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역사언어학

역사언어학 (Loan 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徐通鏘, 1931-2006 이재돈, 역
Title Statement
역사언어학 / 徐通鏘 지음 ; 이재돈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고양 :   學古房,   2016  
Physical Medium
xi, 511 p. : 삽화, 도표 ; 23 cm
Varied Title
歷史语言学
ISBN
9788960716360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498-509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28066
005 20190430171152
007 ta
008 180123s2016 ggkad b 000c kor
020 ▼a 9788960716360 ▼g 93270
035 ▼a (KERIS)BIB000014390889
040 ▼a 211029 ▼c 211029 ▼d 211009
041 1 ▼a kor ▼h chi
082 0 4 ▼a 417.7 ▼2 23
085 ▼a 417.7 ▼2 DDCK
090 ▼a 417.7 ▼b 2016
100 1 ▼a 徐通鏘, ▼d 1931-2006
245 1 0 ▼a 역사언어학 / ▼d 徐通鏘 지음 ; ▼e 이재돈 옮김
246 0 9 ▼a 歷史语言学
246 3 ▼a Li shi yu yan xue
260 ▼a 고양 : ▼b 學古房, ▼c 2016
300 ▼a xi, 511 p. : ▼b 삽화, 도표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498-509
536 ▼a 이 책은 2016년 교육부 대학인문역량강화사업(CORE)의 저술지원을 받았음
700 1 ▼a 이재돈, ▼e
900 1 0 ▼a Xu, Tongqiang, ▼e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417.7 2016 Accession No. 15133860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역사언어학은 하나의 종합적인 과학이며 언어의 통시적인 변화과정을 연구하는 일반 이론이며 또한 방법론이고 원칙이라 할 수 있다. 이론은 실질적인 연구를 거쳐 정리해 놓은 것이기에 기존 학자들이 내놓은 이론이라 할지라도 구체적인 사실에 입각하여 분석과 연구를 거쳐 그것을 잘 소화하고 파악하고, 한층 더 향상시키고 수정 보완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취지에서 전대 학자들의 연구성과를 정리하는 한편, 중국어의 방언에 대한 조사 연구자료도 많이 수록하였다.

역사언어학은 하나의 종합적인 과학이며 언어의 통시적인 변화과정을 연구하는 일반 이론이며 또한 방법론이고 원칙이라 할 수 있다. 이론은 실질적인 연구를 거쳐 정리해 놓은 것이기에 기존 학자들이 내놓은 이론이라 할지라도 구체적인 사실에 입각하여 분석과 연구를 거쳐 그것을 잘 소화하고 파악하고, 한층 더 향상시키고 수정 보완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취지에서 이 책은 전대 학자들의 연구성과를 정리하는 한편, 중국어의 방언에 대한 조사 연구자료도 많이 수록하였다.
언어의 통시적인 변화과정을 연구한다는 것은 주로 언어변화의 법칙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는 사람들이 잘 알고 있는 어떠한 언어 사실 그 이면의 “스스로 터득하되 말로 전하기 어려운 법칙”들을 찾아내어 인과론적이고 이론적인 설명을 가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언어변화에 대한 연구는 언어 사실을 잘 파악하는 한편 튼튼한 언어자료를 기반으로 이론적인 탐구를 진행하여 언어 사실에 대한 분석이 더욱 구체적이고 이론적인 깊이를 갖게 하는 것이다. 이론은 구체적인 언어 사실에 입각한 세밀한 분석 가운데 존재해야 한다. 이는 이 책이 추구하는 목표이다. 우리는 이러한 취지로 이 책의 내용을 배치하고 기존의 연구성과들을 정리하였으며 또한 관련 문제들을 연구하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언어변화의 법칙을 중심으로 언어사적 연구의 일반 이론과 연구방법 및 원칙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아울러 새로운 학설과 이론에 대해서는 객관적이고 신중한 자세를 취하였으며 새롭고 특이하고 남다른 것보다는 모든 것은 언어 사실의 검증을 받아야 하고, “우리 자신의 필요에 따라 우리에게 유용하게 쓴다(以我之需, 爲我所用)”라고 하는 원칙에 근거하여 이론들을 소화하고 흡수하고, 또 그것에 대해 취사선택하였으며 이러한 것을 기반으로 우리의 연구를 개선하고 보완하고자 하였고 상응하는 이론과 원칙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일부 중요한 이론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만약 우리에게 아직은 어떠한 최종적인 결론을 내릴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면 (이를 테면 중국-티베트어족 제 언어의 귀속문제) 우리는 논쟁을 벌이고 있는 양 측의 서로 다른 견해를 모두 다 제시하고 그것과 관련한 원칙에 대해 이론적인 탐구를 시도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서통장(지은이)

