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육정책의 역사적 변동과 전망 (1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신복, 저 김인희, 저 김재춘, 저 서정화, 저 신정철, 저 이무근, 저 이종재, 저 천세영, 저 최운실, 저
서명 / 저자사항
교육정책의 역사적 변동과 전망 / 김신복 외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형태사항
668 p. : 도표 ; 24 cm
총서사항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국가리더십연구센터) 국가리더십연구총서 ;8
ISBN
9788952119049 9788952116413 (세트)
일반주기
공저자: 김인희, 김재춘, 서정화, 신정철, 이무근, 이종재, 천세영, 최운실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24118
005 20171227111931
007 ta
008 171226s2017 ulkd b AK 001c kor
020 ▼a 9788952119049 ▼g 94350
020 1 ▼a 9788952116413 (세트)
035 ▼a (KERIS)BIB000014605543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82 0 4 ▼a 379.519 ▼2 23
085 ▼a 379.53 ▼2 DDCK
090 ▼a 379.53 ▼b 2017z5
245 0 0 ▼a 교육정책의 역사적 변동과 전망 / ▼d 김신복 외
260 ▼a 서울 : ▼b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c 2017
300 ▼a 668 p. : ▼b 도표 ; ▼c 24 cm
440 1 0 ▼a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국가리더십연구센터) 국가리더십연구총서 ; ▼v 8
500 ▼a 공저자: 김인희, 김재춘, 서정화, 신정철, 이무근, 이종재, 천세영, 최운실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700 1 ▼a 김신복, ▼e▼0 AUTH(211009)100188
700 1 ▼a 김인희, ▼e▼0 AUTH(211009)2583
700 1 ▼a 김재춘, ▼e▼0 AUTH(211009)136248
700 1 ▼a 서정화, ▼e▼0 AUTH(211009)81090
700 1 ▼a 신정철, ▼e▼0 AUTH(211009)18443
700 1 ▼a 이무근, ▼e▼0 AUTH(211009)58096
700 1 ▼a 이종재, ▼e▼0 AUTH(211009)116887
700 1 ▼a 천세영, ▼e▼0 AUTH(211009)140089
700 1 ▼a 최운실, ▼e▼0 AUTH(211009)45052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9.53 2017z5 등록번호 11178340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국가리더십연구센터의 국가리더십연구총서 여덟 번째 결과물로서, 광복 이후 우리나라 교육 분야의 주요 정책을 역사적 변동에 초점을 맞추어 큰 흐름을 조망한 연구서이다. 우리나라 교육정책의 형성 및 집행 과정에서 주요 영역 또는 기능별로 특징적인 변동의 양상과 성패요인 등 관련요인들을 밝히고, 향후 정책수립과 집행에 대한 시사점과 제언을 종합하여 차세대 지도자들에게 체계적인 지식과 교훈을 제공한다.

이 책은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국가리더십연구센터의 국가리더십연구총서 여덟 번째 결과물로서, 광복 이후 우리나라 교육 분야의 주요 정책을 역사적 변동에 초점을 맞추어 큰 흐름을 조망한 연구서이다.

광복 이후 70여 년 동안 우리 교육은 국가발전의 원동력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고 교육정책은 지속적으로 국민들의 높은 관심을 받아왔지만 그 타당성에 관한 논란도 많았다. 이 책은 우리나라 교육정책의 형성 및 집행 과정에서 주요 영역 또는 기능별로 특징적인 변동의 양상과 성패요인 등 관련요인들을 밝히고, 향후 정책수립과 집행에 대한 시사점과 제언을 종합하여 차세대 지도자들에게 체계적인 지식과 교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책에서 저자는 교육정책이 타 분야 정책들에 비해 가지고 있는 상대적인 특수성을 열거하고 있다. 첫째, 교육정책은 독립변수적인 성격과 종속변수적인 성격을 함께 가지고 있다. 둘째, 교육을 통한 인적자원 개발에는 장기간이 소요되며 투자회임기간이 길다. 셋째, 국민들의 교육정책에 대한 관심이 타 분야의 정책보다 매우 높다. 넷째, 인간은 스스로 판단하고 활동하는 주체이므로 폐쇄적인 체제 속에서 인과관계의 설정과 평가가 어렵다. 다섯째, 교육정책의 효과를 계량적으로 측정하는 데 한계가 있다. 여섯째, 교육정책은 지속적으로 추진된기 때문에 착수시점과 종료시점을 획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런 요소들 때문에 교육정책은 별도의 연구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구성은 총 4부로 이루어지는데, 1부 총론에 이어 2부에서 ‘유·초·중등교육정책‘ 및 ’고등교육정책‘의 공교육 정책과 ’사교육 대책 및 대학입학선발제도‘에 대해 살펴보고, 3부에서 직업교육정책과 평생학습정책, 4부에서는 교육여건 및 지원정책 관련하여 ’교직원정책‘과 ’교육복지 및 환경정책‘, ’교육행정 및 정책과정‘과 ’교육재정정책‘으로 구분하여 서술하고 있다.

