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29341 | |
005 | 20180207105507 | |
007 | ta | |
008 | 180205s2017 ggka b 000c kor | |
020 | ▼a 9788949943091 ▼g 9391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951.90072 ▼2 23 |
085 | ▼a 953.0072 ▼2 DDCK | |
090 | ▼a 953.0072 ▼b 2017z2 | |
245 | 0 0 | ▼a 나의 자료 읽기, 나의 역사 쓰기 / ▼d 김인걸, ▼e 양진석 외 |
260 | ▼a 파주 : ▼b 경인문화사, ▼c 2017 | |
300 | ▼a x, 419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필자: 이민우, 장지연, 송웅섭 외 23인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700 | 1 | ▼a 김인걸 ▼g 金仁杰, ▼e 저 ▼0 AUTH(211009)130215 |
700 | 1 | ▼a 양진석 ▼g 梁擇寬, ▼e 저 ▼0 AUTH(211009)1636 |
700 | 1 | ▼a 이민우 ▼g 李民友, ▼e 저 ▼0 AUTH(211009)18441 |
700 | 1 | ▼a 장지연 ▼g 張志蓮, ▼e 저 ▼0 AUTH(211009)14357 |
700 | 1 | ▼a 송웅섭 ▼g 宋雄燮, ▼e 저 ▼0 AUTH(211009)112609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953.0072 2017z2 | Accession No. 111785671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0-06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김인걸(지은이)
1975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1991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조선후기 향촌사회 변동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2년부터 1986년까지 한신대학에 근무하였고, 1986년 9월 이후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조선시기 사회사 연구법>(공저, 1993), <20세기 역사학, 21세기 역사학>(공저, 2000), <정조와 정조시대>(공저, 2011), <조선후기 공론정치의 새로운 전개>(2017) 등이 있다. 주로 조선시대 향촌사회사 관련 글들을 써 왔고, 근자에는 전통문화와 한국인의 정체성에 관한 주제에 관심 갖고 글을 발표하고 있다.

Table of Contents
책을 내며 글 쓰며 산다는 것 -『나의 자료 읽기, 나의 역사 쓰기』에 부쳐∥김인걸 01 고려의 눈과 조선인의 눈 -『고려사』식화지의 두 가지 시선∥이민우 02 뻔한 사료의 새로운 읽기 - 정도전의 경복궁 전각명 기문∥장지연 03 조선 전기 왕실의 토지 경영과 『조선왕조실록』∥양택관 04 정치사 자료의 이면 읽기 - 안로의 기묘사림 저술과 그 다층적 함의∥송웅섭 05 「학교모범」다시 읽기∥김영인 06 율곡 이이가『경연일기』를 남긴 까닭은?∥김경래 07 「인조교서」와 척화의 시대∥허태구 08 왜정자문을 통해 본 외교문서의 액면과 진의∥김태훈 09 역사 속의 논쟁 읽기 -조선 현종대 국가 - 가(家) 관계에 대한 인식∥이민정 10 족보 서발문으로 시대 읽기∥권기석 11『탐라십경도』로 보는 조선후기 제주사회∥최 숙 12 차마 말할 수 없는 -실록이 말해주지 않는 것들∥최형보 13『비변사등록』과 나의 환곡연구 이야기∥양진석 14 조선후기 당론서와 당쟁사 연구∥최성환 15『동문휘고』와 조선시대 대외관계사 읽기∥김경록 16 정조와 어제 모음집『임헌제총』∥박현순 17 조선후기의 재판 기록과 사건사 가능성의 모색∥심재우 18 군문자료로 본 조선후기 군영의 성격변화 - 금위영을 중심으로∥유현재 19『화영일록』을 통해 살펴본 수원유수부의 재정운영∥조낙영 20『동궐도』로 읽는 19세기 정치사∥이민아 21 안동군『토지조사부』를 통해 본 19세기 사회와 경제∥정성학 22 『하나부사 요시모토 관계문서』로 보는 ''개화당''∥김흥수 23 내장원 자료로 살펴본 대한제국 광산 관리∥양상현 24 불구의 세속, ''자유''와 ''펼연'' 사이에서 한용운이 누락시킨 것∥장용경 25 비동시성의 동시성, 근현대 동계 자료 26 여론 조사 또는 여론 왜곡? - 점령기 미군정의 토지개혁 관련 여론 조사와 그 성격∥정용욱 27 대학을 통해 한국 현대사를 읽다 -각 대학''학교신문(학보)''∥오제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