中國 淅江省 寧海에서 출생. 1956년 北京大學 中文과 졸업 후 줄곧 북경대학 중문과에서 교수. 중국언어학이론, 역사언어학 연구에 힘을 쏟았으며, 특히 언어변이, 방언비교, 및 중국어 음운 연구에 많은 업적을 쌓았다. 《語言學綱要》(葉蜚聲共著), 《歷史語言學》, 《徐通?自選集》, 《語言論--語義型語言的結構原理和硏究方法》, 《基礎語言學敎程》, 《漢語論--中西語言學的結合和漢語硏究的方法論初探》 외 다수의 저서가 있다.

이재돈(옮긴이)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졸업(문학박사) 전북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臺灣 國立中央硏究院 歷史語言硏究所 訪問學者 미국 UC Berkeley 중국학센터 방문교수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주요논저 중국어학개론(공저) 한자를 찾아서 중국어 음운학 중국어 통시음운론 그 외 논문 다수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1. 서론 1
1.1 대상과 임무 1
1.2 죽은 자료와 살아있는 자료 4
1.3 이론과 방법 7

2. 언어의 분류 12
2.1 분류의 기준 12
2.2 언어의 계통(발생)적 분류 13
2.3 언어의 유형적 분류 18
2.4 언어의 지리적 분류 29
2.5 언어의 유형적 분류, 지리적 분류가 계통적 분류에 미치는 영향 32

3. 어족 34
3.1 언어의 친족관계에 대한 가설 34
3.2 형태변화, 어음대응 및 언어 친족관계의 결정 37
3.3 서면재료의 운용과 친족관계의 고찰 41
3.4 언어의 분화와 어족의 형성 49

4. 중국-티베트어족 53
4.1 중국-티베트어족의 가설과 그 주변언어 53
4.2 중국-티베트어족 언어의 두 가지 계통 분류 58
4.3 대립적인 분류원칙 67
4.4 감-타이?台, 먀오-야오苗瑤 두 어족 계통관계의 새로운 증명 78

5. 역사적 비교방법(상): 객관적 근거와 재구 단계 87
5.1 역사적 비교방법 및 그 객관적 기초 87
5.2 자료의 수집과 선택 91
5.3 동원성분의 결정 93
5.4 연대순서의 결정 99
5.5 원시형식의 재구 109
5.6 祖語 118
5.7 역사적 비교방법의 성과와 한계 121

6. 역사적 비교방법(중): 규칙과 예외 125
6.1 어음의 대응 규칙과 변천 규칙 125
6.2 그림(Grimm)의 법칙과 역사적 비교방법의 원형 127
6.3 그림의 법칙의 세 가지 예외의 해석과 역사적 비교방법의 개선 132
6.4 “음변화 규칙에는 예외가 없다”와 청년어법학파의 음변화 이론 137
6.5 예외 146

7. 역사적 비교방법(하): 공간과 시간 152
7.1 시공간 결합의 원칙과 문헌자료의 운용 152
7.2 중국어 음운 연구에서 시간과 공간의 운용 158
7.3 자료의 부족이 언어사의 연구에 미치는 영향 164
7.4 ≪切韻≫의 성질에 대한 인식과 중국어사 연구의 이론적인 틀 170
7.5 ≪切韻≫과 방언의 연구 178

