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27951 | |
005 | 20180409142732 | |
007 | ta | |
008 | 180122s2017 tgka b SC 000c kor | |
020 | ▼a 9788971804759 ▼g 93910 | |
040 | ▼a 243009 ▼c 243009 ▼d 211009 | |
082 | 0 4 | ▼a 070.509519 ▼2 23 |
085 | ▼a 070.509535 ▼2 DDCK | |
090 | ▼a 070.509535 ▼b 2017 | |
245 | 0 0 | ▼a 영영장판(嶺營藏版)과 영남의 출판문화 / ▼d 정재훈 [외]집필 |
246 | 3 | ▼a 영영장판과 영남의 출판문화 |
260 | ▼a 대구 : ▼b 경북대학교출판부, ▼c 2017 | |
300 | ▼a 240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공저자: 김남기, 옥영정, 손계영, 박순, 박용찬 | |
500 | ▼a 부록: 대구 경상감영 책판이 수록된 주요 책판목록의 비교 | |
500 | ▼a 기획: 경상북도,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700 | 1 | ▼a 정재훈, ▼e 저 ▼0 AUTH(211009)43797 |
700 | 1 | ▼a 김남기, ▼e 저 ▼0 AUTH(211009)75590 |
700 | 1 | ▼a 옥영정, ▼e 저 ▼0 AUTH(211009)81922 |
700 | 1 | ▼a 손계영, ▼e 저 ▼0 AUTH(211009)16165 |
700 | 1 | ▼a 박순, ▼e 저 ▼0 AUTH(211009)24462 |
700 | 1 | ▼a 박용찬, ▼e 저 ▼0 AUTH(211009)106145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70.509535 2017 | Accession No. 11178474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070.509535 2017 | Accession No. 15133902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70.509535 2017 | Accession No. 11178474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070.509535 2017 | Accession No. 15133902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2016년 경상북도가 경남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에 관련 연구를 의뢰한 결과물로서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조선 시대 지방 감영의 출판문화를 개관하고, 규장각 소장 영영장판의 소장 경위와 현황, 성격을 알아본다.
이어 당대에 제작된 경상감영 책판목록의 현황과 그 내용 분석을 통해 보다 정확한 경상감영 책판목록을 제시하고, 조선 후기 경상감영의 출판과 경상감영 간행본의 특징을 살펴본 다음, 목록에 나타난 영영판의 범주를 재설정할 필요성을 제언한다. 나아가 근.현대 대구.경북 지역의 출판과 문학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서책 출판과 연계된 대구.경북 지역의 출판문화 전통이 지역 근.현대 출판의 원류로 작용하였음을 밝힌다.
‘영영장판(嶺營藏版)’에서 영영(嶺營)은 곧 경상감영(慶尙監營)을 말하며, 장판(藏版)은 소장 판목을 가리킨다. 따라서 영영장판은 조선 시대 경상감영에 소장되어 있던 목판을 말한다. 조선 시대에는 인쇄술 발전과 지식계층 확대의 영향으로 지식 전파 매체로서 책의 중요성과 영향력이 그 어느 때보다 컸고, 이러한 출판문화의 한 획을 담당한 곳이 지방 감영이었다. 조선 시대의 출판은 먼저 중앙에서 금속활자를 이용하여 주요 서적을 간행하고 나면 각 지방에서 이 서적을 모본으로 삼아 목판본을 제작.확산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졌는데, 그 과정에서 고도의 전문성과 막대한 비용, 물력(物力)을 동원할 수 있는 지방 감영이 자연히 출판의 중추 역할을 수행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역할은 조선 시대에 국한되지 않고, 대구의 경우 근대에 와서도 문학과 잡지 출판의 메카로 불릴 만큼 출판문화가 번성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당시 대구 경상감영에 소장되었던 목판은 이제 찾아보기 어렵다. 그중 일부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을 뿐 그 전모조차 밝혀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확인 가능한 영영장판과 그 판본을 우선 연구함으로써 조선 시대 경상도의 출판문화를 조사?정리할 필요성이 제기되어, 2016년 경상북도가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에 관련 연구를 의뢰하였다. 이 책은 그 결과물로서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조선 시대 지방 감영의 출판문화를 개관하고, 규장각 소장 영영장판의 소장 경위와 현황, 성격을 알아본다. 이어 당대에 제작된 경상감영 책판목록의 현황과 그 내용 분석을 통해 보다 정확한 경상감영 책판목록을 제시하고, 조선 후기 경상감영의 출판과 경상감영 간행본의 특징을 살펴본 다음, 목록에 나타난 영영판의 범주를 재설정할 필요성을 제언한다. 나아가 근.현대 대구.경북 지역의 출판과 문학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서책 출판과 연계된 대구?경북 지역의 출판문화 전통이 지역 근.현대 출판의 원류로 작용하였음을 밝힌다.