광복 70주년을 맞이하는 동안 교육발전의 성과와 요인들을 정리하는 몇몇 시도들이 있었으나 이 책은 교육정책의 역사적 변동에 초점을 맞추고 그 큰 흐름을 조망하는 연구서라는 점에서 그 의미를 지닌다. 향후 다양한 후속 연구들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신복(지은이)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를, 미국 피츠버그대학에서 행정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행정학회 회장, 교육인적자원부 차관, 서울대학교 부총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명예교수와 가천학원 이사장으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교육정책론』(1996, 공저), 『발전기획론』(2004) 외 다수가 있다.

이무근(지은이)

학력 미국 University of Illinois (UIUC) Ph. D 직업기술교육 전공 경력 現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現 한국창의성학회 대표 前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이사장 前 동명대학교 총장 前 경일대학교 총장 前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초대원장 前 서울대학교 농산업교육과 교수 前 The Ohio State University, Virginia Tech Visiting Scholar 저서 직업교육학 원론, 직업교육과정과 평가,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전문대학 교육론 공저 꿈꾸는 진로여행, 실기교육방법론, 교육정책의 역사적 변동과 전망

이종재(지은이)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교육학과에서 석사과정(교육행정전공)을 수료하고, 미국 플로리다주립대학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교육행정학회 회장, 한국교육개발원 원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 『한국교육 60년』(2010, 공저), 『사교육: 현상과 대응』(2010, 공저), 『한국교육행정론』(2012, 공저), 『교육정책론』(2015, 공저) 외 다수가 있다.

김재춘(지은이)

영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미국 UCLA에서 교육과정 및 교육정책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대통령비서실 교육비서관, 교육부 차관, 한국교육개발원 원장, 영남대학교 교학부총장 등을 역임했다. OECD CERI(교육 분야) 운영이사, 세계교과서학회(IARTEM) 아시아 대표이사,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교육분과 위원장 등을 지내며 다양한 국제 학술 활동을 펼쳤다. 영국, 프랑스, 아일랜드, 싱가포르, 홍콩, 중국, 유네스코 등 여러 국가나 국제기구의 초청으로 논문을 발표하거나 자문했다. 니체와 들뢰즈 등 현대 사유가 지닌 교육적 의미를 찾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천세영(지은이)

제주도 추자에서 1956년에 났고 신양초 제주일중 배재고를 거쳐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학사석사박사 공부를 하였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한국교육개발원을 거쳐 2021년 8월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정년하기까지 평생 동안 교육을 연구하고 후학을 가르쳤다. 스마트교육학회를 창립하고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장을 역임하는 등 많은 학술단체의 임원과 세계화교육문화재단 대표 이외의 여러 민간사회단체에서 봉사하였다. 풀브라이트 장학생으로서 미국 피츠버그대학 및 조지메이슨 대학의 방문학자로서 OECD교육지표사업 자문관으로서 또한 니카라과와 미얀마 등 많은 개발도상국의 교육개발협력사업 등 활발한 국제 활동에 참여하였다. 대한민국 대통령실 교육비서관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장 등을 역임하면서 국가교육정책의 형성과 실행 과정에도 깊이 관여하였다. 30여편 이상의 단독/공저 저서와 160편 이상의 국내외 학술논문을 출판하였고 40여명의 박사 제자를 배출하였다.

김인희(지은이)

1960. 8. 1 서울 출생 경력 김인희 교육복지연구소 소장(2019~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교수(2005~2019) 홍익대학교 교육경영관리대학원 교수(2001~2003) 교육부 사무관, 서기관, 과장 (1990~2005) *교육복지정책과장(2004~2005) 충남교육위원회 진흥계장(1986~1989) 행정고등고시 27회 합격(1983) 학력 미국 University of Virginia 교육학박사(2003)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졸업(1985)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졸업(1983) 활동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정책자문위원(교육복지분과위원장) 교육과학기술부 자체평가위원 서울시교육청 교육복지연구자문위원 충북교육청 교육복지정책위원 국민고충처리위원회 자문위원(행정문화분과) 재단법인 무지개청소년센터 이사 한국교육행정학회,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육인류학회, 한국교육정치학회 임원 한국사회정책학회 회원 저서 학교교육혁신론. 2008. ㈜한국학술정보 교육복지정책론 (공저, 안병영). 2009. 다산출판사 그들이 아닌 우리를 위한 복지 (공저). 2011. 학지사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 핸드북 (공저). 2013. 학지사 교육정책의 역사적 변동과 전망 (공저). 2017.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최운실(지은이)

이화여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교육학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평생교육학회 회장,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원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로 재직하면서 대한민국평생교육진흥재단 대표와 『평생학습타임즈』 발행인을 맡고 있다. 저서로 『한국의 평생교육』(1990), 『평생교육경영론』(2014, 공저), 『노인교육론』(2017, 공저) 외 다수가 있다.

