임상의학 분야의 진보 = 256 1. 면역혈청학의 발달과 혈청요법 = 256 2. 화학요법 = 258 3. 마취법과 소독법 = 260 4. 기타 = 263 제7절 러시아 의학과 미국 의학 = 266 1. 러시아 의학 = 266 2. 미국 의학 = 267 제8절 중국 의학: 중화민국 시대 의학 = 269 제9절 일본 의학: 에도 말기에서 메이지 중기 의학 = 270 1. 지볼트 시대 = 272 2. 번역의학 = 276 3. 독일 의학의 수입 = 279 제10절 한국 의학: 조선 말기와 일제하의 의학 = 282 1. 조선 말기 의학 = 282 2. 일제하의 의학 = 295 제7장 20세기 의학 제1절 미생물학 분야 = 304 제2절 면역혈청학 분야 = 310 제3절 생화학ㆍ생리학 분야 = 315 제4절 병리학 분야 = 322 제5절 일반의학 = 326 제6절 한국 근대 의학 = 337 제8장 현대 의학 참고문헌, 관련 홈페이지 = 354 색인 = 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