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예술의 정의 (Loan 4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Adajian, Thomas 강은교, 역 남수빈, 역 김수지, 역 박채연, 역 신우승, 역 최윤정, 역
Title Statement
예술의 정의 / 토마스 애더지안 지음 ; 강은교 [외]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전기가오리,   2018  
Physical Medium
63 p. ; 22 cm
Series Statement
스탠퍼드 철학백과의 항목들 ;8
Varied Title
The definition of art
ISBN
9791188319091 9791195872916(세트)
General Note
공역자: 최윤정, 남수빈, 김수지, 박채연, 신우승  
이 책은 Thomas Adajian, "The definition of art",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Summer 2016 Edition)을 완역한 것임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50-56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32960
005 20180305155957
007 ta
008 180302s2018 ulk b 000c kor
020 ▼a 9791188319091
020 1 ▼a 9791195872916(세트)
035 ▼a (KERIS)BIB000014727583
040 ▼a 223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700.1 ▼2 23
085 ▼a 700.1 ▼2 DDCK
090 ▼a 700.1 ▼b 2018
100 1 ▼a Adajian, Thomas
245 1 0 ▼a 예술의 정의 / ▼d 토마스 애더지안 지음 ; ▼e 강은교 [외]옮김
246 1 9 ▼a The definition of art
246 3 9 ▼a Definition of art
260 ▼a 서울 : ▼b 전기가오리, ▼c 2018
300 ▼a 63 p. ; ▼c 22 cm
440 0 0 ▼a 스탠퍼드 철학백과의 항목들 ; ▼v 8
500 ▼a 공역자: 최윤정, 남수빈, 김수지, 박채연, 신우승
500 ▼a 이 책은 Thomas Adajian, "The definition of art",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Summer 2016 Edition)을 완역한 것임
504 ▼a 참고문헌: p. 50-56
700 1 ▼a 강은교, ▼e
700 1 ▼a 남수빈, ▼e
700 1 ▼a 김수지, ▼e
700 1 ▼a 박채연, ▼e▼0 AUTH(211009)96449
700 1 ▼a 신우승, ▼e
700 1 ▼a 최윤정, ▼e
740 2 ▼a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900 1 0 ▼a 애더지안, 토마스,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00.1 2018 Accession No. 11181907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스탠퍼드 철학백과의 항목들 시리즈의 8권으로 애더지안의 「예술의 정의」를 선보인다. 우리가 예술이 무엇인지를 안다고 할 때, 그 앎이 정의의 형태로 진술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예술의 경우 그에 대한 정의를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예술이라는 피정의항이 단일한지의 여부 자체가 합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예술의 정의」 는 이와 같은 제약을 서술하는 것을 시작점으로 삼아, 현대 영미 철학에서 시도된 다양한 시도를 짜임새 있게 서술한다. 이 모든 서술은 우리가 가능한 한 피해야 한다는 데 합의했던 열거적 정의가 예술에 유일한 정의 방식인 것은 아닌지, 만일 그렇다면 열거적 정의를 예술에 대한 유일한 정의로 받아들여야 하는 것은 아닌지를 묻는 일로 수렴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토마스 애더지안(지은이)

제임스 매디슨 대학 종교/철학과의 조교수이다. JMU 논리추론연구소의 공동 창립자이자 운영자이기도 하다. 주요 논문으로는 「Defining Art」, 「On the Prototype Theory of Concepts and the Definition of Art」 등이 있다.

신우승(옮긴이)

서양 철학을 함께 공부하고, 관련 문헌을 번역 출판하며, 출판물에 대한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학문 공동체 〈전기가오리〉(www.philo-electro-ray.org)의 운영자이다. 옮긴 책으로 『헤겔의 영혼론』 등이 있다. 「있는 것에 관하여」(공역)를 포함한 스탠퍼드 철학백과 항목 및 서양 철학 논문 여러 편을 번역했다.

남수빈(옮긴이)

서울대학교에서 서양화를 전공했다. 현재는 출판사에서 디자이너로 일하고 있다.

김수지(옮긴이)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바버라에서 정치 철학을 전공하고 있다.

박채연(옮긴이)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서양화와 철학을 전공했다. 출판사에서 편집자로 일한 바 있다. 옮긴 책으로는 『예술의 정의』(공역), 『지칭에 관하여』(공역), 『있는 것에 관하여』(공역)가 있다.

최윤정(옮긴이)

학부에서 사학을, 대학원에서 신학을 전공했다. 현재는 에르푸르트 대학에서 역사를 전공하고 있다.

강은교(옮긴이)

연세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했으며,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여성학과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동료들과 함께 페미니스트 연구 웹진 『Fwd』를 꾸려 가고 있다. 전기가오리에서 펴내는 ‘스탠포드 철학백과의 항목들’ 중 페미니즘 항목 여럿을 번역했고, 「한국 SF와 페미니즘의 동시대적 조우」, 「케이팝K-pop 아이돌의 자필 사과문」 등의 글을 썼다. 공부와 취미의 지속 가능성에 대해 고민 중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0. 들어가며 

1. 예술의 정의에 대한 제약들 
2. 전통적 정의들 
3. 정의에 대한 회의적 입장들 
3.1. 여기서 유래한 최근의 입장들 
4. 현대의 정의들 
4.1. 규약주의적 정의: 제도론적 정의와 역사적 정의 
4.2. 제도론적 정의 
4.3. 역사적 정의 
4.4. 기능적 (주로 미적) 정의 
5. 결론 

참고 문헌 
스탠퍼드 철학백과 내 관련 항목 
후원자 목록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