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31015 | |
005 | 20180222190055 | |
007 | ta | |
008 | 180221s2017 ulkad b 001c kor | |
020 | ▼a 9788968174629 ▼g 93700 | |
035 | ▼a (KERIS)BIB000014505959 | |
040 | ▼a 222003 ▼c 222003 ▼d 211009 | |
082 | 0 4 | ▼a 414 ▼2 23 |
085 | ▼a 414 ▼2 DDCK | |
090 | ▼a 414 ▼b 2017 | |
100 | 1 | ▼a 윤관희 ▼0 AUTH(211009)17290 |
245 | 1 0 | ▼a 아프리카어 화자의 다중언어의 음성·음운론적 특성 : ▼b 영어와 한국어를 중심으로 / ▼d 윤관희 지음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17 | |
300 | ▼a 363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440 | 0 0 | ▼a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총서 ; ▼v 39 |
504 | ▼a 참고문헌(p. 353-359)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14 2017 | 등록번호 11178663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총서 39권. 아프리카 원주민어의 음성학적 특징을 실험을 통해 규명 및 보완했고, 음운규칙의 적용 가능성 측면에서 새롭게 조명했으며, 국내에서 제2언어와 제3언어의 언어변이형을 동시에 규명한 최초의 연구서이다. 단순한 이론서가 아니라, 실험을 통해 최신 언어학 흐름의 규명과 보완을 시도한 실증적 연구서로서 가치를 지닌다.
본서는 단순한 이론서가 아니라, 실험을 통해 최신 언어학 흐름의 규명과 보완을 시도한 실증적 연구서로서 가치를 지닌다. 실험에 흔쾌히 참여해 준 아프리카인 화자들에게 깊은 감사를 드린다. 대구대학교와 영남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부생 및 대학원생, 경산과 대구 지역에 거주하는 르완다인, 콩고인, 나이지리아인 및 이디오피아인들에게 심심한 감사를 표하고 싶다.
이 책을 통해 아프리카 지역 화자들의 영어 변이형과 한국어 변이형에 관한 학문적 지식이 축적되고, 추후에 한국과 이들 국가간의 이해 증진 및 의사소통에도 기여를 하는 것을 기대한다.
[머리말]
최근의 언어학의 흐름 가운데서 주목할 만한 분야는 언어 변이(language variation)이다. 언어의 각 성분의 기본 단위인 음, 단어의 발음, 문장 구조 등에서 다양한 변이형이 존재한다. 통시적(diachronic) 관점에서의 역사적 변이형뿐만 아니라, 공시적(synchronic) 관점에서 바라본 지역방언 변이형을 비롯해서 다양한 사회언어학적 변이형이 존재한다.
본서는 다양한 변이형 가운데서, 아프리카인 화자들이 발화하는 제2언어인 영어의 지역 변이형과, 아프리카인 화자들이 학습하는 제3언어인 한국어의 학습자 변이형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20세기 후반 들어서 교통과 통신의 발달, 교육 기회의 확장으로 인한 제2언어 및 제3언어 학습의 증가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서 세계의 많은 언어 화자들이 다중언어 사용자(multi-linguals)가 되면서 그 수가 급격히 증가했다. 이들이 사용하는 제2언어와 제3언어의 양상을 기술적 및 이론적으로 규명하는 작업은 언어학뿐만 아니라, 언어 사용자들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이해하고 증진하는데 큰 기여를 할 것임은 말할 나위가 없다.
