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우리가 음악을 사랑하는 이유 (1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Powell, John, 1955- 장호연, 역
서명 / 저자사항
우리가 음악을 사랑하는 이유 / 존 파웰 ; 장호연 옮김
발행사항
서울 :   뮤진트리,   2018  
형태사항
395 p. : 삽화 ; 22 cm
원표제
Why you love music : from Mozart to Metallica : the emotional power of beautiful sounds
ISBN
9791161110134
일반주기
<<과학으로 풀어보는 음악의 비밀>>의 저자, 존 파웰의 신작  
서지주기
참고문헌(p. 356-360)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Music appreciation Music --Psychological aspects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31264
005 20180223185953
007 ta
008 180223s2018 ulka b 001c kor
020 ▼a 9791161110134 ▼g 036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781.1/1 ▼2 23
085 ▼a 781.11 ▼2 DDCK
090 ▼a 781.11 ▼b 2018
100 1 ▼a Powell, John, ▼d 1955- ▼0 AUTH(211009)121825
245 1 0 ▼a 우리가 음악을 사랑하는 이유 / ▼d 존 파웰 ; ▼e 장호연 옮김
246 1 9 ▼a Why you love music : ▼b from Mozart to Metallica : the emotional power of beautiful sounds
260 ▼a 서울 : ▼b 뮤진트리, ▼c 2018
300 ▼a 395 p. : ▼b 삽화 ; ▼c 22 cm
500 ▼a <<과학으로 풀어보는 음악의 비밀>>의 저자, 존 파웰의 신작
504 ▼a 참고문헌(p. 356-360)과 색인수록
650 0 ▼a Music appreciation
650 0 ▼a Music ▼x Psychological aspects
700 1 ▼a 장호연, ▼e▼0 AUTH(211009)26490
900 1 0 ▼a 파웰, 존, ▼e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1.11 2018 등록번호 111786865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8-14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81.11 2018 등록번호 151340797 도서상태 간편대출신청중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1.11 2018 등록번호 111786865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8-14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81.11 2018 등록번호 151340797 도서상태 간편대출신청중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과학으로 풀어보는 음악의 비밀>의 저자 존 파웰이 6년 만에 발표한 신작이다. 전작 <과학으로 풀어보는 음악의 비밀>이 음향학.음악물리학에 초점을 맞춰 음악의 과학과 관련된 문제들을 설명한 입문서였다면, 이 책 <우리가 음악을 사랑하는 이유>는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음악미학의 주제들을 더 집중적으로 다룬다. 물리학자이자 음악가인 저자의 해박한 지식과 분명한 설명뿐 아니라 재치 있고 유쾌한 존 파웰만의 표현 방식이 돋보이는 책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음악이 왜 우리에게 그토록 심오한 영향을 미칠까?” 하는 물음에 답하기 위해 지난 수십 년간 이루어진 심리학적 연구와 사회학적 연구를 파고든다. 흥미진진한 사실들과 통찰력으로 가득한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음악이 얼마나 다양한 방식으로 인간의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게 될 것이다.

음악미학의 주제들로
음악이 우리의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존 파웰의 신작

출간 후 지금까지 독자들로부터 참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책 《과학으로 풀어보는 음악의 비밀》의 저자 존 파웰이 6년 만에 발표한 신작이다. 전작이 음악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과학적으로 풀어쓴 글이었다면, 이 책 《우리가 음악을 사랑하는 이유》에서는 그 음악을 듣는 사람이 느끼는 의미, 감정, 취향, 음악에 대한 반응, 음악성… 등이 핵심이다. 전작은 음향학의 주제들, 이번 책은 음악미학의 주제들을 다루었다고 정리할 수 있겠다.

이 책 《우리가 음악을 사랑하는 이유》에서 저자는 “음악이 왜 우리에게 그토록 심오한 영향을 미칠까?” 하는 물음에 답하기 위해 지난 수십 년간 이루어진 심리학적 연구와 사회학적 연구를 파고든다. 음악 심리학의 모든 면을 들여다보고, 음악이 어떻게 아기가 엄마와 유대감을 형성하도록 돕고, 어떻게 와인의 맛을 다르게 인식하게 만드는지, 마트에서 느린 음악이 나오면 왜 더 많은 소비를 하게 되는지를 밝힌다. 그 음악을 듣는 사람의 감정에 주목하며 음악이 우리의 일상적인 삶에 어떤 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음악의 즐거움은 인간만이 누릴 수 있는 호사다. 음악에 관한 한 우리는 이보다 좋을 수 없는 시대에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음악은 우리 주변 도처에, 우리가 인식하든 못 하든, 자의적으로 또는 배경음악으로 존재한다. 음악은 우리의 감정과 지성은 물론 신체적 삶에서도 큰 역할을 한다. 음악은 우리가 일하고 휴식하고 행동하고 느끼는 방식에 깊이 관여한다. 음악은 우리를 웃거나 울게 만들고, 주위 사람들과 유대감을 맺도록 돕고, 병에서 회복되도록 돕는다. 우리가 사랑하는 노래들은 그저 삶의 배경에 깔리는 사운드트랙만이 아니다. 때로는 우리가 어떤 사람인지 말해주는 징표가 되기도 한다. 심리학자들은 우리가 듣는 음악만으로 우리의 성격과 성장 배경과 심지어 나이가 얼마인지도 알아낼 수 있다.

음악의 쓰임새를 과학적 실험의 증거들을 들어 설명
이 책이 일반적인 음악이론서들과 다른 점은 저자가 음악의 감정 표현이나 해석을 과학적으로 풀어내고자, 수많은 사례들을 분석해서 여러 질문들에 명확한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장조가 행복을 불러오고 단조가 슬픔을 일으킨다는 단순한 인식에서부터 우리가 인지하지 못하는 사이에 우리의 정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까지, 음악이 감정에 미치는 여러 원인들을 살펴본다.

