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미래교육이 시작되다 : 행복을 위한 혁신 (Loan 1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진희, 저 최경철, 저 김인엽, 저 이경아, 저 소미영, 저 주주자, 저 이동배, 저 이혁규, 저 황현정, 저 김성천, 저 이경석, 저 홍섭근, 저 이영희, 저
Corporate Author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
Title Statement
미래교육이 시작되다 : 행복을 위한 혁신 /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즐거운학교 :   테크빌교윳,   2018  
Physical Medium
323 p. ; 21 cm
ISBN
9788993879902
General Note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 김진희, 최경철, 김인엽, 이경아, 소미영, 주주자, 이동배, 이혁규, 황현정, 김성천, 이경석, 홍섭근, 이영희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33906
005 20180314114836
007 ta
008 180312s2018 ulk b 000c kor
020 ▼a 9788993879902 ▼g 03370
035 ▼a (KERIS)BIB000014728593
040 ▼a 211031 ▼d 211031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9.519 ▼2 23
085 ▼a 379.53 ▼2 DDCK
090 ▼a 379.53 ▼b 2018z2
110 ▼a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
245 1 0 ▼a 미래교육이 시작되다 : ▼b 행복을 위한 혁신 / ▼d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
260 ▼a 서울 : ▼b 즐거운학교 : ▼b 테크빌교윳, ▼c 2018
300 ▼a 323 p. ; ▼c 21 cm
500 ▼a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 김진희, 최경철, 김인엽, 이경아, 소미영, 주주자, 이동배, 이혁규, 황현정, 김성천, 이경석, 홍섭근, 이영희
504 ▼a 참고문헌 수록
700 1 ▼a 김진희, ▼e▼0 AUTH(211009)136100
700 1 ▼a 최경철, ▼e▼0 AUTH(211009)109592
700 1 ▼a 김인엽, ▼e▼0 AUTH(211009)54120
700 1 ▼a 이경아, ▼e▼0 AUTH(211009)116626
700 1 ▼a 소미영, ▼e▼0 AUTH(211009)63833
700 1 ▼a 주주자, ▼e▼0 AUTH(211009)100000
700 1 ▼a 이동배, ▼e▼0 AUTH(211009)47231
700 1 ▼a 이혁규, ▼e▼0 AUTH(211009)28069
700 1 ▼a 황현정, ▼e
700 1 ▼a 김성천, ▼e▼0 AUTH(211009)57082
700 1 ▼a 이경석, ▼e
700 1 ▼a 홍섭근, ▼e▼0 AUTH(211009)7231
700 1 ▼a 이영희, ▼e▼0 AUTH(211009)96451
945 ▼a KLPA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9.53 2018z2 Accession No. 11178753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79.53 2018z2 Accession No. 15134082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9.53 2018z2 Accession No. 11178753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79.53 2018z2 Accession No. 15134082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4차 산업혁명에서는 창의성을 기반으로 한 융합능력이 핵심사고로 작용하게 된다고 한다. 대한민국은 이를 잘 준비하고 있는가? 우리 교육은 이를 선제하여 잘 대응하고 있는가? 13명의 저자들은 이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시작점도 ‘교육’이고, 그 마침표도 ‘교육’에 있다는 공감과 결론을 얻고, 많은 사람들과 이를 함께 고민하고자 ‘미래교육’이라는 주제로 뜻을 모아 이 책을 집필하게 되었다.

13명의 저자는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등 학교 현장에서의 오랜 실천 경험과 연구를 바탕으로 한 고뇌의 산물을 세상에 하나씩 꺼내놓았다. 교육생태계에 대한 논의를 시작으로 스마트학교, 고교학점제, 보육, 진로교육, 직업교육, 평생교육, 교육과정, 마을교육공동체, 교원양성제도, 국가교육위원회까지 폭넓은 주제를 다루었으며, 심도 있고 가치 있는 논의를 담아내고자 노력했다.

