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읽고 쓰지 못하는 아이들 : 문맹과 문해맹 아이들을 위한 한글 수업 (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홍인재
서명 / 저자사항
읽고 쓰지 못하는 아이들 : 문맹과 문해맹 아이들을 위한 한글 수업 / 홍인재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에듀니티,   2017  
형태사항
324 p. : 삽화(일부천연색) ; 23 cm
ISBN
9791185992716
일반주기
부록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24334
005 20171228154521
007 ta
008 171228s2017 ulka 000c kor
020 ▼a 9791185992716 ▼g 13370
035 ▼a (KERIS)BIB000014658002
040 ▼a 211031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2.6 ▼2 23
085 ▼a 372.6 ▼2 DDCK
090 ▼a 372.6 ▼b 2017z1
100 1 ▼a 홍인재
245 1 0 ▼a 읽고 쓰지 못하는 아이들 : ▼b 문맹과 문해맹 아이들을 위한 한글 수업 / ▼d 홍인재 지음
260 ▼a 서울 : ▼b 에듀니티, ▼c 2017
300 ▼a 324 p. : ▼b 삽화(일부천연색) ; ▼c 23 cm
500 ▼a 부록수록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2.6 2017z1 등록번호 11178349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문맹과 문해맹 아이들을 위한 한글 수업. 지금도 교실 한 구석에서 글을 모른다는 사실을 들킬까봐 숨죽이고 있을,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싶어도 잘 하지 못하는, 세상을 이해하고 세상과 연결되는 ‘언어’라는 도구를 갖지 못한 문맹과 문해맹 아이들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를 이야기한다.

1부에서는 학교와 사회에 어른거리는 문맹의 그림자에 관해 이야기한다. 문맹이 학교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반에 어떻게 걸쳐 있는지 보여준다. 2부와 3부에서는 저자가 직접 지도한 두 아이의 사례를 통해 문자 지도 방법과 언어에 관한 이야기를 한다.

이어지는 4부에서는 앞의 두 아이를 가르치면서 깨닫게 된 아이의 언어 발달 과정과 그에 따른 국어 수업 방법을 소개한다. 왜 아이들이 5학년, 6학년이 되어도 맞춤법과 띄어쓰기를 제대로 못하는지, 글 한 편을 제대로 읽어내지 못하는지, 해독과 독해의 문제를 어떻게 다뤄야 할 것인지 알려준다.

5부에는 문맹과 기초 학력 정책 이야기를 담았다. 저자는 선생님들과 함께하려고, 그리고 문자 지도를 위한 제대로 된 정책을 만들어보기 위해 시작한 두 아이의 한글 지도 시간 덕분에 현장의 교사가 겪는 어려움을 좀 더 세밀히 들여다볼 수 있었다고 고백한다. 선생님들과 함께한 연구 덕분에 알게 된 것을 정책으로 풀어낸 경험과 앞으로 무엇을 어떻게 하면 좋을 것인지 담아냈다.

“나는 두 아이의 손을 놓지 않았다”
읽지 못하고, 쓰지 못하고, 읽어도 이해하지 못하는
아이들을 어떻게 할 것인가?


글을 읽고 쓰지 못하는 아이들

한 1학년 여자아이는 자기 이름만 읽고 쓸 줄 안다. 글을 읽고 쓰지 못하다 보니 친구들에게 놀림을 당할 때가 많으며 그로 인해 표정이 시무룩하고 늘 조용하게 지낸다. 한 학기 동안 담임교사와 ‘ㄱ’부터 ‘ㅈ’까지 공부했으나 순서가 틀어지면 잘 읽지 못한다.
한 초등학교 2학년 남자아이는 축구를 좋아한다. 축구에 관해 말할 때는 눈을 반짝반짝 빛낸다. 그러나 글자를 읽어보라고 하면 읽지 않으려 하면서 엉뚱한 이야기를 한다. 책을 읽어야 할 때도 다른 곳을 바라보거나 코를 후비고, 물을 마시고 싶다면서 밖으로 나가 시간을 보내다 마지못해 교실로 들어온다.
또다른 3학년 여자아이는 성격이 순하고 말이 별로 없다. 글씨를 예쁘게 쓰고 주어진 활동은 끝까지 마무리하지만, 국어 시간에는 글쓰기를 스스로 하지 못한다. 예시 자료 베껴 쓰기, 친구 것 보고 쓰기와 같은 방법을 동원해 빈칸을 채우기는 한다. 국어책을 읽지 않으려고 해서 방과 후에 글 읽기를 시켜보니 한 글자씩 끊어 읽는다. 발음도 정확하지 않다. 자신이 글을 잘 읽고 쓰지 못하는 것을 친구들이 알게 될까 봐 무척 두려워한다.
축구도 좋아하고 친구들과 어울려 노는 것도 좋아하는 6학년 남자아이. 하지만 놀아주는 친구가 없다. 그래서 늘 저학년 동생들과 어울려 논다. 술래잡기를 하다 2학년 아이를 때린 일 때문에 다시는 동생을 때리지 않겠다는 다짐의 글을 써야 했는데, 글을 읽어보니 맞춤법은 그럭저럭 맞았으나 한 곳도 띄어 쓰지 않아 모든 글자가 붙어 있었다.