14장에서 특히 저자는 연주가가 우리의 감정을 어떻게 요리하는지를 몇 가지 실험결과들로 설명한다. 악보대로 연주하든 즉흥적으로 연주하든 연주가는 음악의 정서적 효과를 최대로 살리고자 여러 가지 기법들을 활용한다. 그들은 다양한 해석으로, 강조로, 타이밍으로, 연주법으로, 세기로, 음색으로, 때로는 실수조차 활용해서 우리의 감정을 자유자재로 요리한다. 어찌 보면 수백 년 전에 그저 종이 위에 그려진 악보였을 뿐인 것에 인간의 감정을 불어넣는 것은 연주가들인 셈이다.
이렇듯 음악연주에 감정을 싣는 여러 방법들을 제시하며 저자는 거장의 연주와 무덤덤한 컴퓨터 연주의 차이가 무엇인지, 사람이 어떤 소리를 더 가슴에 와 닿게 받아들이는지에 대한 과학적 이치를 설명한다. 음악의 감정 표현, 해석을 과학적으로 풀어내려 한 좋은 시도이다.

오늘날 수많은 사람들이 하루 종일 음악을 옆에 끼고 사는 이유는 뭘까. 우리가 음악을 사랑하는 이유 하나는 음악이 뇌에 적절한 자극을 제공하고 아울러 즐거움도 선사하는 멋진 방법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음악에는 물론 뇌의 건강을 유지시키는 것보다 훨씬 많은 기능들이 있다. 예컨대 강력한 감정 자극제가 될 수 있다. 유쾌한 음악을 들으면 세로토닌과 도파민 수치가 올라가서 긍정적으로 기분이 바뀐다고 한다. 그렇다면 뇌는 어떻게 음악을 감정으로 바꿀까?

우리의 뇌는 과도한 자극도 부족한 자극도 좋아하지 않는다. 상황이 복잡할 때는 조용한 음악을 선호하게 되고, 삶이 지루할 때면 자극적인 음악이 뇌를 간질인다. 우리는 종종 신체 활동에서 에너지를 얻고 집중력을 끌어올리려고 음악을 사용하고, 기분 전환용으로 음악을 사용하기도 한다. 때로는 상황의 의미를 강조하려고 음악을 사용하기도 한다. 결혼식이나 서양의 장례식에서 그 용도를 확연히 느낄 수 있다. 음악의 또 다른 흔한 용도는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이다. 우리는 저마다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듣는 음악이 있다. 이렇듯 저자는 실험심리학의 수많은 사례들을 통해 음악의 다양한 쓰임새를 과학적 실험의 증거들로 설명한다.

“음악은 우울증을 가라앉히고 통증을 줄여준다. 여러분이 다양한 질병을 이겨내고, 지루함을 견디고, 편안하게 쉬도록 돕고, 과제에 집중하고, 다른 사람들과 유대감을 쌓도록 돕는다. 스트레스를 줄이고, 기분을 좋게 하고, 그리움에서 기쁨에 이르는 감정들로 여러분 삶을 채워준다. 그러니 음악을 어찌 사랑하지 않겠는가.”
그러니, 그 사랑하는 음악을 잘 활용하여 우리 삶의 질을 높이고 나아가 세상을 좀 더 살만한 곳으로 만드는 것은 우리가 즐거이 해야 할 숙제가 아니겠는가.

[미디어 소개]
☞ 동아일보 2018년 2월 10일자 기사 바로가기
☞ 매일경제신문 2018년 2월 9일자 기사 바로가기
☞ 연합뉴스 2018년 2월 9일자 기사 바로가기
☞ 문화일보 2018년 2월 9일자 기사 바로가기
☞ 서울신문 2018년 2월 10일자 기사 바로가기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존 파웰(지은이)

영국 셰필드 대학교에서 작곡(석사)과 임페리얼 칼리지에서 물리학(박사)을 전공한 음악가이자 물리학자이다. 셰필드 대학교에서 음악 음향학을, 노팅엄 대학교와 스웨덴 룰레오 대학교에서 물리학을 가르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우리가 음악을 사랑하는 이유》가 있다. howmusicworks.info

장호연(옮긴이)

서울대학교 미학과와 음악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음악과 과학, 문학 분야를 넘나드는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뮤지코필리아》 《스스로 치유하는 뇌》 《기억의 과학》 《사라진 세계》 《죽은 자들의 도시를 위한 교향곡》 《나는 내가 죽었다고 생각했습니다》 《베토벤 심포니》 《리얼리티 버블》 《시모어 번스타인의 말》 《하얗고 검은 어둠 속에서》 《클래식의 발견》 《고전적 양식》 《과학으로 풀어보는 음악의 비밀》 《쇼스타코비치》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1 당신의 음악 취향은 어떤가?	9
2 가사와 음악의 의미	29
3 음악과 감정	47
4 반복?놀람?소름	82
5 치유의 음악	102
6 음악을 들으면 똑똑해질까?	116
7 영화음악의 힘	131
8 당신은 음악에 재능이 있는가?	150
9 음에 대하여 몇 마디	163
10 선율에는 무엇이 들어있을까?	178
11 선율과 반주를 구분해서 듣기	207
12 귀에 들리는 것을 모두 믿지는 말라	218
13 불협화음	243
14 음악가는 우리의 감정을 어떻게 요리할까?	251
15 우리가 음악을 사랑하는 이유	280

알아두면 좋은 음악 상식	303
감사의 말	349
추천 음반과 영상	352
참고 문헌	356
찾아보기	38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