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28812 | |
005 | 20180213102511 | |
007 | ta | |
008 | 180129s2017 ggk b 000c kor | |
020 | ▼a 9791188279029 ▼g 03320 | |
035 | ▼a (KERIS)BIB000014648220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32.6322 ▼2 23 |
085 | ▼a 332.6322 ▼2 DDCK | |
090 | ▼a 332.6322 ▼b 2017z34 | |
245 | 2 0 | ▼a (벤저민 그레이엄의) 증권분석 / ▼d 벤저민 그레이엄, ▼e 데이비드 도드 외 지음 ; ▼e 스티그 브로더슨, ▼e 프레스턴 피시 ; ▼e 김인정 옮김 |
246 | 1 9 | ▼a Security analysis : ▼b a summary of Benjamin Graham and David dodd's original work |
260 | ▼a 고양 : ▼b 이레미디어, ▼c 2017 | |
300 | ▼a 363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363 | |
546 | ▼a 영어로 된 원저작을 한국어로 번역 | |
700 | 1 | ▼a 김인정, ▼e 역 |
700 | 1 | ▼a Graham, Benjamin, ▼e 저 |
700 | 1 | ▼a Dodd, David L, ▼e 저 |
700 | 1 | ▼a Brodersen, Stig, ▼e 저 |
700 | 1 | ▼a Pysh, Preston, ▼e 저 |
900 | 1 0 | ▼a 그레이엄, 벤저민, ▼e 저 |
900 | 1 0 | ▼a 도드, 데이비드 L, ▼e 저 |
900 | 1 0 | ▼a 피시, 프레스턴, ▼e 저 |
900 | 1 0 | ▼a 브로더슨, 스티그, ▼e 저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32.6322 2017z34 | 등록번호 151338251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4-07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방대한 《증권분석》의 핵심만 정리하여 원전의 이해를 돕고, 현대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투자 전략을 중심으로 제시하고 있다. 또한 더 이상 통용되지 않는 정보나 회계방법 등은 현대의 상황에 맞게 저자들이 별도의 설명을 덧붙이고 있다.
《증권분석》의 내용 전체와 장별 주제 그리고 분석 기법을 요약하여 제시하고 있는 이 책을 원전과 함께 읽는다면 벤저민 그레이엄의 투자 철학과 기법 그리고 현대에 맞는 투자 전략을 세우는 데 유용한 지침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가치투자의 세계로 입문하기 위한 초보 투자자나 벤저민 그레이엄의 투자 철학을 제대로 이해하기를 원하거나, 지금 투자 전략을 다시 재점검하기를 원하는 이에게 도움이 된다.
현존하는 최고의 투자 교본, 《증권분석》 핵심 요약판!
가치투자의 아버지 벤저민 그레이엄과 데이비드 도드의 《증권분석》은 1934년 출간된 지 75년이 지난 지금도 투자자들에게 가장 유용한 투자 서적, 가치투자의 교과서다. 벤저민 그레이엄은 《증권분석》을 통해 내재가치가 뛰어난 기업을 발굴하고, 저평가된 기업을 매수하는 가치투자의 원칙에 대한 기본 개념을 제시했다.
1929년 월스트리트 대폭락(검은 목요일) 사건으로 거의 파산위기에 처했던 그레이엄은 이 사건을 계기로 좀 더 보수적이고 안전한 투자 방법을 찾아 연구에 몰두했다. 그레이엄이 컬럼비아대학교에서 강의를 할 당시 컬럼비아대학교에서 일했던 젊은 강사 도드는 그레이엄의 강의를 글로 남기기를 원했고, 이 계기로 도드는 훗날 그레이엄의 지도 아래 박사 과정을 마쳤다. 그때 도드가 작성한 강의 원고가 가치투자 개념을 전파한 『증권분석』의 토대가 되었다. 『증권분석』은 75년이라는 세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출판되고 있으며, 현재까지도 수업 지도서로 활용되고 있다. 『증권분석』은 현존하는 출판물 가운데 가장 오랫동안 통용되는 투자 교본이다.