고로 개인이 노출되는 다양한 언어 간의 접촉(language contact)이 다중언어 사용자들의 언어 사용 양상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마련이다. 가령 가정에서 부모와 가족, 친척 및 또래 집단에서는 원주민어를 제1언어로 습득하게 되지만 공식 교육 기관에서 교육을 받을 때는 국가 지정 공용어를 제2언어로 사용하게 된다. 이 경우 교육 기관에서 노출되는 제2언어를 학습할 때 제1언어의 영향 및 노출된 환경에서 습득하는 제2언어 사용자의 발화로부터 큰 영향을 받을 것이다. 또한 이들이 외국으로 갈 경우 제3언어의 숙달을 요구받게 된다. 즉 제1언어, 제2언어 및 제3언어는 상호작용을 하면서 다양한 변이형을 산출할 것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볼 때, 한국에서 유학생활을 하거나 생활하게 된 아프리카 학생들의 언어 변이형은 연구할만한 가치가 있다. 2000년 이후 무렵, 한국의 대학교에는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및 남미 등 제3세계에서 유학생 또는 이민을 온 언어 사용자들이 급격히 늘었다. 특히 아프리카 지역 언어 사용자들은 대부분 부족언어(ethnic or tribal language)를 제1언어로 사용하고, 교육, 행정, 무역 분야에서는 영어 또는 불어를 제2언어로 사용한다. 그리고 한국에서 생활하는 아프리카 지역 출신 언어 사용자들은 한국어를 제3언어로 사용하고 있다. 이런 실정에서 그들의 제2언어인 영어의 변이형 및 제3언어인 한국어의 변이형에 대한 연구는 언어변이 분야뿐만 아니라 언어접촉 분야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아프리카 출신 언어 사용자의 제2언어인 영어와 제3언어인 한국어의 음성학적 및 음운론적 특징을 기술하는 것이 본서의 주요 목적이다. 1장에서는 세계어의 영어의 지역 방언과 변이형을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기술했다. 2장에서는 아프리카 지역 출신 화자들의 제2언어와 제3언어인 영어와 한국어의 음성 및 음운론적 특징을 간략히 기술했다. 3장에서는 아프리카 국가 중에서 4개국을 임의로 선택해서, 르완다, 콩고, 나이지리아, 이디오피아 국가의 언어를 기술했다. 해당 국가의 역사적 배경과 언어적 상황을 간략히 서술하고, 각 나라에서 사용되는 주요한 제1언어인 키냐르완다, 키콩고, 링갈라, 하우사, 암하라어의 음성 및 음운론적 특징을 기술했다. 본서는 기존 연구들이 음운론적 특성 기술에 치우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해당 국가 출신의 화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제1언어에 속한 단어 자료를 가지고 발화 실험을 실시했다. 실험결과를 분석한 후 해당 언어의 음향학적 특징을 기술함으로써 기존의 음운론적 기술을 보완했다. 4장에서는 해당 아프리카 지역 화자들이 제2언어로 습득한 영어의 음성 및 음운론적 특성을 규명했다. 이를 위해서 역시 영어 단어 자료를 가지고 발화 실험을 함으로써, 제2언어의 음성적 특징을 밝히고, 음운규칙을 발화하는 양상을 음운변이형적 관점에서 기술했다. 5장에서는 동일한 아프리카 화자들이 한국에서 습득한 제3언어인 한국어의 음성 및 음운론적 특징을 기술했다. 이들이 한국어 단어를 발화하는 실험에 참가하고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제3언어인 한국어 분절음의 음향학적 특징과 한국어 음운규칙의 발화 양상을 음운 규칙의 적용가능성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6장 결론에서는 제1언어, 제2언어 및 제3언어의 특징을 언어접촉 및 상호작용이란 측면에서 논의했다.
본서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아프리카 원주민어의 음성학적 특징을 실험을 통해 규명 및 보완했다. 둘째, 아프리카 지역 화자들의 영어 변이형을 음운규칙의 적용 가능성 측면에서 새롭게 조명했다. 셋째, 국내에서 제2언어와 제3언어의 언어변이형을 동시에 규명한 최초의 연구서이다.
본서는 단순한 이론서가 아니라, 실험을 통해 최신 언어학 흐름의 규명과 보완을 시도한 실증적 연구서로서 가치를 지닌다. 실험에 흔쾌히 참여해 준 아프리카인 화자들에게 깊은 감사를 드린다. 대구대학교와 영남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부생 및 대학원생, 경산과 대구 지역에 거주하는 르완다인, 콩고인, 나이지리아인 및 이디오피아인들에게 심심한 감사를 표하고 싶다.