8. 구조분석법(상): 구조와 음변화 188
8.1 언어체계 학설과 음변화 이론의 발전 188
8.2 음체계의 구조 192
8.3 쌍향대립과 음운변화의 체계성 195
8.4 단향대립과 음운변천의 특수성 199
8.5 발음기관의 발음능력 불평형과 음체계 중의 비대칭구조 210
8.6 대립의 중화 216

9. 구조분석법(중): 음운의 연쇄변천과 음운체계의 변천 221
9.1 음변화音變와 추이 221
9.2 끌기연쇄(drag chain)와 밀기연쇄(push chain) 226
9.3 순환적인 변화 236

10. 구조분석법(하): 내적 재구 244
10.1 소쉬르의 원시 인구어 후두음의 재구와 내적 재구의 방법의 원형에 관하여 244
10.2 공란 248
10.3 불규칙적인 형태 교체와 내적 재구 253
10.4 내적 재구의 방법의 성과와 한계 259

11. 언어의 확산(상): 지역 확산과 방언지리학 264
11.1 언어의 확산과 파동설 264
11.2 방언지리학의 흥기와 음변화 규칙설에 대한 충격 272
11.3 등어선과 방언 구역의 구분 279
11.4 “모든 어휘에는 자체의 역사가 있다” 285

12. 언어의 확산(하): 어휘확산 300
12.1 변형생성학파 이론의 약점과 어휘확산 이론의 탄생 300
12.2 어휘확산 이론의 기본 특징 303
12.3 어휘에서의 음변화의 확산과 산발적 음변화 307
12.4 산발적 음변화에서의 시간 층위와 그것의 변천 규칙 312
12.5 중단된 변화와 어음체계 중의 불규칙 현상 320
12.6 역사상 이미 완성된 음변화 확산의 해석 325

13. 언어의 변이(상): ‘질서 있는 이질성’ 이론과 언어사 연구의 새 영역 329
13.1 언어 변이와 ‘질서 있는 이질성’ 이론 329
13.2 언어 변이의 연구와 음변화 이론의 새로운 진전 339
13.3 현재의 변이를 이용하여 과거의 변천을 해석한다 342
13.4 규칙과 불규칙의 상호 전환과 변이 이론의 발전 349

14. 언어의 변이(중): 변이의 규칙과 어음체계의 조정 353
14.1 어음체계에서의 변이층과 변이층의 구조 353
14.2 음소의 점진적 변이와 계열적 음변화 358
14.3 단어에서 음류의 교체와 산발적 음변화 366
14.4 변이와 어음체계 구조 틀의 조정 377
14.5 어음체계 내부의 변이와 언어의 공간적 차이간의 내재적 연계 388

15. 언어의 변이(하): 어법의 침투와 예외적 음변화 393
15.1 어음 변화 중의 어법 요소 393
15.2 특수한 예외와 그것의 원시 형식의 추측 397
15.3 원시형식의 성질의 확정 403
15.4 어법 수단의 약화와 잔존 형식의 출현 410

16. 文白異讀(상): 중첩식 변이와 내적 재구의 방법 420
16.1 文白異讀의 발생과 체계에서의 중첩 420
16.2 중첩식 음변화와 산발적 음변화와의 구별 426
16.3 중첩식 음변화와 언어변화의 시간층위 441
16.4 중첩과 내적 재구의 방법의 개선 449

17. 文白異讀(하): 중첩식 변이와 역사적 비교방법 457
17.1 文白異讀과 역사언어학 중 두 가지 대립적 이론 모델의 결합 457
17.2 중첩의 층위와 역사적 비교연구 465
17.3 구조패턴의 비교와 방언 사이 친소관계의 확정 473
17.4 文白異讀과 원시형식의 재구 487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