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28285 | |
005 | 20220722131206 | |
007 | ta | |
008 | 180125s2017 ulkad 000c dkor | |
020 | ▼a 9788937604683 ▼g 03330 | |
035 | ▼a (KERIS)BIB000014650287 | |
040 | ▼a 241018 ▼c 241018 ▼d 211009 | |
082 | 0 4 | ▼a 331.8092 ▼2 23 |
085 | ▼a 331.8092 ▼2 DDCK | |
090 | ▼a 331.8092 ▼b 2017z1 | |
245 | 0 0 | ▼a 전태일 바로보기 : ▼b 『전태일평전』이 말하지 않는 이야기 / ▼d 류석춘, ▼e 박기성 편저 |
260 | ▼a 서울 : ▼b 비봉출판사, ▼c 2017 | |
300 | ▼a 206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536 | ▼a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출판콘텐츠 창작자금을 지원받아 제작되었음 | |
600 | 1 4 | ▼a 전태일 ▼g 全泰壹, ▼d 1948-1970 |
700 | 1 | ▼a 류석춘, ▼e 편 ▼0 AUTH(211009)37752 |
700 | 1 | ▼a 박기성, ▼g 朴基性, ▼d 1958-, ▼e 편 ▼0 AUTH(211009)116888 |
740 | 2 | ▼a 전태일평전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8092 2017z1 | 등록번호 11178505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노동환경 개선을 위해 몸을 아끼지 않은 전태일. 하지만 한 사람의 죽음이 이미 실패가 입증된 사회주의 철학, 계급투쟁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삼았다. 대체 그들은 왜 전태일을 이용하는 걸까. 아니, 누가 전태일을 죽음으로 몰고 간 걸까.
노동환경 개선을 위해 몸을 아끼지 않은 전태일의 삶은 많은 이들에게 울림을 줬다. 전태일 덕분에 노동자의 임금상승과 처우개선이 이루어졌고, 노동자들은 보다 나은 환경에서 일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한 사람의 죽음이 이미 실패가 입증된 사회주의 철학, 계급투쟁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삼는 것이 과연 바람직할까. 대체 그들은 왜 전태일을 이용하는 걸까. 아니, 누가 전태일을 죽음으로 몰고 간 걸까.
『전태일평전』이 말하지 않는 이야기
1. 전태일은 핍박받는 노동자가 아니었다
- 1970년대 초, 국민들의 생활수준은 전반적으로 향상되고 있었지만 노동자들은 여전히 저임금과 열악한 근로환경에 처해있었다. 그에 반해 전태일은 꽤 괜찮은 직장에서 높은 수준의 임금을 받으며 승승장구하고 있었다. 평화시장에서 일한지 6년 만에 15배 상승한 월급을 받았고, 이는 당시 국민들의 소득에 비해 3.2배나 높은 금액이었다. 그런데 왜 그는 핍박받는 노동자로 묘사된 걸까? 그는 그를 위해 죽지 않았다. 어린 여공들의 근로조건을 개선시키기 위해 분신자살을 택했다.
2. 전태일 분신 미스터리, 왜 죽음 묘사가 달라졌는가
- 1983년 판 『전태일평전』에 서술된 분신 장면은 선뜻 이해하기 어렵다. 한 되 가량의 석유를 온몸에 끼얹고 내려와서 친구 김개남(가명)에게 성냥불을 켜서 자신의 몸에 갖다 대어달라고 부탁했을 때, 석유 냄새가 펄펄 나는 친구의 몸에 성냥불을 갖다 붙일 수 있는 사람이 과연 있을까? 그리고 평전에는 그 자리에 있었던 한 회원이 근로기준법 책을 타오르는 전태일의 불길 속에 집어 던졌다고 한다. 자살하는 사람의 주변에는 말리는 사람이 있지 않나? 반면 2009년 판 『전태일평전』에서는 분신 장면에 김개남이 등장하지 않으며 전태일이 근로기준법 책을 가슴에 품고 내려왔고 갑자기 전태일의 옷 위로 불길이 확 치솟았다. 이 두 서술의 차이는 왜 발생한 것인가? 김개남은 누구인가?
3. 전태일과 동 시대를 살아간 사람들, 무엇을 하고 있나
- 전태일과 비슷한 환경에서 동시대를 살았지만 전혀 다른 선택을 한 사람들이 있다. 스스로 목숨을 끓은 전태일의 선택이 안타깝기는 하지만 우리가 보고 배워야 할, 그리하여 후대의 본보기가 되어야 할 선택은 절대 아니다. 스스로 목숨을 버리는 행동은 그 자체만으로도 인륜을 저버리는 비도덕적 행동이다. 오히려 역경을 뚫고 살아남아 자신은 물론 가족과 공동체 그리고 나라를 위해 무언가를 성취한 이들이야 말로 우리가 귀감으로 삼아야 할 본보기이다. 이들의 삶이 더욱 빛나고 아름답다. 죽는다는 선택은 오히려 비겁하고 손쉬운 선택일 뿐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류석춘(지은이)
연세대학교 사회학 교수다. 1986년 미국 일리노이대학교(Urbana)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1987년부터 연세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 분야는 발전사회학, 경제사회학, 동남아시아연구 등이다. 『한국사회학』 및 『동남아시아연구』 편집위원을 역임했으며, 1993년 영국 옥스포드대학교, 1999년 교토 동지사대학교, 2002년 필리핀국립대학교, 2009년 호주국립대학교 및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San Diego)에서 교환교수를 했다. 연세대 이승만연구원 원장(2010~2015)과 박정희연구회 회장(2016~2017)을 역임했다. 가장 최근 출판한 글은 “만주와 이승만·박정희, 김일성”(『월 간조선』 2019년 8월호) 그리고 가장 최근 출판한 책은 『박정희는 노동자를 착취했는가』(기파랑, 2018)이다. 자세한 경력과 연구업적은 http://sclew.yonsei.ac.kr 참고.
박기성(지은이)
현 성신여대 경제학과 교수 전 한국노동연구원장 전 성신여대 대학원장 서울대 경제학 학사 시카고대 대학원 경제학 석박사 한국경제학회 청람학술상 수상

목차
서 문 1. 전태일 생애 바로 보기 70년대 노동운동, 전태일 그리고 불편한 진실 남정욱 / 대한민국문화예술인 대표 전태일을 죽음으로 몰고 간 근로기준법 박기성 / 성신여대 경제학과 교수 2. 『전태일 평전』과 전태일 보편타당한 원칙에 비추어 본 『전태일 평전』 조영길 / 법무법인 아이앤에스 대표변호사 『전태일 평전』의 3가지 함정: 착취? 대학생 친구? 동시대인의 선택? 류석춘 /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 사실과 허구가 뒤섞인 ‘팩션’, 『전태일 평전』 한정석 / 미래한국 편집위원 『전태일 평전』, 전태일 생애 오독(誤讀)하지 말아야 조동근/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 3. 누가 전태일을 이용하는가 신화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김용삼 / 동원대 특임교수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을 만들어낸 조영래를 둘러싼 가짜 신화 조우석 / 문화평론가 누가 전태일을 이용하는가 김승욱 /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 4. 전태일, 어떻게 배울 것인가 전태일에게서 학생들은 무엇을 배울까? 홍수연 / 한국자유연합 사무총장 전태일, 학교에서 올바르게 가르치자 신중섭 / 강원대 윤리교육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