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30474 | |
005 | 20221212170928 | |
007 | ta | |
008 | 180213s2018 ulkad b 001c kor | |
020 | ▼a 9788968175909 ▼g 93700 | |
035 | ▼a (KERIS)BIB000014702185 | |
040 | ▼a 221016 ▼c 221016 ▼d 211009 | |
082 | 0 4 | ▼a 495.7700285 ▼2 23 |
085 | ▼a 497.700285 ▼2 DDCK | |
090 | ▼a 497.700285 ▼b 2018 | |
245 | 2 0 | ▼a (컴퓨터를 활용한) 방언학 연습과 실제 / ▼d 이상규 외 지음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18 | |
300 | ▼a x, 361 p. : ▼b 천연색삽화, 도표 ; ▼c 23 cm | |
500 | ▼a 부록: 1. 조사 질문지 및 그림책 예시, 2. 세계 각국의 방언 지도 예시, 3. 한국방언지도와 해석의 실제 예시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이상규 ▼g 李相揆, ▼e 저 ▼0 AUTH(211009)109734 |
700 | 1 | ▼a 김덕호 ▼g 金德鎬, ▼e 저 ▼0 AUTH(211009)3786 |
700 | 1 | ▼a 김무식 ▼g 金武植, ▼e 저 ▼0 AUTH(211009)98253 |
700 | 1 | ▼a 민영란 ▼g 閔英蘭, ▼e 저 |
700 | 1 | ▼a 김경숙 ▼g 金京淑, ▼e 저 |
700 | 1 | ▼a 안귀남 ▼g 安貴男, ▼e 저 ▼0 AUTH(211009)80304 |
700 | 1 | ▼a 瀧口惠子, ▼e 저 ▼0 AUTH(211009)91419 |
700 | 1 | ▼a 홍기옥 ▼g 洪奇玉, ▼e 저 ▼0 AUTH(211009)119033 |
700 | 1 | ▼a 천명희, ▼g 千明熙, ▼d 1974-, ▼e 저 ▼0 AUTH(211009)112995 |
700 | 1 | ▼a 이현주 ▼g 李弦宙, ▼e 저 |
700 | 1 | ▼a 조정아 ▼g 曺禎我, ▼e 저 ▼0 AUTH(211009)63313 |
700 | 1 | ▼a 강이경 ▼g 姜利京, ▼e 저 ▼0 AUTH(211009)14996 |
700 | 1 | ▼a 왕민 ▼g 王民, ▼e 저 |
700 | 1 | ▼a 張珍, ▼e 저 ▼0 AUTH(211009)122541 |
700 | 1 | ▼a 강혜미 ▼g 姜惠美, ▼e 저 |
700 | 1 | ▼a 한송이, ▼e 저 ▼0 AUTH(211009)18477 |
900 | 1 0 | ▼a Takiguchi, Keiko, ▼e 저 |
900 | 1 0 | ▼a Zhang, Zhen, ▼e 저 |
900 | 1 0 | ▼a 다키구치 게이코, ▼e 저 |
900 | 1 0 | ▼a 짱쩐,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700285 2018 | 등록번호 11178618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497.700285 2018 | 등록번호 15133965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700285 2018 | 등록번호 11178618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497.700285 2018 | 등록번호 15133965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필자가 개발한 언어지도 제작 시스템은 방언지도 제작도구(Map-maker) 프로그램과 그 운용방법, 그리고 기본적인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습자가 임의로 언어지도를 도식하고 다양한 상징지도를 제작한 다음 방언 분포에 대한 해설을 할 수 있는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한 학습자 중심의 방언학 교재이다.
다양한 사실을 지도에 올려 나타냄으로써 얼마나 더 효율적으로 사실의 본질에 다가설 수 있는지, 그리고 방언의 분화형과 같은 우리의 일상의 다양한 경험과 사태들을 방언지도를 응용하여 나타낼 수 있는지를 체험하며, 이 방언학 연습 교재를 토대로 학습하여 이 분야에서의 연구자가 더 많이 나타나기를 기대한다.
이 책은 학생들 스스로가 조사하고 체험하는 참여자 중심의 수업방식으로 변화를 통한 창의교육을 위해 만든 학습자 중심의 방언학 교재이다. 학부와 대학원 과정의 난이도에 따라 교수법을 조금씩 달리하여 학습자 스스로 깨우치는 학습자 중심의 교재이다.
필자가 개발한 언어지도 제작 시스템은 방언지도 제작도구(Map-maker) 프로그램과 그 운용방법, 그리고 기본적인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습자가 임의로 언어지도를 도식하고 다양한 상징지도를 제작한 다음 방언 분포에 대한 해설을 할 수 있는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한 학습자 중심의 방언학 교재이다.