문맹과 문해맹

위 사례들은 저자가 장학사로 근무하면서 기초 학력과 학습클리닉센터 업무를 맡아서 하는 동안에 만난 아이와 선생님들의 이야기다. 저자는 그 기간 동안 글을 읽고 쓰지 못하는 아이를 숱하게 만났으며, 글을 읽고 쓰더라도 더듬더듬 읽는 아이, 겨우 더듬더듬 읽고 쓰는 수준이라 교과 학습이 불가능한 아이는 더 많았다고 한다. 이른바 문맹과 문해맹 아이들이다. 실제 현장 교사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앞에 소개한 사례와 같은 아이들을 심심치 않게 만난다고 한다. 그리고 그런 아이들을 제때 발견하거나 제대로 지도하지 못해 다음 학년이나 상급 학교로 올려보낸 경험이 있다고 한다.
이런 아이들을 어떻게 해야 할까? 일단 이런 아이들이 찾아내는 것이 쉽지 않다. 글을 읽거나 써야 하는 경우가 오면, 짝궁이나 다른 친구들이 한 것을 기억하여 흉내냄으로써 자신이 글을 읽지 못한다는 사실을 잘 숨기기 때문이다. 교사의 처지에서 보면, 교사들은 교대에서 한글을 가르치는 법을 배운 적이 없다. 평범한 아이들을 지도하는 법도 배우지 못했으니, 문맹 아이들에 대한 지도법은 더더군다나 배운 적이 없다. 이는 교사가 된 이후로도 마찬가지다. 또한 그런 한두 명의 아이를 위해 별도로 지도할 여건도 되지 않는다. 게다가 거의 대부분의 아이들이 이미 학교에 입학하기 전에 한글을 깨치고 오기 때문에, 자신이 할 일이 아니라 가정이나 부모가 해야 할 일로 여기는 경우도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2017학년도 1학년부터는 한글 교육을 학교 교육만으로도 가능하게 하겠다는 취지로 1, 2학년 단계에서 담임 책임지도 등을 통해 모든 학생의 한글 해득을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준에 포함시켰음에도 그렇다.
이처럼 교사는 교사대로, 아이는 아이대로 힘들고 어려운 시간을 보내다가 한글 지도의 골든타임이라고 할 수 있는 1, 2학년 시절을 그냥 흘려보내고 만다. 학습 속도가 느린 아이일수록 배운 것을 잘 잊는다. 어제 가르쳐서 가까스로 익힌 것도 오늘 다시 하려면 기억해내지 못한다. 방학 전에 어느 정도 읽었다가도 방학이 끝나면 새까맣게 까먹고 오는 경우도 많다. 그러면 교사는 좀처럼 늘지 않는 아이들 때문에 교사로서의 자존감에 상처를 입기도 하며, 포기하고 싶은 마음이 들게 된다.

