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대사 : 글로 쓴 텍스트에서 연출된 목소리로

대사 : 글로 쓴 텍스트에서 연출된 목소리로 (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Vassé, Claire, 1970- 박지회, 역
서명 / 저자사항
대사 : 글로 쓴 텍스트에서 연출된 목소리로 / 클레르 바세 지음 ; 박지회 옮김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0  
형태사항
140 p. : 삽화, 초상화 ; 20 cm
총서사항
카이에 뒤 시네마 영화이론 ;8
원표제
Le dialogue : du texte écrit à la voix mise en scène
ISBN
9788973008704 9788973007011 (세트)
서지주기
참고문헌: p. 138-140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30471
005 20181220111543
007 ta
008 180213s2010 ulkac b AR 000c kor
020 ▼a 9788973008704 ▼g 04680
020 1 ▼a 9788973007011 (세트)
035 ▼a (KERIS)BIB000012036796
040 ▼a 241018 ▼c 241018 ▼d 211009
041 1 ▼a kor ▼h fre
082 0 4 ▼a 791.437 ▼2 23
085 ▼a 791.437 ▼2 DDCK
090 ▼a 791.437 ▼b 2010
100 1 ▼a Vassé, Claire, ▼d 1970- ▼0 AUTH(211009)91682
245 1 0 ▼a 대사 : ▼b 글로 쓴 텍스트에서 연출된 목소리로 / ▼d 클레르 바세 지음 ; ▼e 박지회 옮김
246 1 9 ▼a Le dialogue : ▼b du texte écrit à la voix mise en scène
246 3 9 ▼a Dialogue
260 ▼a 서울 : ▼b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c 2010
300 ▼a 140 p. : ▼b 삽화, 초상화 ; ▼c 20 cm
440 0 0 ▼a 카이에 뒤 시네마 영화이론 ; ▼v 8
504 ▼a 참고문헌: p. 138-140
700 1 ▼a 박지회, ▼e▼0 AUTH(211009)84034
900 1 0 ▼a 바세, 클레르,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91.437 2010 등록번호 11178618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91.437 2010 등록번호 11180090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카이에 뒤 시네마 영화이론 시리즈 8권. 대사가 영화에서 가지는 역할과 기능에 대해 흥미로운 설명과 분석들을 보여주는 좋은 입문서이다. 이론적 고찰로 구성되는 1부의 1장에서 저자는 대사를 본질적으로 시나리오의 재료로 보고, 그것이 서사의 진행에서 어떤 기능과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풍부한 예와 더불어 살펴본다.

영화에서 대사는 플롯을 추동하고, 캐릭터를 드러내며, 관객에게 스토리 이해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고, 영화의 톤을 형성하는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그러나 태생이 무성인 영화에서 대사는 이미지에 비해 그 비중이 떨어지는 부차적인 요소로 간주되어 온 것도 사실이다. 이 책은 이러한 대사가 영화에서 가지는 역할과 기능에 대해 흥미로운 설명과 분석들을 보여주는 좋은 입문서이다. 대사만을 주제한 책이 거의 없는 실정에서 이 책이 담고 있는 다양한 대사의 면모들은 영화 미학의 쟁점들을 다시 한번 돌아보는 기회를 제공한다.
우선, 이론적 고찰로 구성되는 1부의 1장에서 저자는 대사를 본질적으로 시나리오의 재료로 보고, 그것이 서사의 진행에서 어떤 기능과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풍부한 예와 더불어 살펴본다. 또한 영화 대사를 문학 및 연극 대사와 비교하고, 시대에 따른 대사의 변화 및 국가에 따른 대사 지위의 차이를 일별해본다. 2장에서는 대사를 서사가 아닌 연출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그것이 시간 및 공간과 맺는 관계를 심도 있게 검토하면서, 대사가 궁극적으로는 미학적 혁신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3장에서는 대화 이외에 독백, 노래, 보이스오버 등 변칙적인 대사의 여러 형식들에 관해 살펴봄으로써, 대사에도 풍부한 잠재적 표현 가능성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해본다. 2부에서는 1부의 이론적 가설들을 증명할 수 있는 다양한 텍스트 분석을 시도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실제 대사를 쓰는 것뿐 아니라 학문적 관점에서의 대사 분석이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을지에 관한 유용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클레르 바세(지은이)

잡지 『포지티브Positif』의 평론가이며, 「프랑스 영화를 통해 살펴 본 모더니티의 쟁점으로서의 말」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프랑스의 한 영화제작회사에서 시나리오 개발 책임을 맡고 있다.

박지회(옮긴이)

파리 3대학 영화학과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한 후 이화여대에서 플로베르 문학 작품의 영화 각색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화여대, 강원대, 한국외대 등에서 영화 관련 강의를 하였다. 「영화 속 연극성 고찰」, 「위험한 관계의 영화적 변형」, 「샹탈 아케르만의 영화에 나타난 여성적 글쓰기」, 「스토리 소스로서의 동화의 재발견」 등 영화와 다른 매체의 비교, 상이한 매체의 스토리텔링을 다룬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장 르느와르>, <영화음악>, <대사> 등의 번역서가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서문 

1부 대사의 이론 
1장 시나리오 재료로서의 대사 
이야기의 주요 구성요소인 대사 
영화 대사의 특성들 
대사에 관한 역사적 일별 
2장 대사 연출 
이미지 안에서 대사의 위치 설정 
대사, 미장센의 한 쟁점 
사운드 재료로서의 대사 
3장 대사의 변칙들 
말의 과잉 
대사와 이미지: 복합적 구성 
에필로그 
침묵을 향하여 

2부 대사의 실제 
발췌문: 발성 영화에 대한 찬반 
참고자료:자막 기술 
발췌문:대화의 원칙들 
시퀀스 분석:조셉 맨케비츠의 <이브의 모든 것> 분석 
발췌문:작가의 말에 반대하여, 말의 자유를 위하여 
증언:배우 입장에서 본 대사: <엄마와 창녀>에서 프랑수아즈 르브랭 
시퀀스 분석:프랑수아 트뤼포의 <400번의 구타> 시퀀스 분석 
증언:대사를 쓴다는 것: 루비치의 <모퉁이 서점> 
참고자료:즉흥 대사: 고다르의 경우 
증언:현장 녹음과 후시 녹음 
증언:사운드 믹싱 
시퀀스분석:왕가위의 <화양연화> 시퀀스 분석 
참고 자료:대사의 변모: <두 영국 여인과 유럽 대륙>의 시나리오들 
쇼트 분석:전화: 말하는 자의 한 표상

관련분야 신착자료

정서경 (2023)
이도훈 (2023)
한국영화학회 (2022)
宇野常寛 (2022)
프로파간다 (2022)
한국사고와표현학회. 영화와의사소통연구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