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25827 | |
005 | 20180112103026 | |
007 | ta | |
008 | 180109s2014 ggk b 001c kor | |
020 | ▼a 9788997544523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3565397 | |
040 | ▼a 241008 ▼c 241008 ▼d 2410088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79.158 ▼2 23 |
085 | ▼a 379.158 ▼2 DDCK | |
090 | ▼a 379.158 ▼b 2014 | |
100 | 1 | ▼a Fitzpatrick, Jody L. ▼0 AUTH(211009)40586 |
245 | 1 0 | ▼a 프로그램 평가 : ▼b 대안적 접근과 실천적 지침 / ▼d Jody L. Fitzpatrick, ▼e James R. Sanders, ▼e Blaine R. Worthen 공저 ; ▼e 김규태 [외]공역 |
246 | 1 9 | ▼a Program evaluation : ▼b alternative approaches and practical guidelines ▼g (4th ed.) |
260 | ▼a 파주 : ▼b 아카데미프레스, ▼c 2014 | |
300 | ▼a 645 p. ; ▼c 25 cm | |
500 | ▼a 공역자: 이진희, 박찬호, 허영주, 정진철, 권효진 | |
500 | ▼a 부록: 『프로그램 평가 기준』과 『평가자를 위한 안내 원칙』 | |
504 | ▼a 참고문헌(p. [613]-640)과 색인수록 | |
650 | 0 | ▼a Educational evaluation ▼z United States |
650 | 0 | ▼a Evaluation research (Social action programs) ▼z United States |
650 | 0 | ▼a Evaluation ▼x Study and teaching ▼z United States |
700 | 1 | ▼a Sanders, James R., ▼e 저 ▼0 AUTH(211009)56307 |
700 | 1 | ▼a Worthen, Blaine R., ▼e 저 ▼0 AUTH(211009)105636 |
700 | 1 | ▼a 김규태, ▼e 역 ▼0 AUTH(211009)93176 |
700 | 1 | ▼a 이진희, ▼e 역 ▼0 AUTH(211009)119763 |
700 | 1 | ▼a 박찬호, ▼e 역 ▼0 AUTH(211009)95872 |
700 | 1 | ▼a 허영주, ▼e 역 ▼0 AUTH(211009)86345 |
700 | 1 | ▼a 정진철, ▼e 역 ▼0 AUTH(211009)118813 |
700 | 1 | ▼a 권효진, ▼e 역 ▼0 AUTH(211009)50182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9.158 2014 | 등록번호 11178402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9.158 2014 | 등록번호 11186209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책은 평가에 대한 가장 포괄적인 교재 중 하나로서 프로그램 평가를 가르치고 실행하는 사람은 반드시 소장해야 하는 책이다. 이 책만큼 한 분야 및 전문영역으로서 평가에 대해 철저하고 균형 잡힌 시각을 제공하는 책은 없다. 원래 교육 관련 독자들을 위해 집필되었지만, 이제는 사회과학, 행동과학, 예방과학에서 평가를 실행하는 사람 누구에게나 필수적인 자료이다.
- Christina A. Christi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학교, 정부 조직, 비영리 조직에서 프로그램 평가 과목을 위해 사용하기에 적합한 포괄적 교재이자 실용적 참고서
학생들과 교육 분야, 정부 조직, 비영리 조직의 구성원들이 읽어온 이 고전적 교재가 이제 4판으로 개정되었다. 이전 판본들과 마찬가지로 이 교재에는 결정중심평가, 활용중심평가, 이론중심평가, 권한부여평가, 참여적 평가 등을 포함하는 주요한 대안적 평가에 대한 리뷰를 담고 있다. 또한 이 책의 장들은 이해관계자들을 선택하고 참여시키는 여러 다른 수단 및 평가 질문들을 확인하는 단계적 지침을 제공한다. 이 교재에는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단계와 함께 모든 이해관계자들에게 보고하는 데 필요한 구체적 제언들이 담겨 있다.
이 개정판이 다루는 내용은 평가자들이 유용한 평가 질문을 개발하고, 그러한 질문들 및 연구의 맥락에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며, 평가의 영향과 활용을 증진시키기 위해 정치적 요인들을 다루는 방법이다.
다른 책과 달리 이 책의 저자들은 특정한 평가 모형을 옹호하지 않는다. 대신 이들은 많은 모형들을 설명하고 독자들이 특정한 평가에 가장 적합한 모형 또는 모형의 요소들을 선택하도록 권장한다. 결국 이 책은 평가자들이 윤리적이고 유용한 평가를 수행하도록 돕기 위해 새로 개정된 프로그램 평가 기준을 다룬 첫 번째 교재이다.
이 개정판에 새로 추가된 내용들
- 완전히 개정된 [접근과 모형] 섹션은 참여적 평가, 이론중심평가, 권한부여평가, 결정중심평가 등을 포함하여 고전적 접근과 현대적 접근을 모두 분석한다.
- 각 [응용] 장은 실제 평가 및 평가에서 그들의 선택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에 대한 전문 평가자들과의 인터뷰를 독자들에게 제시한다.
평가에 있어 정치적 이슈들에 대해 개정되고 확장된 장은 책무성, 교육에서의 기준, 무선임상실험, 결과와 영향에 대한 집중 등 현재의 논쟁적 이슈들에 대해 논의한다.
- 확장된 섹션에서는 프로그램 이론과 논리 모형을 사용하여 평가 질문을 확인하고 프로그램을 이해하는 데 대해 논의한다. 추가 섹션에서는 적절하고 유용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혼합 방법 및 다른 전략들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자세하게 다룬다.
- 평가 결과를 보고하는 데 사용되는 현재의 방법들에 대해 개정된 장은 조직을 개선하고 핵심 이해관계자들과의 의사소통을 위해 평가를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제언한다.
정보제공 :

목차
제1부 평가에 대한 소개 1 평가의 기본 목적, 활용 및 개념 2 현대 프로그램 평가의 기원과 동향 3 평가에 있어 정치적, 대인관계적, 윤리적 쟁점사항 제2부 프로그램 평가의 대안적 접근 4 평가의 대안적 견해 5 첫 번째 접근법: 전문자중심 접근법과 소비자중심 접근법 6 프로그램중심 평가 접근법 7 의사결정중심 평가 접근법 8 참여자중심 평가 접근법 9 최근 고려사항: 문화적 역량과 능력 구축 10 평가 접근법의 비교분석 제3부 평가 계획을 위한 실질적인 안내 지침 11 평가 요구와 책임 명확히 하기 12 범위 설정과 평가 맥락 분석하기 13 평가 질문들과 준거 확인하고 선택하기 14 평가 계회하기 제4부 평가 실시 및 활용을 위한 실처적 지침 15 평가 정보 수집하기: 설계, 표집, 비용 결정 16 평가 정보 수집하기: 자료 출처와 방법, 분석, 해석 17 평가 ?과 보고하기: 최대 사용과 이해 18 평가의 미래 부록 A『프로그램 평가 기준』및『평가자를 위한 안내 원칙』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