이 책을 통해 아프리카 지역 화자들의 영어 변이형과 한국어 변이형에 관한 학문적 지식이 축적되고, 추후에 한국과 이들 국가간의 이해 증진 및 의사소통에도 기여를 하는 것을 기대한다.
본서를 기획하고 출판하는데 물심양면을 아끼지 않은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에 감사드리며, 출판에 협조해 주신 한국문화사 사장님과 출판진에도 사의를 표하는 바이다.
2017년 대구대학교 비호동산 연구실에서
정보제공 :

목차
서문 1장 서론 1.1 영어의 지역 방언과 변이형 1.1.1 필리핀 영어의 음운론적 특징 1.1.2 호주 영어의 음운론적 특징 1.1.3 아프리카 영어의 음운론적 특징 1.1.3.1 서아프리카 영어(WAE) 1.1.3.2 동아프리카 영어(EAE) 1.1.3.3 남아프리카 영어(SAE) 1.2 제2언어와 제3언어 2장 아프리카인의 제2 및 제3언어: 영어와 한국어의 음운론 기초 2.1 제2언어 영어 2.1.1 자음과 모음의 특징 2.1.2 음운규칙 2.1.2.1 동화 2.1.2.2 이화 2.1.2.3 탈락 2.1.2.4 삽입 2.1.2.5 융합 2.2 제3언어 한국어 2.2.1 자음과 모음의 특징 2.2.2 음운규칙 2.2.2.1 동화 2.2.2.2 탈락 2.2.2.3 첨가 2.2.2.4 융합 2.2.2.5 중화 2.2.2.6 기타 2.3 연구 방법 3장 아프리카인의 제1언어의 음운론적 특징5 3.1 르완다: 키냐르완다(Kinyarwanda) 3.1.1 르완다의 역사와 언어 3.1.2 키냐르완다 음성 및 음운론 3.2 콩고: 키콩고(Kikongo)와 링갈라(Lingala) 3.2.1 콩고의 역사와 언어 3.2.2 키콩고어의 음성 및 음운론 3.2.3 링갈라의 음성 및 음운론 3.3 나이지리아: 하우사(Hausa) 3.3.1 나이지리아의 역사와 언어 3.3.2 하우사어의 음성 및 음운론 3.4 이디오피아: 암하라(Amharic) 3.4.1 이디오피아의 역사와 언어 3.4.2 암하라어의 음성 및 음운론 4장 아프리카인의 제2언어로서의 영어의 음성 및 음운론적 특징 4.1 르완다인의 영어 4.1.1 자음과 모음 4.1.2 영어 음성 및 음운규칙 4.2 콩고인의 영어 4.2.1 자음과 모음 4.2.2 영어 음성 및 음운규칙 4.3 나이지리아인의 영어 4.3.1 자음과 모음 4.3.1 자음과 모음 4.3.2 영어 음성 및 음운규칙 4.4 이디오피아인의 영어 4.4.1 자음과 모음 4.4.2 영어 음성 및 음운규칙 5장 아프리카인의 제3언어로서의 한국어의 음성 및 음운론적 특징 5.1 르완다인 학습자 5.1.1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5.1.2 한국어 음성 및 음운규칙 5.2 콩고인 학습자 5.2.1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5.2.2 한국어 음성 및 음운규칙 5.3 나이지리아인 학습자 5.3.1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5.3.2 한국어 음성 및 음운규칙 5.4 이디오피아인 학습자 5.4.1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5.4.2 한국어 음성 및 음운규칙 6장 결론: 아프리카인 다중언어 사용자의 언어 양상 6.1 제1언어와 제2언어의 상호작용 6.1.1 아프리카인의 제2언어 학습 시기 6.1.2 아프리카인의 제1언어의 전이 6.1.3 보편문법의 영향 6.2 제2언어의 음운 변이형 6.3 제3언어의 음성 및 음운론적 특징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