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29041 | |
005 | 20180131103512 | |
007 | ta | |
008 | 180130s2014 ulkad b 001c kor | |
020 | ▼a 9788999704369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3539324 | |
040 | ▼a 241026 ▼c 241026 ▼d 211009 | |
082 | 0 4 | ▼a 371.926 ▼2 23 |
085 | ▼a 371.926 ▼2 DDCK | |
090 | ▼a 371.926 ▼b 2014 | |
110 | ▼a 한국학습장애학회 | |
245 | 1 0 | ▼a 학습장애 총론 : ▼b 전문성 구축을 위한 입문서 / ▼d 한국학습장애학회 편 |
246 | 1 1 | ▼a Introduction to learning disabilities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14 ▼g (2015 3쇄) | |
300 | ▼a 446 p. : ▼b 삽화, 도표 ; ▼c 24 cm | |
500 | ▼a 공저자: 강옥려, 강종구, 김소희, 김애화, 김용욱, 김윤옥, 김의정, 김자경, 변찬석, 서선진, 우정한, 이대식, 이원령, 정대영, 조은미, 최승숙, 최종근, 허승준, 허유성, 홍성두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강옥려, ▼e 저 ▼0 AUTH(211009)88258 |
700 | 1 | ▼a 강종구, ▼e 저 |
700 | 1 | ▼a 김소희, ▼e 저 |
700 | 1 | ▼a 김애화, ▼e 저 ▼0 AUTH(211009)36848 |
700 | 1 | ▼a 김용욱, ▼e 저 ▼0 AUTH(211009)61534 |
700 | 1 | ▼a 김윤옥, ▼e 저 ▼0 AUTH(211009)108092 |
700 | 1 | ▼a 김의정, ▼e 저 ▼0 AUTH(211009)95687 |
700 | 1 | ▼a 김자경, ▼e 저 ▼0 AUTH(211009)79476 |
700 | 1 | ▼a 변찬석, ▼e 저 |
700 | 1 | ▼a 서선진, ▼e 저 ▼0 AUTH(211009)99459 |
700 | 1 | ▼a 우정한, ▼e 저 ▼0 AUTH(211009)71137 |
700 | 1 | ▼a 이대식, ▼e 저 ▼0 AUTH(211009)7552 |
700 | 1 | ▼a 이원령, ▼e 저 |
700 | 1 | ▼a 정대영, ▼e 저 ▼0 AUTH(211009)90833 |
700 | 1 | ▼a 조은미, ▼e 저 |
700 | 1 | ▼a 최승숙, ▼e 저 ▼0 AUTH(211009)17971 |
700 | 1 | ▼a 최종근, ▼e 저 |
700 | 1 | ▼a 허승준, ▼e 저 ▼0 AUTH(211009)48335 |
700 | 1 | ▼a 허유성, ▼e 저 ▼0 AUTH(211009)56293 |
700 | 1 | ▼a 홍성두, ▼e 저 ▼0 AUTH(211009)55776 |
900 | 1 0 | ▼a Kang, Ock-ryeo, ▼e 저 |
900 | 1 0 | ▼a Kang, Jong-gu, ▼e 저 |
900 | 1 0 | ▼a Kim, So-hee, ▼e 저 |
900 | 1 0 | ▼a Kim, Ae-hwa, ▼e 저 |
900 | 1 0 | ▼a Kim, Yong-wook, ▼e 저 |
900 | 1 0 | ▼a KIm, Youn-ock, ▼e 저 |
900 | 1 0 | ▼a Kim, Ui-jung, ▼e 저 |
900 | 1 0 | ▼a Kim, Ja-kyoung, ▼e 저 |
900 | 1 0 | ▼a Byun, Chan-suk, ▼e 저 |
900 | 1 0 | ▼a Seo, Seon-jin, ▼e 저 |
900 | 1 0 | ▼a Son, Seung-hyun, ▼e 저 |
900 | 1 0 | ▼a Woo, Jeong-han, ▼e 저 |
900 | 1 0 | ▼a Lee, Dae-sik, ▼e 저 |
900 | 1 0 | ▼a Lee, Won-ryeong, ▼e 저 |
900 | 1 0 | ▼a Lee, Tae-su, ▼e 저 |
900 | 1 0 | ▼a Jung, Dae-young, ▼e 저 |
900 | 1 0 | ▼a Cho, Eun-mi, ▼e 저 |
900 | 1 0 | ▼a Choi, Seung-sook, ▼e 저 |
900 | 1 0 | ▼a Choi, Jong-keun, ▼e 저 |
900 | 1 0 | ▼a Hur, Suhng-june, ▼e 저 |
900 | 1 0 | ▼a Heo, Yu-sung, ▼e 저 |
900 | 1 0 | ▼a Hong, Sung-doo,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926 2014 | 등록번호 11178542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교육현장에서 학습장애에 대한 이해는 아직까지 부족한 편이다. 2013년 특수교육연차보고서에 의하면 학습장애로 특수교육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학생의 수는 4,060명으로, 전체 특수교육대상자의 4.7%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나라의 경우 특히 학습장애 학생 비율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부모와 교사 등이 학습장애와 같은 경도장애에 대한 인식을 제대로 하고 있지 못한 점이 하나의 이유가 될 수 있다. 학습장애로 선정되어 교육을 받아야 할 학생들이 외국과 비교해 볼 때 현재보다는 더욱 많을 거라는 추론을 해 볼 수 있기 때문에, 학습장애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더 큰 역할이 부여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학습장애 학생은 대부분 일반학교에 배치되어 교육을 받고 있다. 통합교육이 강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특히 학습장애 학생은 일반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특수교사뿐만 아니라 일반교사들의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예컨대, 학습부진과 학습장애에 대한 이해에서부터 이들을 어떻게 선정하고 지도해야 하는지 궁금해 한다.
이러한 시점에 한국학습장애학회에서는 학습장애 학생들이 적절한 교육을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 전문가 양성을 추진해 왔다. 특수교육 및 관련 전공을 이수하고 자격기준에 부합하는 경우 학습장애 전문가 자격증을 취득하고자 하는 분들이 생겨남에 따라, 학회차원의 자격시험제도를 시행하게 되었다.
이 책은 실제적으로 학습장애 전문가 양성을 위한 자격시험 준비용으로 출판된 교재라 할 수 있다. 학회 이사진으로 구성된 저자들이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들을 위한 교육 전반을 다루고자 적지 않은 노력으로 집필하였다. 학습장애와 관련된 이론과 실제를 독자들이 쉽게 이해하고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소개하고자 노력하였다. 비록 이 책이 자격시험 준비를 위해 일차적으로 계획되긴 하였지만, 학습장애에 대한 이해와 이들의 교육에 관심을 가진 모든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기를 간절히 바란다.
정보제공 :

목차
제1장 학습장애의 정의와 역사 제2장 진단과 평가 제3장 발달상 학습장애 위험유아 지원 제4장 읽기장애 제5장 쓰기장애 제6장 수학학습장애 이해와 지도 제7장 내용교과 지원전략 제8장 통합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방법 제9장 학습장애 지원을 위한 공학 제10장 사회성 지도 및 정서적 지원전략 제11장 다문화 이해와 이중언어 지원 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