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28417 | |
005 | 20230217144710 | |
007 | ta | |
008 | 180125s2017 ulk b 000c kor | |
020 | ▼a 9791157830718 ▼g 93100 | |
035 | ▼a (KERIS)BIB000014458290 | |
040 | ▼a 211046 ▼c 211046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150.1952 ▼2 23 |
085 | ▼a 150.1952 ▼2 DDCK | |
090 | ▼a 150.1952 ▼b 2017z1 | |
100 | 1 | ▼a Heaton, John M, ▼d 1925- |
245 | 1 0 | ▼a 비트겐슈타인과 정신분석 / ▼d 존 M. 히턴 지음 ; ▼e 석기용 옮김 |
246 | 1 9 | ▼a Wittgenstein and psychoanalysis |
260 | ▼a 서울 : ▼b 필로소픽, ▼c 2017 | |
300 | ▼a 119 p. ; ▼c 20 cm | |
500 | ▼a 부록: 비트겐슈타인이 '정신분석'을 한다면? | |
504 | ▼a 참고문헌: p. 101-102 | |
600 | 1 0 | ▼a Freud, Sigmund, ▼d 1856-1939 |
600 | 1 0 | ▼a Wittgenstein, Ludwig, ▼d 1889-1951 |
700 | 1 | ▼a 석기용, ▼g 石起榕, ▼d 1969-, ▼e 역 ▼0 AUTH(211009)85171 |
900 | 1 0 | ▼a 히턴, 존 M.,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0.1952 2017z1 | 등록번호 51103554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0.1952 2017z1 | 등록번호 51103626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20세기 서구 지성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비트겐슈타인과 프로이트의 상이한 정신 ‘치료’의 개념을 비교분석한 것이다. 정신분석학의 창시자인 프로이트는 꿈과 같은 무의식의 세계에서 인간의 정신적 문제를 치료할 실마리를 찾았다. 20세기의 위대한 철학자인 비트겐슈타인 역시 자신의 꿈을 때로는 프로이트적으로 해석했던 점을 생각해볼 때, 무의식과 정신분석에 대한 이해가 상당했다는 것을 짐작할 만하다.
하지만 정신적 문제에 대한 치료에 있어서 그는 프로이트와 의견을 달리했다. 비트겐슈타인은 문제의 원인을 우리가 언어의 미혹적인 힘에 사로잡혀 있는 것으로 보았고, 그런 문제는 언어 사용과 삶의 방식의 근본적인 변화를 통해 치료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명한 심리치료사인 저자는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개념들과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치료’ 개념 사이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분석한다.
비트겐슈타인이 ‘정신분석’을 한다면?
이 책은 20세기 서구 지성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비트겐슈타인과 프로이트의 상이한 정신 ‘치료’의 개념을 비교분석한 것이다. 정신분석학의 창시자인 프로이트는 꿈과 같은 무의식의 세계에서 인간의 정신적 문제를 치료할 실마리를 찾았다. 20세기의 위대한 철학자인 비트겐슈타인 역시 자신의 꿈을 때로는 프로이트적으로 해석했던 점을 생각해볼 때, 무의식과 정신분석에 대한 이해가 상당했다는 것을 짐작할 만하다. 하지만 정신적 문제에 대한 치료에 있어서 그는 프로이트와 의견을 달리했다. 비트겐슈타인은 문제의 원인을 우리가 언어의 미혹적인 힘에 사로잡혀 있는 것으로 보았고, 그런 문제는 언어 사용과 삶의 방식의 근본적인 변화를 통해 치료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명한 심리치료사인 저자는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개념들과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치료’ 개념 사이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분석한다. 이번 《비트겐슈타인과 정신분석》은 비트겐슈타인 전문가의 새로운 번역으로 내용의 정확성을 높인 한편, 관련 주제를 연구한 국내 철학상담 연구자의 부록을 더해 독자들의 더 깊은 이해를 돕고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존 M. 히턴(지은이)
심리치료사이다. 케임브리지 대학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자연과학과 도덕학을 공부했다. 정신분열증 연구에 큰 기여를 한 정신과 의사 로널드 랭(R.D. Laing)의 동료이기도 했다. 지은 책으로 《Introducing Wittgenstein》이 있다.
석기용(옮긴이)
서강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언어철학을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은 뒤 현재 성신여자대학교 교양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여러 권의 철학 및 인문 교양서적을 우리말로 옮겼다. 옮긴 책으로 《정보철학 입문》, 《낭만주의의 뿌리》, 《비트겐슈타인과 세기말 빈》, 《난파된 정신》을 비롯해 《AI 윤리의 모든 것》, 《로마 황제처럼 생각하는 법》, 《분노란 무엇인가》, 《편견》, 《좌절의 기술》, 《그리고 나는 스토아주의자가 되었다》, 《우주의 끝에서 철학하기》 등이 있다.

목차
서문 1. 착각 2. 가르치기 3. 자유연상 4. 명료한 표상 5. 회의주의 6. 지식 7. 이론 8. 원인과 이유 9. 의례 10. 자아 참고문헌 부록: 비트겐슈타인이 ‘정신분석’을 한다면? (김선희 이화여대 철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