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28732 | |
005 | 20180130170126 | |
007 | ta | |
008 | 180129s2014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99703430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3446567 | |
040 | ▼a 211023 ▼c 211023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155.418 ▼2 22 |
085 | ▼a 155.418 ▼2 DDCK | |
090 | ▼a 155.418 ▼b 2014z1 | |
100 | 1 | ▼a Bowlby, John, ▼d 1907-1990 ▼0 AUTH(211009)101099 |
245 | 2 0 | ▼a (존 볼비의) 안전기지 : ▼b 애착이론의 임상적 적용 / ▼d John Bowlby 저 ; ▼e 김수임, ▼e 강예리, ▼e 강민철 공역 |
246 | 1 9 | ▼a A secure base : ▼b clinical applications of attachment theory |
246 | 3 9 | ▼a Secure base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14 ▼g (2016 쇄) | |
300 | ▼a 269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239-261)과 색인수록 | |
650 | 0 | ▼a Attachment behavior in children |
650 | 0 | ▼a Parent and child |
650 | 0 | ▼a Child psychopathology |
700 | 1 | ▼a 김수임, ▼e 역 ▼0 AUTH(211009)118327 |
700 | 1 | ▼a 강예리, ▼e 역 ▼0 AUTH(211009)10943 |
700 | 1 | ▼a 강민철, ▼e 역 ▼0 AUTH(211009)50124 |
900 | 1 0 | ▼a 볼비, 존,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5.418 2014z1 | 등록번호 11178524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존 볼비(지은이)
1907년 영국에서 태어난 존 볼비는 케임브리지대학 트리니티칼리지에서 심리학을 공부한 후 부적응적이고 일탈행동을 하는 아동을 다루는 일을 했다. 이후 런던의 유니버시티칼리지 병원에서 의학공부를 시작한 그는 동시에 정신분석연구소에서 수학했으며, 모슬리 병원에서 성인 정신의학 훈련을 받았다. 1937년에는 정신분석가로 인정을 받았으며 1938년에는 트리니티칼리지의 학장이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참전 후에는 타비스톡 클리닉의 부소장으로 일했으며, 1950년부터는 세계보건기구의 정신건강 자문위원을 역임했다. 부적응 아동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졌던 그는 이후에는 런던의 아동돌봄병원에서 아동을 돌보면서 아동들을 관찰했고 자신의 관찰 자료를 바탕으로 1950년 후반에는 인간의 발달과정에는 애착경험이 매우 중요하다는 자신의 이론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관찰결과를 정리하여 세 권으로 된 그의 유명한 저서 『애착』, 『분리』, 『상실』 등을 저술했다.
김수임(옮긴이)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교육상담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 삼성전기,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차의과학대학교에서 상담과 교육을 하였다. 현재는 단국대학교 상담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애착이론과 정서조절에 관심을 갖고 있다. 관련 논문 및 역서로는 「존볼비의 안전기지」, 「성인대상 분노 조절 집단 프로그램 분석」, 「부정적 정서가 자살사고 및 습득된 자살 실행력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의 성인애착유형, 부모애착,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미결정의 관계」 등이 있다.

목차
역자 서문 감사의 글 저자 서문 Chapter 01 어린 자녀 양육 Chapter 02 애착이론의 기원 Chapter 03 예술 및 과학으로서의 정신분석 Chapter 04 자연과학으로서의 정신분석 Chapter 05 가정폭력 Chapter 06 확인받지 못한 사고와 감정 Chapter 07 성격발달에서 애착의 역할 Chapter 08 애착, 의사소통, 치료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