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외국인의 기본권주체성 : 두 가지 판단기준의 제안

외국인의 기본권주체성 : 두 가지 판단기준의 제안 (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정광현
서명 / 저자사항
외국인의 기본권주체성 : 두 가지 판단기준의 제안 / 정광현
발행사항
서울 :   심인,   2017  
형태사항
83 p. ; 23 cm
ISBN
9788997457144
서지주기
참고문헌: p. 77-83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23395
005 20171226093656
007 ta
008 171218s2017 ulk b 000c kor
020 ▼a 9788997457144 ▼g 93360
035 ▼a (KERIS)BIB000014533929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82 0 4 ▼a 341.481 ▼2 23
085 ▼a 341.481 ▼2 DDCK
090 ▼a 341.481 ▼b 2017
100 1 ▼a 정광현
245 1 0 ▼a 외국인의 기본권주체성 : ▼b 두 가지 판단기준의 제안 / ▼d 정광현
260 ▼a 서울 : ▼b 심인, ▼c 2017
300 ▼a 83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77-83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1.481 2017 등록번호 11178312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Ⅰ. 서론 = 1
Ⅱ. 제1기준 = 5
 1. 기존의 인식 = 5
 2. 기존의 관념에 대한 검토 = 6
  가. 문리해석 = 6
  나. 체계적 해석 = 10
  다. 발생사적 해석 = 11
   (1) 기본권주체 표현방식 다양화의 유래 = 11
   (2) 제헌헌법 제7조 제2항의 도입취지 = 14
   (3) 소결론 = 18
 3. 제1기준의 합목적성 = 18
 4. 소결론 = 24
Ⅲ. 제2기준 = 25
 1. 문제의 소재 = 25
  가. 논의의 현황 = 25
  나. 각 방안의 문제점 = 25
   (1) ① 방안의 문제점 = 26
   (2) ② 방안의 문제점 = 29
   (3) ③ 방안의 문제점 = 30
   (4) ④방안의 문제점 = 32
 2. 헌법 제6조 제2항의 규정내용 = 33
  가. 규정의 연혁 = 33
  나. 입법취지 = 33
  다. 세부적인 구성요건요소들과 법적 효과 = 35
   (1) ''''외국인'''' = 35
   (2) ''''지위가 보장된다'''' = 35
   (3) ''''국제법과 조약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 37
 3. 헌법 제6조 제2항이 기본권조항인지 여부 = 39
  가. 기존의 인식 = 39
  나. 기존 인식의 배경 = 41
  다. 국제인권법의 발전 = 47
  라. 우리나라에서 국제인권법의 발효 = 51
  마. 헌법 제6조 제2항의 부활 = 53
  바. ''''헌법상 주관적 공권''''의 의미 = 56
  사. 기본권의 개념 = 59
   (1) 형식적 징표 : ''''헌법에 의하여 직접 보장된 주관적 공권'''' = 59
   (2) 내용적 징표 : ''''근본적 성격'''' = 61
   (3) 절차법적 의미 : ''''헌법소원심판의 청구가능성'''' = 62
  아. 헌법 제6조 제2항의 기본권조항적 성격 = 63
   (1) 쟁점의 정리 = 63
   (2) 통상적인 조약의 경우 = 64
   (3) 국제인권조약의 경우 = 66
 자. 헌법 제6조 제2항과 헌법 제2장의 관계 = 68
 4. 제2기준의 합목적성 = 69
 5. 소결론 = 73
Ⅳ. 결론 = 74
참고문헌 = 7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