서정화(지은이)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교육학 석사학위를, 미국 플로리다주립대학에서 철학 박사학위(교육행정/정책 전공)를 취득하였다. 한국교육행정학회 회장, 홍익대학교 사범대부속고등학교 교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홍익대학교 교육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 『한국교육의 새지평』(2011, 공저), 『선생님이 해답입니다』(2012) 외 다수가 있다.

김훈호(지은이)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교육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Internationalizing Higher Education in Korea(2016, 공저)가 있다.

신정철(지은이)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학위를, 미국 플로리다주립대학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교육부 평생학습정책과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University Rankings(2011), The Future of the Post-Massified University at the Crossroads(2013), Mass Higher Education Development in East Asia(2015) 외 다수가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머리말 

1부 총론 

1장 / 교육정책, 교육발전, 국가발전 __김신복 
I. 서론: 개념 및 분석의 틀 
II. 교육정책의 이념 및 패러다임 변동 
III. 교육발전과 교육정책 
IV. 국가발전과정에서 교육(정책)의 기여 
V. 요약, 시사점 및 미래 리더를 위한 제언 

2부 공교육 및 사교육 정책 

2장 / 유·초·중등교육정책의 변동 __김재춘 
I. 서론 
II. 교육기회 확대정책 
III. 교육과정 및 교과서 정책 
IV. 수업 및 평가정책 
V. 유아교육정책 
VI. 교육정보화정책 
VII. 미래 리더를 위한 제언 

3장 / 고등교육정책의 역사적 변동과 전망 __신정철·김훈호 
I. 서론 
II. 대학교육제도의 발달과 대학정책 
III. 대학설립 및 정원정책 
IV. 대학평가정책 
V. 대학에 대한 재정지원정책 
VI. 미래 리더를 위한 제언 

4장 / 사교육 대책과 대학입학제도의 역사적 검토 __이종재 
I. 서론: 이론적 관점 
II. 사교육 대책의 역사적 검토 
III. 대학입학선발제도의 변천 
IV. 미래 리더를 위한 제언 

3부 직업 및 평생 교육정책 

5장 / 직업교육정책의 역사적 변동과 전망 __이무근 
I. 서론: 직업교육의 개념과 정책 변동 고찰의 관점 
II. 교양교육으로서의 직업교육정책 
III. 중등직업교육정책 
IV. 고등직업교육정책 
V. 평생직업교육정책 
VI. 직업교육을 위한 지원체제 
VII. 미래 리더를 위한 제언 

6장 / 평생학습정책의 변동 __최운실 
I. 서론 
II. 평생학습 법제 및 조직의 변천 
III. 평생학습정책의 변천 
IV. 미래 세대를 위한 제언 

4부 교육여건 및 지원정책 

7장 / 교직원정책의 변동 __서정화 
I. 서론 
II. 교원정책의 변동 
III. 임용제도의 혁신 
IV. 교원평가의 추진 
V. 교직원 보수제도의 발전 
VI. 교직원 단체활동의 변동 
VII. 미래 리더를 위한 제언 

8장 / 교육복지 및 교육환경 정책의 변동 __김인희 
I. 서론 
II. 교육복지정책의 변동 
III. 학교시설정책의 변동 
IV. 학생건강정책의 변동 
V. 미래 리더를 위한 제언 

9장 / 교육행정 및 정책과정의 변동 __김신복 
I. 서론 
II. 중앙정부의 교육행정 및 정책 추진 인프라 
III. 중앙정부의 교육부문 기획 및 정책(행정)과정 
IV. 지방행정체제(교육자치제)와 운영 
V. 초·중등학교 행정 및 거버넌스 
VI. 미래 리더를 위한 제언 

10장 / 교육재정제도 및 정책의 변동 __천세영 
I. 서론: 대한민국 교육재정의 역사적 유산 
II. 교육재원확보제도의 성립과 발전 
III. 교육재정배분제도의 발전 
IV. 교육재정운영제도의 발전 
V. 고등교육재정제도의 발전 
VI. 새로운 교육재정 이슈의 등장: 교육복지재정의 딜레마 
VII. 미래 리더를 위한 제언 

찾아보기 
발간사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