벤저민 그레이엄이 제시한 투자 개념과 투자 원칙, 저가주 발굴 기법, 가치평가를 통해 이익 요소를 찾아내는 손익 항복 분석, 자산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재무상태표 분석 방법 등에 대한 개념은 현재까지도 유효하다. 그레이엄은 ‘매력적인 투자 대상은 투기 대상으로도 매력적’이라는 흥미로운 주장을 하기도 했다. 이는 기업가치평가는 어떤 방식의 투자든 투자의 기본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또한 주당순이익의 수준이나 기업의 재무구조, 밝은 미래 전망 그리고 올바른 경영진 역시 매력적인 투자의 중요한 요소이다.
《증권분석》은 반복해서 읽어야 그 진가를 알 수 있다. 하지만 분량이 워낙 방대한데다가 내재가치 산출 방법, 안전마진 개념, 투자와 투기의 차이, 각종 주식의 특징, 투자 대상 선별 기준, 가치평가 및 분석에 필요한 지표 등을 설명하며 제시한 수많은 사례들을 꼼꼼히 살피다 보면 《증권분석》을 제대로 읽어나가기란 결코 쉽지 않다. 이 책은 원전에 좀 더 쉽게 접근하는 데 가장 유용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가치투자의 바이블, 벤저민 그레이엄의 《증권분석》
핵심만 빠르고 쉽게 읽는다!
방대한 분량의 《증권분석》을 제대로 읽고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이 책의 저자인 스티그 브로더슨과 프레스턴 피시 역시 《증권분석》을 이해하기 위해 고전을 면치 못했다. 저자들이 이 요약판을 펴낸 이유는 벤저민 그레이엄이 제시한 투자 철학과 중요한 전략을 제대로 이해한다면 그 가치가 무한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 책은 방대한 《증권분석》의 핵심만 정리하여 원전의 이해를 돕고, 현대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투자 전략을 중심으로 제시하고 있다. 또한 더 이상 통용되지 않는 정보나 회계방법 등은 현대의 상황에 맞게 저자들이 별도의 설명을 덧붙이고 있다. 《증권분석》의 내용 전체와 장별 주제 그리고 분석 기법을 요약하여 제시하고 있는 이 책을 원전과 함께 읽는다면 벤저민 그레이엄의 투자 철학과 기법 그리고 현대에 맞는 투자 전략을 세우는 데 유용한 지침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가치투자의 세계로 입문하기 위한 초보 투자자나 벤저민 그레이엄의 투자 철학을 제대로 이해하기를 원한다면, 그리고 지금 투자 전략을 다시 재점검하기를 원한다면 이 책이 훌륭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이 책을 관통하는 주제
•‘분석’이라는 용어는 사실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해 논리적 결론에 도달하는 것을 가리킨다. 투자는 정밀과학이 아니고, 개인의 능력과 운도 성공의 일부 요소이다.
•분석적 판단은 사실에 원칙을 적용해 내린 판단이다.
•분석가는 균형감각을 유지하여 중요한 것을 분석하고 사소한 것은 무시해야 한다.
•투자를 투기와 구분하는 것은 당연히 쉽지 않다. 둘을 구분하지 못하면 비극으로 이어진다.
•투자는 채권, 단순 매수, 장기 보유, 소득 추구, 안전한 증권이 특징이다.
•투기는 주식, 신용 매수, 단기 거래, 차익실현 추구가 특징이다.
•‘안전’이라는 용어에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구체적 기준이 적용되어야 한다.
•투자활동은 원금의 안정성과 만족스러운 수익을 약속한다.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활동은 투기적이다.
•투자활동은 정성적 근거와 계량적 근거가 동시에 정당화하는 활동이다.
•투자는 과거와 현재를 기초로 한다. 투기는 미래 개선 전망에 의존한다.
•투자자에게 있어 미래는 이익을 얻는 대상이 아니라 경계해야 할 대상이다.
•투기적 거래자는 미래가 과거보다 나을 것으로 기대한다.
•뉴욕증권거래소는 도박을 불필요한 위험을 감수하는 행위(경마에 돈을 거는 행위)이고, 투기는 어떤 행동에 착수하며 내재된 위험을 부담하는 행위라고 정의한다.
•‘현명한 투기’는 분석 결과가 정당화하는 측정된 위험을 감수하는 것이다.