교육이 바뀌면, 미래도 바뀐다!
스마트학교, 고교학점제, 보육, 진로교육과 평생교육, 교육과정, 마을교육공동체, 교원양성제도, 국가교육위원회까지! 현장에 대한 치밀한 연구와 실천을 바탕으로 13인의 전문가가 전망하는 교육의 변화


‘한국에서의 삶이 행복한가?’ 이 질문에 쉽게 긍정의 대답을 할 수 있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 학생들은 입시 경쟁에 시달리고 행복감을 느끼지 못하고 있으며, 자녀교육을 위해 모든 것을 희생해 온 학부모 역시 자녀의 사교육에 많은 비용을 소모하며 노후의 삶을 준비하지 못하고 불안해하고 있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제조업 기반의 혁명인 2차 산업혁명과 IT의 혁명인 제3차 산업혁명을 거치는 동안 조선, 철강, 자동차, 반도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에 도달하며 찬란한 경제 발전과 특색 있는 대중문화를 이끌어 낸 우리나라를 세계의 많은 나라들은 부러워하고 있지만, 정작 우리 자신은 행복감을 느끼지 못한다. 현재 진행 중인 4차 산업혁명에서는 창의성을 기반으로 한 융합능력이 핵심사고로 작용하게 된다고 한다. 대한민국은 이를 잘 준비하고 있는가? 우리 교육은 이를 선제하여 잘 대응하고 있는가?
13명의 저자들은 이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시작점도 ‘교육’이고, 그 마침표도 ‘교육’에 있다는 공감과 결론을 얻고, 많은 사람들과 이를 함께 고민하고자 ‘미래교육’이라는 주제로 뜻을 모아 이 책을 집필하게 되었다. 13명의 저자는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등 학교 현장에서의 오랜 실천 경험과 연구를 바탕으로 한 고뇌의 산물을 세상에 하나씩 꺼내놓았다. 교육생태계에 대한 논의를 시작으로 스마트학교, 고교학점제, 보육, 진로교육, 직업교육, 평생교육, 교육과정, 마을교육공동체, 교원양성제도, 국가교육위원회까지 폭넓은 주제를 다루었으며, 심도 있고 가치 있는 논의를 담아내고자 노력했다. 이를 통해 우리 교육이 조금이라도 혁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상이 좀 더 따뜻하고 가치 있게 변화되기를 간절히 소망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성천(지은이)

교육사회학 및 교육행정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다수의 교육정책 관련 연구를 수행하면서, 좋은교사운동 정책위원장,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대안연구소 부소장, 경기도교육연구원 연구위원을 역임했다. 현재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혁신학교란 무엇인가』 등이 있다.

홍섭근(지은이)

교육자치의 시작과 함께 교육청 정책부서 파견을 출발점으로 교육청 생활과 교육정책에 입문하였다. 교육정책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경기도교육청 장학사 시험에 합격했다. 공무원 연금개혁, 교육자치의 시작, 교권에 대한 시각 변화, 학령인구 급감, 고3 교원 양성과정 기피 현상, 시·도교육청 간 교육 환경의 간극, 코로나19 이후의 교육격차 증가 등 급변하는 시기의 교직 현실을 체감하면서 관련 연구에 다수 참여했다. 다양한 기관에서 교육정책 기획과 제도 개선에 역할을 하였고 100개 이상의 관련 TF에 참여하였다. 장학사가 된 후 경기도교육청 정책기획관실에서 정책기획·조정 역할하였으며, 학교정책과에서 학교혁신 업무를 담당하였다. 경기도교육연구원 연구위원으로서 정책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현재는 용인교육지원청에 있다. 다수의 교육 저서와 논문, 칼럼 등을 저술하였으며 국회, 교육부, 연구기관 등에서 교육정책 자문 역할을 병행하고 있다. 또한 개인의 교육 경험을 공유하고 후배들의 성장을 돕기 위해 전공 강의를 하고 있다.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예비 교사 교육 강의를 하고 있으며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에서도 후배들의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이영희(지은이)

미국 휴스턴 대학교에서 교육학을 전공하였다(Ed.D.). 남부 텍사스 대학교 교사 교육을 역임하였고, 저서로는 『과학의 본성』, 『과학적 탐구』, 『미래교육이 시작되다』 등이 있다. 현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로 근무 중이다.

이경석(지은이)

단국대학교 수학교육과 및 동 대학원에서 해석학을 전공하였으며 경기도교육청 마을교육공동체기획단 파견교사를 역임하였다. 저서로 《마을교육공동체란 무엇인가》가 있고, 전 의정부여자중학교 교무부장으로 혁신교육의 앞바퀴 역할을 했으며 대안교육에 관심이 많다.