다양한 사실을 지도에 올려 나타냄으로써 얼마나 더 효율적으로 사실의 본질에 다가설 수 있는지, 그리고 방언의 분화형과 같은 우리의 일상의 다양한 경험과 사태들을 방언지도를 응용하여 나타낼 수 있는지를 체험하며, 이 방언학 연습 교재를 토대로 학습하여 이 분야에서의 연구자가 더 많이 나타나기를 기대한다. 나아가 방언지도 역시 GIS를 활용한 동태적 지도(Dynamic Maps) 제작의 문제나 음성 데이터를 대량 코퍼스로 구축할 수 있는 기술적 역량을 가진 연구자가 많이 등장하길 바란다.
[머리말] : 저자서평
필자는 그동안 방언학 연구를 위해 영국, 일본, 중국을 비롯한 우리나라 방언학의 개론서들을 지속적으로 소개하여 왔고 또 언어지도 제작 기술을 공부하기 위해 도쿄대학교 대학원에서 1년 동안 연구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언어지도 제작에 대한 저술도 출판하였다. 가장 최근에는 중국사회과학원 초청으로 중국사회과학원을 단기간 방문하였고 베이징대학교의 샹멍빙項夢? 교수의 ‘한어방언지리학’의 번역서를 간행하기도 하였다.
뒤돌아보면 언어분화의 체계적인 탐색을 더 깊이 천착하지 못하고 방법론적 연구에만 너무 오랜 시간 매달린 것 같다. 그동안 방언학 연구, 특히 방언지리학적 측면에서 방언의 분화 요인 곧, 공간적 분화의 시간적 연계성을 찾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언어지도를 그려 그 분화의 제반 요인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일이 가장 중요한 연구 과제라고 생각했던 결과이다.
그러나 방언 분화의 요인을 공간과 시간의 두 축에서 해결하지 못하는 사례들이 너무나 많이 있다. 언어 정책의 영향이나 종족의 이동이나 정치적 식민 등, 언어 지리적 분화의 외적인 요인에 관한 연구는 물론 차용어의 연구나 계통어의 외적 비교 방식이 공간과 시간적 연계성을 이어주는 만큼이나 중요하다. ‘부추’라는 방언분화형 가운데 ‘솔’, ‘졸’이라는 서남지역의 방언형을 어원적 연계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예족濊族 곧 여진어에서 ‘채소菜蔬’를 뜻하는 ‘[*sol]’의 차용 관계로 설명하지 않으면 그 해석이 불가능한 일이다. 또 ‘가래떡’의 동남 방언형인 ‘골무떡’의 관계 역시 마찬가지이다. 여진어에서 ‘길(長)-’의 의미를 지닌 ‘[*kolmi, kolmu]’와의 복합어라는 사실을 파악하지 못하면 ‘골무떡’의 방언분화형에 대한 설명이 도저히 불가능하다. 이처럼 어휘사 연구에서 ‘공간ㅡ시간’과의 유기적 관계에서 ‘공간(x)ㅡ시간(y)ㅡ계통(z)’의 세 가지 측면에서 방언 분화 요인을 모색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기해 볼 필요가 있다. 이처럼 미래 방언 연구는 그 연구 방법을 다양하게 모색해야 한다.
이 책은 대학 강의용 교재로 학생들 스스로가 조사하고 체험하는 참여자 중심의 수업 방식의 변화를 통한 창의 교육을 위해 만든 학습자 중심의 방언학 교재이다. 학부와 대학원 과정의 난이도에 따라 교수 방식을 조금씩 달리하여 학습자 스스로 깨우치는 학습자 중심 교재를 기존의 ‘방언학(2003/2007)’ 저술을 바탕으로 경북대학교 방언연구실 제자들과 함께, 새롭게 편집해 보았다. 이 책은 필자가 30여 년 동안의 대학 교단을 떠나면서 방언학 강의를 담당하고 있는 교수들이나 학습자들에게 물려주고 싶은 선물이기도 하다.
교재외에한국문화사홈페이지(http://hankookmunhwasa.co.kr→우측 상단 배너에 있는 고객센터→download 게시판)에 필자가 개발한 언어지도 제작 시스템인 방언지도 제작도구Map-maker 프로그램의 운용 방법을 비롯하여 기본적인 실습용 데이터를 올려놓았다. 학습자가 임의로 참여하여 다양한 상징지도를 제작한 다음, 방언 분포에 대한 해설을 스스로 할 수 있는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학습자 중심 방언학 교재이다.
이 방언학 연습 교재를 발판으로 학습한 분들이 이 분야에서의 전공 연구자로 보다 많이 연구에 참여하여 정진하기를 기대한다. 나아가 GIS를 활용한 동태적 지도Dynamic maps 제작의 문제나, 음성 데이터를 대량 코퍼스로 구축할 수 있는 지속적인 기술 개발의 역량을 가진 연구자들이 많이 등장하기를 기원한다. 끝으로 다양한 사실을 지도에 올려 나타냄으로써 얼마나 더 효율적으로 사실의 본질에 다가설 수 있는지, 그리고 방언의 분화형과 같은 우리 일상의 다양한 경험과 사태들을 방언지도를 응용하여 나타낼 수 있는지를 체험해 주기를 바란다.