•‘현명하지 않은 투기’는 상황에 대한 적절한 검토 없이 위험을 감수하는 것이다.
•안정성은 증권 발행 주체의 지급의무 이행능력 측면에서 평가한다.
•지급의무 이행능력은 호황이 아닌 불황을 기준으로 평가해야 한다.
•낮은 안정성은 많은 배당금으로도 보상되지 않는다.
•문제를 미리 피하는 것이 문제 발생 후 보호장치를 찾는 것보다 낫다.
•건전한 투자는 역경을 견뎌낼 수 있어야 한다. 투자자들은 역경을 이겨낸 기업을 선호할 것이다.
•시세차익을 위한 투자는 대부분의 사람이 성장을 기대할 때 합리적인 가격이 형성되기는 어렵다.
•소액투자자는 자신의 역할에서 벗어나 투기적 거래자가 되기를 선택할 수 있다. 그 행위를 후회하는 것도 선택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벤저민 그레이엄(지은이)
워런 버핏, 찰리 멍거, 존 템플턴을 위시한 전설적 투자자들의 스승이자 가치투자의 창시자로 불리는 벤저민 그레이엄. 체계적인 투자 규칙이나 규율이 존재하지 않던 1920~40년대 월 스트리트에서 투자자로 활동하면서 증권분석의 개념을 창안했다. 그가 집필한 대표작 《증권분석》 《현명한 투자자》는 투자자들이 꼭 읽어야 하는 투자서로 손꼽힌다. 그레이엄은 1894년 5월 9일 영국 런던에서 태어났다. 컬럼비아대학교를 졸업하고 월 스트리트의 투자 회사에서 금융인으로서 첫 커리어를 시작했다. 수차례의 경제 대폭락에도 투자자로 승승장구하지만 두 번의 결정적 위기를 맞기도 했다. 제1차 세계대전으로 인한 하락장의 여파로 투자에 처음 실패했고, 1929년 대공황의 여파로 자본금에서 70%의 누적 손실을 기록할 만큼 큰 타격을 받았다. 그러나 그는 투자의 이유를 끊임없이 캐물으며 공부했고, 이후 손실을 만회하는 데 성공한다. 1949년에는 ‘뉴먼 & 그레이엄 파트너십’을 설립하고 워런 버핏을 증권분석가로 고용하며 인연을 맺었다. 1956년에 운영하던 사업체를 해산하고 일선에서 은퇴했다. UCLA 경영대학원 에서 15년 동안 무보수로 증권분석에 대해 강의했고, 1976년 프랑스 엑상브로방스에서 사망했다. 1988년에 미국 경제인 명예의 전당에 올랐다.
김인정(옮긴이)
전북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번역대학원에서 문학(번역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증권투자권유자문인력, 펀드투자권유자문인력 자격을 보유하고 있으며, 씨티은행, 삼성증권, 대우증권을 거쳐 현재 국내 증권사에서 전문 번역가로 일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가치투자자의 탄생》, 《딥 밸류》, 《찰스 슈왑 투자 불변의 법칙》, 《타이밍의 마법사들》, 《아빠와 딸의 주식 투자 레슨》, 《투자 대가들의 위대한 오답 노트》 등이 있다.
프레스턴 피시()
금융투자전문 기고자이며, 더인베스터즈팟캐스트닷컴TheInvestorsPodcast.com의 공동진행자이다. 세계적인 베스트셀러를 다수 저술하였으며, 파일런홀딩컴퍼니Pylon Holding Company의 설립자이다. 버핏북스닷컴BuffettsBooks.com이라는 무료 웹사이트를 운영하며 억만장자인 워런 버핏처럼 주식과 채권에 투자하는 방법을 가르친다.
스티그 브로더슨()
재무학 석사학위를 보유하고 있으며 하버드대학교에서 경영분석을 공부하고 있다. 스티그는 더인베스터즈팟캐스트닷컴TheInvestorsPodcast.com의 공동 진행자이며, 대학에서 재무회계, 투자, 경제학을 강의하는 교수이다. 스티그브로더슨홀딩컴퍼니Stig Brodersen Holding Company와 버핏북스닷컴BuffettsBooks.com을 설립하였다.