이동배(지은이)

성균관대와 동대학원에서 교육행정학을 전공하고 고등학교 교사와 경기도교육연구원 교직원초빙연구위원으로 현장과 이론의 괴리를 줄이기 위해 다수의 정책연구에 참여하였다. 현재 성남교육지원청 몽실학교 담당 장학사로 근무하고 있다. 저서로는 『교사 학습공동체』, 『미래교육이 시작되다』, 『교육정책 스포트라이트 vol.1』 등이 있다.

주주자(지은이)

서울대 대학원에서 사회교육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경인교대, 강남대 대학원에서 강의하였으며, 일반고 교육력 및 담임제도 등 학교제도 등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현재 경기도교육연구원 연구사로 근무하고 있다.

최경철(지은이)

과학교육(학사), 교육공학(석사)을 전공하여 IT기반 수업설계에 많은 관심과 경험이 있다. 올해의 과학교사, 스마트교육 중앙선도교육원, 삼성전자 미래교사단으로 활동하면서 IT를 활용한 융합교육에 끊임없이 도전하고 있으며, 현재 예봉중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다.

황현정(지은이)

안성의 역사를 연구하고 ‘마을 역사 알아가기’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교 민주주의 실현에 관심이 많고 늘 연구와 사회적 실천으로 살아가고자 한다. 현재 경기도교육연구원 연구위원이며 한국교원대에 출강하고 있다.

김진희(지은이)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교육과정학을 전공하였고(교육학 박사) 경기도교육연구원 비상근 초빙연구원으로 전문적학습공동체 및 교육시설 관련 연구 등을 수행한 바 있다. 현 단국대 교육대학원 외래강사 및 이천 표교초 교사로 근무하고 있다.

김인엽(지은이)

숭실대학교 겸임교수, 경기도교육연구원 초빙연구위원을 거쳐 국무총리실 산하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부연구위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그동안 (사)행복한미래교육포럼 기획국장과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 연구위원을 역임하면서 교육활동과 시민운동 연계의 중요성을 깨닫고 (사)좋은교사운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최근 혁신 포용적 평생학습체제 수립 및 고교학점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면서 새로운 교육철학과 교육 비전 제시를 위해 고민하고 있다. 저서로는 『미래교육이 시작되다』, 『학교자치 2』 등이 있다.

이경아(지은이)

경희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 수료 및 경기대 대학원 교육정책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으며, 전 경기도교육연구원 연구원 및 전 민주연구원 연구위원으로 다양한 교육정책을 연구하였다. 현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에서 활동하고 있다.

소미영(지은이)

숙명여자대학교 리더십교육학을 전공하였고 한국과 학창의재단 창의인성 컨설턴트, 자유학기제 진로탐색연구회 및 교육기부 자문위원, 청소년 리더십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교원의 퍼실리테이터 역량 강화 연구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현재 덕장중학교 교사로 근무하고 있다.

이혁규(지은이)

충남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수자원 및 환경공학 박사를 수료하고 Canada Christian College & School of Graduate Theological Studies(Doctoral)에서 ‘Doctor of Christian Counselling & Coaching’을 전공하였다. Canada Christian College & School of Graduate Theological Studies Korean Department Coaching Institute 책임연구원 및 연구교수로 각종 진로 관련 연구회에서 활동하며, 저서로는 《전문직업으로서의 법률업》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Chapter01 교육생태계, 어떻게 변화할까? 
미래를 위한 좋은 교육의 필수 조건 

Chapter02 미래교육의 실제 
미래교육을 위한 플랫폼, 스마트학교 
직업교육과 평생교육 
진정한 돌봄은 아동의 눈높이에서 
유치원과 어린이집, 하나로 통합할 수 있을까 
자유학년제 현장 동행 
고교 무학년 학점제 
진로교육의 방향 
미래형 교육과정과 교과서 체제 

Chapter03 미래교육의 체제와 방향 
국가교육위원회의 위상과 성격 
마을학교 이야기 
교원인사제도의 미래 
제도적 측면에서 본 교원양성제도 
암기력 기준으로 줄 세우는 불공평한 시험은 없어져야 한다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