끝으로 필자의 영국, 일본, 중국, 한국 방언 관련 번역서와 저술을 지속적으로 출판해 준 한국문화사 김진수 사장님과 편집부 이은하 님에게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아마도 이 책이 필자의 방언학 관련 마지막 저술이 될 것이라 생각하니 한편으론 아쉬운 마음이 든다. 경북대학교 언어지도연구실의 모든 제자들, 특히 본격적인 지리언어학을 연구한 김경숙 박사와 한송이 군과 함께 오늘도 지리방언학의 발전을 위한 과제들을 토론하면서 2017년 저물어 가는 한 해를 되돌아본다. 앞으로 부족한 점은 계속 깁고 보완해 갈 것을 약속드린다.
2017년 12월 20일
여수서제에서 이 상 규
? 공동저자
김덕호(경북대), 김무식(경성대), 민영란(산동대), 김경숙(경북대), 안귀남(상지대), 다키구치 게이코(계명문화대), 홍기옥(위덕대), 천명희(안동대), 이현주(국립국어원), 조정아(한국학중앙연구원), 강이경(경북대), 왕민(경북대), 짱쩐(중국 웨이팡대), 강혜미(경북대), 한송이(경북대)
정보제공 :

목차
제1장 방언과 방언학 1. 방언이란 무엇인가 2. 언어와 방언 3. 방언과 표준어3 4. 방언을 왜 공부하는가 ㆍ 연습과제 제2장 지리방언학과 사회방언학 1. 방언학의 연구 방법 2. 방언학의 역사 ㆍ 연습과제 3. 세계의 방언 연구 3.1 독일의 방언 연구 3.2 프랑스의 방언 연구 3.3 영국의 방언 연구 3.4 이탈리아의 방언 연구 3.5 미국?캐나다의 방언 연구 3.6 일본의 방언 연구 3.7 중국의 방언 연구 ㆍ 연습과제 4. 한국어 방언 연구 ㆍ 연습과제 제3장 방언 조사와 자료 처리 1. 방언조사 과정 1.1 조사 목적 및 계획 수립하기 1.2 예비 조사 1.3 본 조사 1.4 자료 정리 및 확인 조사 ㆍ 연습과제 2. 방언조사 방법 2.1 조사 항목 2.2 질문지와 질문 방식 2.3 조사 지점과 조사 방법 2.4 제보자 선정 2.5 조사원 2.6 면담 2.7 녹음과 전사 1) Transcriber 1.4 사용 매뉴얼 2) 자료 DB 전사 지침 ㆍ 연습과제 3. 자료의 정리와 보고서 작성 3.1 자료의 정확성과 동질성 3.2 자료 정리 방법 3.3 조사 보고서 ㆍ 연습과제 4. 웹사이트를 이용한 방언자료 검색 4.1 인터넷의 활용 4.2 인터넷 자료의 활용 4.3 경제적인 정보 검색 4.4 국내의 방언학 정보 5. 자료의 해석 ㆍ 연습과제 제4장 언어지도 제작 1. 언어지도 1.1 언어지도의 개념과 의의 1.2 언어지도 작성의 약사 1.3 언어지도 형식 1.4 언어지도의 전산화 ㆍ 연습과제 2. 한국방언지도 제작의 현황과 미래 2.1 기존의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언어지도 제작 2.2 전용 지도 제작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언어 지도 3. Map-maker을 활용한 지도 제작 실습 3.1 ‘방언지도 제작도구(Map-maker)를 사용한 언어지도 작성 3.2 방언지도 제작을 위한 상징부호 선택 및 지도 해석 ㆍ 연습과제 제5장 한국어 지리방언학의 실제 1. 한국 방언의 특징 1.1 방언 음운 ㆍ 연습과제 1.2 방언 어휘?의미 ㆍ 연습과제 1.3 방언 문법(형태?통사) ㆍ 연습과제 2. 한국어 방언 구획 2.1 대방언권 2.2 하위 방언권 2.3 방언 구획 방법 ㆍ 연습과제 3. 한국 방언의 분포 3.1 한국 방언 어휘의 분포 유형 3.2 한국 방언 분포와 특징 ㆍ 연습과제 제6장 방언의 변화 1. 방언의 형성 1.1 외적 변화 1.2 내적 변화 ㆍ 연습과 2. 방언의 확산 2.1 형태음소론적 층위와 시간적?공간적 확산 2.2 한국 방언 확산의 유형 ㆍ 연습과제 제7장 방언학의 미래 1. 지리방언학적 방법의 영향과 한계 1.1 지리방언학의 일반언어학에 대한 기여 1.2 지리적 방법의 한계 및 위험성 ㆍ 연습과제 2. 지리방언학의 미래 2.1 지리정보시스템(GIS) 2.2 인접 학문과 교류의 필요성 ㆍ 연습과제 부록1 / 조사 질문지 및 그림책 예시 부록2 / 세계 각국의 방언 지도 예시 부록3 / 한국방언지도와 해석의 실제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