목차
목차 요약판 저자의 글 = 4 옮긴이의 글 = 6 part 1. 조사와 분석기법 Chapter 01 증권분석의 범위와 한계 : 내재가치 개념 = 14 Chapter 02 분석의 기본 요소 : 계량적ㆍ정성적 요인 = 20 Chapter 03 정보의 출처 = 27 Chapter 04 투자와 투기의 차이 = 31 Chapter 05 증권 분류 = 37 part 2. 고정가치증권 투자 Chapter 06 고정가치증권의 선택 = 42 Chapter 07 고정가치증권의 선택 : 두 번째, 세 번째 원칙 = 47 Chapter 08 채권투자의 구체적 기준 1 = 54 Chapter 09 채권투자의 구체적 기준 2 = 60 Chapter 10 채권투자의 구체적 기준 3 = 71 Chapter 11 채권투자의 구체적 기준 : 결론 = 76 Chapter 12 철도ㆍ공공 유틸리티 회사채 분석의 특수 요소 = 82 Chapter 13 채권분석의 기타 특수 요소 = 89 Chapter 14 우선주 이론 = 94 Chapter 15 우선주 선정 기법 = 101 Chapter 16 수익사채와 보증증권 = 107 Chapter 17 보증증권 2 = 111 Chapter 18 선순위 증권 보유자 보호 조항과 구제안 = 117 Chapter 19 보호 조항 2 = 123 Chapter 20 우선주 보호 조항 : 후순위 자본 유지 = 129 Chapter 21 보유 종목 관리 = 135 part 3. 투기적 선순위 증권 Chapter 22 특권부 증권 = 142 Chapter 23 특권부 선순위 증권의 기술적 특징 = 147 Chapter 24 전환증권의 기술적 측면 = 153 Chapter 25 워런트부 선순위 증권 : 이익참가부 증권 전환과 헤징 = 159 Chapter 26 안정성이 불분명한 선순위 증권 = 165 part 4. 보통주 투자 이론 : 배당 요소 Chapter 27 보통주 투자 이론 = 172 Chapter 28 새로운 보통주 투자 규범 = 181 Chapter 29 보통주 분석에서 배당 요소 = 188 Chapter 30 주식배당 = 196 part 5. 손익 항목 분석 : 보통주 가치평가에서 이익 요소 Chapter 31 손익 항복 분석 = 204 Chapter 32 손익계산서의 특별 손실과 기타 특별 항목 = 211 Chapter 33 본질을 호도하는 손익계산서의 장치 : 자회사 이익 = 216 Chapter 34 감가상각비 및 유사비용과 이익 창출능력의 관계 = 224 Chapter 35 공공 유틸리티 부문의 감가상각 정책 = 234 Chapter 36 투자자 관점에서 본 감가상각비 = 239 Chapter 37 과거 실적 기록의 중요성 = 248 Chapter 38 과거 실적을 의심하고 거부해야 하는 구체적 이유 = 254 Chapter 39 보통주 주가수익비율 : 자본구조 변화를 반영한 조정 = 257 Chapter 40 자본구조 = 263 Chapter 41 저가 보통주 : 수익원 분석 = 270 part 6. 재무상태표 분석 : 자산가치의 의의 Chapter 42 재무상태표 분석 : 장부가치의 중요성 = 278 Chapter 43 유동자산가치의 중요성 = 284 Chapter 44 청산가치의 의의 : 주주-경영진 관계 = 293 Chapter 45 재무상태표 분석 : 결론 = 300 part 7. 증권분석의 기타 측면 : 가격과 가치의 괴리 Chapter 46 주식매수 선택권 워런트 = 310 Chapter 47 조달비용과 경영비용 = 316 Chapter 48 피라미드형 자본구조의 특징 = 321 Chapter 49 동종기업 비교분석 = 325 Chapter 50 가격과 가치의 괴리 1 = 331 Chapter 51 가격과 가치의 괴리 2 = 339 Chapter 52 시장분석과 증권분석 = 343 『증권분석』을 관통하는 주제 = 354 내재가치 산출법 = 356 저자 소개 = 357 이 책에 대하여 = 361 요약판 저자 소개 = 362 참고 도서 = 363 용어 설명 = 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