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30815 | |
005 | 20180307140142 | |
007 | ta | |
008 | 180219s2016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28508846 ▼g 94380 | |
020 | 1 | ▼a 9788928503599 (Set) |
035 | ▼a (KERIS)BIB000014210079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780.9519 ▼2 23 |
085 | ▼a 780.953036 ▼2 DDCK | |
090 | ▼a 780.953036 ▼b 2016 | |
100 | 1 | ▼a 김성혜 ▼g 金聖惠 ▼0 AUTH(211009)17573 |
245 | 1 0 | ▼a 도상을 통해 본 통일신라음악 연구 / ▼d 김성혜 |
246 | 1 1 | ▼a A study of the unified Silla music through icon |
246 | 3 1 | ▼a Study of the unified Silla music through icon |
260 | ▼a 서울 : ▼b 민속원, ▼c 2016 | |
300 | ▼a 423 p. : ▼b 삽화(일부천연색) ; ▼c 24 cm | |
440 | 0 0 | ▼a 민속원 아르케북스 = ▼x Minsokwon archebooks ; ▼v 69 |
504 | ▼a 참고문헌 (p. 389-396)과 색인수록 | |
900 | 1 0 | ▼a Kim, Sung-hye,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80.953036 2016 | 등록번호 51103615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민속원 아르케북스 39권. 저자는 모든 유물과 유적을 직접 보거나 현장을 답사한 후 연구를 진행하였고 이 책은 그 결과물이다. 통일신라시대 도상圖像 관련 자료를 바탕으로 그 시대 음악을 연구한 13편의 논문과 발해음악 관련 논문 1편을 한 권으로 엮었다. 즉, 통일신라 도상 자료 전반에 관한 글 2편, 부도와 불상 및 전돌과 기와 관련 글 5편, 유물과 유적지 관련 3편, 그림과 벽화 관련 2편 그리고 도상 자료의 활용에 관한 글 2편 등이다.
통일신라음악사 연구의 초석을 마련하다.
지금까지 몇몇 선학들에 의해 통일신라와 발해의 도상 자료가 소개되고 연구된 바 있다. 그러나 유물이 있는 현장을 직접 가서 관찰하지 않았기 때문에 유물 전체를 소개하지 않았고, 또 일부 오류도 있었다. 또 어떤 유물은 소개조차 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나는 모든 유물과 유적을 직접 보거나 현장을 답사한 후 연구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물이 바로 이 책이다. 통일신라와 발해의 음악 연구에서 내가 만난 이들은 신라 가무악歌舞樂 천인天人 혹은 악인樂人들이다. 그들은 부도와 범종 표면에서 또는 불상 대좌와 기와 혹은 전돌에서 내가 다가갈 때까지 기다리고 있었다. 이제 약 20년이 넘도록 내가 만난 그들과의 교감 내용을 이 한 권의 책에 펼치고자 한다.
내가 사는 곳 경주는 신라 고도古都이다. 1990년대 초반에 이곳의 음악을 찾고자 시도한 것이 내 연구의 출발점이었다. 이 책은 통일신라시대 도상圖像 관련 자료를 바탕으로 그 시대 음악을 연구한 13편의 논문과 발해음악 관련 논문 1편을 한 권으로 엮은 것이다. 즉, 통일신라 도상 자료 전반에 관한 글 2편, 부도와 불상 및 전돌과 기와 관련 글 5편, 유물과 유적지 관련 3편, 그림과 벽화 관련 2편 그리고 도상 자료의 활용에 관한 글 2편 등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통일신라 도상자료 개요 1장 통일신라 음악고고학 자료의 종류와 특징 1. 기존 자료의 종류와 문제점 2. 새로운 자료의 소개 3. 통일 이전 시기 및 당의 유물과 비교 4. 통일신라시대 음악고고학 자료의 특징 2장 통일신라 음악고고학 자료의 재조명 1. 통일신라시대 음악고고학 자료의 재조명 2. 음악고고학 연구를 위한 제언 제2부 부도와 불상, 전돌과 기와 속의 주악상 1장 쌍봉사 철감선사 징소탑의 무악상 1. 철감선사 징소탑의 건립 시기에 대하여 2. 부도의 무악상舞樂像 3. 부도의 음악사적 의미 2장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의 주악상 1. 부도와 탑비의 건립 배경과 시기 2. 부도의 구도와 각부 명칭 3. 부도의 주악상 4. 또 다른 시선 3장 원주 일산동 불상의 주악상 1. 불상의 구조와 편년 2. 동쪽불상 대좌 중대석의 무악상 3. 음악사적 의미 4장 통일신라 전돌에 나타난 비파 1. 녹유주악천인문전돌 2. 불상문전돌 3. 전돌에 나타난 비파의 의미 5장 생소병주의 연원 1. 고대의 생과 우 2. 기와 속의 생소병주 3. 생소병주형 암막새의 제작시기 4. 생소병주의 연원은 신라다 제3부 유물과 유적 1장 정창원의 신라금 1. 정창원 신라금을 가야금으로 본 논리 구성 2. 기존의 견해와 해석 3. 정창원의 신라금은 ‘가야금’이 아니라 ‘신라금’이다 2장 월지 출토 음악 자료 1. 월지의 출토유물 2. 문헌기록 검토 3. 음악사적 의의 3장 경주 남산의 음악 유적 1. 사금갑射琴匣의 서출지 2. 옥보고의 금송정琴松亭 3. 비파골의 비파암 제4부 그림과 벽화 1장 고구려와 신라 기악의 성격 1. 고대 ‘기악’의 의미 2. 고구려 기악의 종류와 성격 3. 신라 기악의 종류와 성격 4. 고구려와 신라 기악의 성격 2장 발해 정효공주묘 동·서 벽화의 재해석 1. 발견 경위와 무덤의 구성 2. 동 ? 서 벽화의 재해석 3. 정효공주묘 동·서 벽화의 새로운 이해 제5부 도상자료의 활용 1장 만파식적 설화의 활용 방안 1. 만파식적 설화의 내용 검토 2. 만파식적 관련 고고학 자료 3. 만파식적 설화의 활용 방안 2장 신라고취대의 악기 편성 1. 신라 고취 관련 문헌 검토 2. 고구려, 당, 고려 고취대 검토 3. 신라 고취대의 편성악기 4. 신라 고취대 악기 편성 방안 논문출처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