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31065 | |
005 | 20180223121547 | |
007 | ta | |
008 | 180221s2018 ulkad b 000c kor | |
020 | ▼a 9788959965618 ▼g 93700 | |
035 | ▼a (KERIS)BIB000014702578 | |
040 | ▼a 221016 ▼c 221016 ▼d 211009 | |
041 | 0 | ▼a kor ▼a chi |
082 | 0 4 | ▼a 495.711 ▼2 23 |
085 | ▼a 497.11 ▼2 DDCK | |
090 | ▼a 497.11 ▼b 2018 | |
100 | 1 | ▼a 이상규 ▼0 AUTH(211009)109734 |
245 | 1 0 | ▼a 직서기언 : ▼b 해석 훈민정음 : ▼b 말하는 대로 적을 수 있는 직서기언의 글자 / ▼d 이상규 지음 |
246 | 0 | ▼i 한자표제 ▼a 直書其言 |
260 | ▼a 서울 : ▼b 경진출판, ▼c 2018 | |
300 | ▼a 355 p. : ▼b 삽화, 도표 ; ▼c 19 cm | |
504 | ▼a 참고문헌: p. 347-355 | |
546 | ▼a 漢韓對譯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11 2018 | 등록번호 11178668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497.11 2018 | 등록번호 15134006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11 2018 | 등록번호 11178668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497.11 2018 | 등록번호 15134006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세종 25(1443)년 12월에 세종이 창제한 우리나라의 글자 '훈민정음'의 제정 원리를 요약한 한문본 <훈민정음 예의>와 이것을 훈민정음으로 언해한 <훈민정음 언해>, 그리고 세종과 집현전 학사와 함께 예의를 확대 해설한 <훈민정음 해례>에 대한 연구서들은 지금까지 비교적 많이 있다.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보면 저술자의 학문적 입장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드러내기도 한다. 이 책은 그런 면에서 지금까지 논의된 여러 가지 학문적 입장을 총합하여 쓴 전문가용이라기보다는 일반 대중용으로 쓴 책이다.
대중을 위한 해석 훈민정음, ≪직서기언≫
세종 25(1443)년 12월에 세종이 창제한 우리나라의 글자 ‘훈민정음’의 제정 원리를 요약한 한문본 ≪훈민정음 예의≫와 이것을 훈민정음으로 언해한 ≪훈민정음 언해≫, 그리고 세종과 집현전 학사와 함께 예의를 확대 해설한 ≪훈민정음 해례≫에 대한 연구서들은 지금까지 비교적 많이 있다.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보면 저술자의 학문적 입장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드러내기도 한다. 이 책은 그런 면에서 지금까지 논의된 여러 가지 학문적 입장을 총합하여 쓴 전문가용이라기보다는 일반 대중용으로 쓴 책이다.
한 권의 절제된 훈민정음 해설서
우리 민족의 글자인 ‘한글’과 관련된 주요한 기록물인 ≪훈민정음 예의≫, ≪훈민정음 언해≫, ≪훈민정음 해례≫에 대해서는 우리 모두가 상식적인 수준에서 이에 대한 이해가 절실하게 필요하다. 인류 역사상 인위적으로 만든 문자 가운데 ‘한글’이 가장 우수하다는 자부심만 가질 것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들로 이루어져 있는지 이해할 필요가 있다.
한글 문자에 대한 해설을 담고 있는 기록물인 훈민정음 해례가 현재 남아 있어 유네스코에서는 인류 기록문화유산으로 등재하였다. 2007년부터 세계 특허 출원에 한글이 자격을 획득함으로써 세계적인 중요 문자로 인정받게 되었다. 이처럼 ‘한글’은 우리들이 물려받은 매우 자랑할 만한 민족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말하는 대로 적을 수 있는 한글
세종이 창제한 훈민정음 곧 언문을 최만리는 직서기언(直書其言)으로 규정했다. 말하는 대로 적는 글이라는 뜻이다. 한자로 우리말을 적을 수 없었던 불편함을 인문일치(言文一致)로 적을 수 있는 글자라는 뜻이다. 말하는 대로 적을 수 있는 한글의 위대함을 단 한 마디로 표현한다면 바로 ‘직서기언’의 글자라고 할 수 있다. 훈민정음의 문자를 해설한 ≪훈민정음 예의≫, ≪훈민정음 언해≫, ≪훈민정음 해례≫를 풀이하고 해설한 이 책은 온 국민이 꼭 알아두어야 할 교양서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머리글 제1편 ≪훈민정음 예의≫ 제2편 ≪훈민정음 해례(解例)≫ 제1장 제자해(制字解) 제2장 초성해(初聲解) 제3장 중성해(中聲解) 제4장 종성해(終聲解) 제5장 합자해(合字解) 제6장 용자례(用字例) 제7장 정인지 서문 제3편 언해본 제4편 훈민정음 관련 자료 해석 제5편 부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