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효, 순간을 넘어 영원을 사는 길

효, 순간을 넘어 영원을 사는 길 (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신정근 辛正根, 1965-
서명 / 저자사항
효, 순간을 넘어 영원을 사는 길 / 신정근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문사철,   2016  
형태사항
187 p. : 삽화, 도표 ; 21 cm
ISBN
9791186853146
서지주기
참고문헌(p. 181-183)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30837
005 20180307120554
007 ta
008 180219s2016 ulkad b 001c kor
020 ▼a 9791186853146 ▼g 93150
035 ▼a (KERIS)BIB00001416353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173 ▼2 23
085 ▼a 173 ▼2 DDCK
090 ▼a 173 ▼b 2016z1
100 1 ▼a 신정근 ▼g 辛正根, ▼d 1965- ▼0 AUTH(211009)73719
245 1 0 ▼a 효, 순간을 넘어 영원을 사는 길 / ▼d 신정근 지음
260 ▼a 서울 : ▼b 문사철, ▼c 2016
300 ▼a 187 p. : ▼b 삽화, 도표 ; ▼c 21 cm
504 ▼a 참고문헌(p. 181-183)과 색인수록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73 2016z1 등록번호 51103619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효(孝)는 동아시아 사상문화의 핵심이다. 저자는 효의 가장 초기 어원으로 알려진 '선사부모'가 아이의 어른 부축설이 아니라는 것을 밝혔다. 이것은 효가 친면적 가족 관계가 아니라 씨족 사회에서 기원을 둔다는 점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 이외에도 초기 의미에서 공자가 효의 의미를 전환시키고 진한제국에서 다시 전환을 하게 되는 과정을 밝히고 있다.

책에 대하여

동아시아 사상문화의 개념과 주제 중에는 충분히 연구가 진행된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효(孝)하면 동아시아 사상문화의 핵심이므로 그에 대한 연구가 많으리라고 예상할 수 있다. 국내 연구로는 개별 문헌과 사상가의 효도를 연구한 경우는 많다. 아직 효의 전체 역사를 통관할 수 있는 성과가 없는 편이다.
이 책에서 효의 가장 초기 어원으로 알려진 ‘선사부모(善事父母)가 아이의 어른 부축설이 아니라는 것을 밝혔다. 이것은 효가 친면적 가족 관계가 아니라 씨족 사회에서 기원을 둔다는 점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 이외에도 초기 의미에서 공자가 효의 의미를 전환시키고 진한제국에서 다시 전환을 하게 되는 과정을 밝혔다. 이것은 모두 기존 학계의 논의에 없던 새로운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신정근(지은이)

남강이 흐르는 의령 장박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에서 동‧서 철학을 배우고 한제국의 금고문 논쟁을 주제로 석사 학위를, 인(仁) 개념의 형성 과정을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의 학장으로 긴 세월 헌신하였다. 근래에는 주로 시대와 사회의 맥락에서 철학과 예술 미학의 형성과 전개 과정을 다양한 연구 성과로 밝혀내고 있다. 요즘 현대 철학 없는 동양 철학의 문제를 새롭게 풀어내려고 하면서 동양철학 텍스트의 재해석에 열을 올리고 있다. 아울러 철학 사상 위주의 동양학을 예술 미학의 맥락에서 재조명하고자 긴 준비기간을 보내고 있다. 『마흔 논어를 읽어야 할 시간』, 『오십 중용이 필요한 시간』, 『맹자의 꿈』, 『동양철학의 유혹』, 『사람다움의 발견』, 『논어의 숲 공자의 그늘』 등 다수의 저서를 집필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 들어가는 글 

서론 
1.	문제제기 
2.	효도의 위상 변화 
시대별: 보편 도덕에서 부분 윤리로 
세대별: 공감의 변화 
성별: 노동의 불평등한 배분 
3.	연구사 검토 
효의 의미 변화 
연구 방법 

효의 기원과 의미 변화 
1.	효의 기원 
‘선사부모’의 어원 비판 
효 자의 출현 시기 
효의 초기 의미 
2.	『논어』에 나타난 효의 의미와 그 특성 
초기 의미의 계승 
새로운 효의 의미: 정서적 공감 
『논어』에 나타난 효의 특성 
3. 『효경』에 나타난 효의 의미와 그 특성 
유자의 고리를 발전시키다 
효의 새로운 의미: 사회 질서의 창출 
『효경』에 나타난 효의 특징 

맺음말 

■ 후기 
■ 참고문헌 
■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종수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