지방자치제가 도입된 지 20여 년이 지났지만 현실은 시간이 지날수록 정치.경제.사회.문화 모든 면에서 중앙 집중 현상이 심화되는 모순에 빠져 있다. 조선 시대 출판문화에 대한 탐색이 이러한 문제 상황에 대한 해답을 모두 제시할 수는 없겠지만, 이 시기 중앙과 지방이 출판을 매개로 활발하게 교류.소통한 점, 지방 감영이 지역 출판문화의 거점으로 기능한 점 등은 지금의 독자들도 되새길 만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이 대구.경북 지역, 나아가 우리나라 모든 지역의 문화사와 현재를 돌아보고 발전시켜 나가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정재훈(지은이)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동 대학원 졸업.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인문학연구원을 거쳐 현재 경북대학교 사학과에 재직 중이다. 저서로 《조선전기 유교 정치사상 연구》, 《조선시대의 학파와 사상》, 《조선의 국왕과 의례》, 《조선 국왕의 상징》 등이 있고, 역서로 《동사(東史)》, 《용헌집(容軒集)》, 《동호문답(東湖問答)》, 《대학연의(大學衍義)》 등이 있다. 그 외 논문 40여 편이 있다.
박용찬(지은이)
경북 경주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국어교육과를 거쳐, 같은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 박사과정을 졸업하였다. 최근 매체, 정전, 지역문학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해방기 시의 현실인식과 논리』, 『한국 현대시의 정전과 매체』, 『문학교육개론』(공저), 『영영장판과 영남의 출판문화』(공저)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이용악 시의 공간적 특성 연구」, 「이육사 시의 정전화 과정과 특징 연구」, 「이상화 문학과 장소성의 문제」 등이 있다. 현재 경북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옥영정(지은이)
고문헌관리학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 교수, 『금속활자인쇄술과 역사발전 Ⅰ』(공저), 「한국 古文獻의 현황과 기준 설정에 대한 검토」, 『완판본(完板本) 고전책방을 열다』(공저) 등의 논저가 있다.
손계영(지은이)
대구가톨릭대학교 도서관학과 부교수. 고문헌관리학을 전공했으며 주요 논저로 <영영장판과 영남의 출판문화>(공저, 2017년), <목판의 행간에서 조선의 지식문화를 읽다>(공저, 2014년), <수령의 사생활>(공저, 2010년) 등이 있다.
김남기(지은이)
현 안동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주요 역서로는 『關東十境』, 『華東書法』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列聖御製에 실린 조선 국왕의 題畵詩 연구」, 「청송의 樓亭 漢詩 연구―讚慶樓·秀孤亭·玉流亭 등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박순(지은이)
중앙대학교 역사학과 졸업. 동 대학원에서 문학석사, 박사학위를 받음. 중앙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명지대학교, 인천대학교 강사. (전)한국국학진흥원 기록유산센터(전 목판연구소) 전문연구원. <목판조사보고서> 경북지역의 목판자료(1)(2)(3)(4). 2004~2007. 경남지역의 목판자료(1)(2)(3). 2007~2010. 충북지역의 목판자료(1). 2011. 충남지역의 목판자료(1)(2)(3)(4). 2012~2015. 전남지역의 목판자료(1). 2017. <공저> 유교책판-나무에 수를 놓다. 2013. 영영장판과 영남의 출판문화. 2017. <역서> 산양읍지山陽邑誌(경상남도 통영시). <공동역서> 집설輯說(수원박물관).

Table of Contents
서문 제1장 조선 시대 지방 감영의 출판문화 _정재훈 1. 머리말 2. 지방 감영과 출판문화 3. 경상감영과 영영장판 4. 맺음말-영영장판과 영남의 출판문화 제2장 규장각 소장 영영장판의 현황과 성격 _김남기 1. 규장각 책판의 분류와 제작 시기 비정 2. 규장각 책판의 소장 경위와 현황 3. 규장각 소장 영영장판의 현황과 성격 4. 맺음말 제3장 경상감영 책판목록의 현황과 기록내용 분석 『누판고(鏤板考)』와 『서책목록(書冊目錄)』을 중심으로 _옥영정 1. 머리말 2. 경상감영 책판이 수록된 주요 책판목록의 현황 3. 『누판고』와 『서책목록』의 기록 내용 분석 4. 맺음말 제4장 조선 후기 경상감영의 출판과 간행본의 특징 _손계영 1. 머리말 2. 경상감영 간행본의 주제별 현황 3. 경상감영 간행본의 간기 분석 4. 경상감영 출판의 특징 5. 맺음말 제5장 영영판의 범주에 대한 재고찰 _박순 1. 서론 2. 영영판의 종류 3. 영영판의 기준에 대한 재고(再考) 4. 영영판의 범주 5. 맺음말 제6장 대구·경북 지역 근·현대 출판과 문학 _박용찬 1. 머리말 2. 근대계몽기: 재전당서포와 광문사 3. 일제강점기: 문예지와 교지(校誌)들 4. 해방기: 『죽순』과 아동문학 매체 5. 1950년대: 전선매체들과 지역의 출판사들 6.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