읽고 쓸 줄 모르는 아이를 위하여

이 책은 지금도 교실 한 구석에서 글을 모른다는 사실을 들킬까봐 숨죽이고 있을,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싶어도 잘 하지 못하는, 세상을 이해하고 세상과 연결되는 ‘언어’라는 도구를 갖지 못한 문맹과 문해맹 아이들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를 이야기한다.
1부에서는 학교와 사회에 어른거리는 문맹의 그림자에 관해 이야기한다. 문맹이 학교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반에 어떻게 걸쳐 있는지 보여준다. 2부와 3부에서는 저자가 직접 지도한 두 아이의 사례를 통해 문자 지도 방법과 언어에 관한 이야기를 한다.
이어지는 4부에서는 앞의 두 아이를 가르치면서 깨닫게 된 아이의 언어 발달 과정과 그에 따른 국어 수업 방법을 소개한다. 왜 아이들이 5학년, 6학년이 되어도 맞춤법과 띄어쓰기를 제대로 못하는지, 글 한 편을 제대로 읽어내지 못하는지, 해독과 독해의 문제를 어떻게 다뤄야 할 것인지 알려준다.
5부에는 문맹과 기초 학력 정책 이야기를 담았다. 저자는 선생님들과 함께하려고, 그리고 문자 지도를 위한 제대로 된 정책을 만들어보기 위해 시작한 두 아이의 한글 지도 시간 덕분에 현장의 교사가 겪는 어려움을 좀 더 세밀히 들여다볼 수 있었다고 고백한다. 선생님들과 함께한 연구 덕분에 알게 된 것을 정책으로 풀어낸 경험과 앞으로 무엇을 어떻게 하면 좋을 것인지 담아냈다.
읽고 쓸 줄 모르는 아이를 가르칠 때 이 책이 참고가 될 것이다. 아무리 가르쳐도 제자리인 아이도 학교와 교사의 몫임을 인식하고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를 고민하면서 읽어보면 좋을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홍인재(지은이)

2017년 『읽고 쓰지 못하는 아이들』을 펴낸 이후로 전국의 선생님들로부터 넘치는 사랑을 받았다. 매해 ‘한글 해득 이후의 아이들’을 만나 글을 읽고 쓰는 방법을 가르치면서 아이의 성장을 지켜보는 기쁨과 언어를 연구하는 즐거움을 맛보고 있다. 언어 발달을 연구하기 위해 전주 지역 모 초등학교 아이들의 문해력 검사를 1학년 때부터 4년간 진행하였으며, 졸업할 때까지 계속할 예정이다. 그 과정과 내용을 책으로 엮어내는 꿈을 가지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들어가는 글 

1부. 배배 꼬인 한글, 문해 교육 
1장. 꽃잎으로 쓴 글자 
2장. 잘 읽고, 잘 쓰지 못하는 아이들 
3장. 잘 읽지 못하는 어른들 
4장. 한글, 문해교육은 왜 이렇게 꼬였을까? 
5장. 꼬인 매듭을 어디서부터 풀어야 할까? 

2부. 은성이의 ‘읽기 따라잡기’ 수업 
1장. 읽기 따라잡기 연수 
2장. 읽기 수업 전에 알아야 할 아이의 읽기 발달 
3장. 읽기 따라잡기 수업 
4장. 두 아이와 함께한 좌충우돌 문맹 탈출기 
5장. 아이의 필요와 요구가 빠진 수업 
6장. 마지막 수업 
7장. 문자 지도 이렇게 하자 

3부. 동찬이의 언어 수업 
1장. 읽고 쓰기 너머의 것 
2장. 수업의 주도권을 아이에게 넘겨주다 
3장. 아이가 쓰는 언어에 주목하다 
4장. 동찬이의 언어 세상 
5장. 말놀이 글놀이 수업 
6장. 언어 수업 이렇게 하자 

4부. 언어 발달과 국어 수업 
1장. 아이들은 얼마나 잘 읽을까? 
2장. 아이의 언어 발달 
3장. 발달 단계에 맞는 국어 수업 
참고 자료. 난독(難讀)과 난독증(難讀症) 

5부. 우리 아이들에게 무엇이 필요한가? 
1장. 단 한 명의 아이도 포기하지 않는 교육 
2장. 언어 교육, 어떤 정책이 필요한가? 
3장. 결국 희망은 교사다 

나가며 

[부록 1] 읽기 따라잡기 수업 1-사랑이 | 읽기 따라잡기 수업 2-라온이와 한글 읽기 
[부록 2] 말놀이, 글놀이 중심의 1학년 국어 수업

관련분야 신착자료

한성심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