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淸溪川, 청계고가를 기억하며

淸溪川, 청계고가를 기억하며 (Loan 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전우용, 저 김기호, 저 송도영, 저 강우원, 저 오유석, 저 진양교, 저 송인호, 저
Title Statement
淸溪川, 청계고가를 기억하며 / 전우용 [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마티,   2009  
Physical Medium
311 p. : 삽화 ; 21 cm
Series Statement
서울학 모노그래프 ;03
ISBN
9788992053563
General Note
공저자: 김기호, 송도영, 송인호, 오유석, 강우원, 진양교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05-308)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23184
005 20171218090612
007 ta
008 171214s2009 ulka b 001c kor
020 ▼a 9788992053563 ▼g 93900
035 ▼a (KERIS)BIB000012775545
040 ▼a 243001 ▼c 243001 ▼d 243001 ▼d 211009
082 0 4 ▼a 951.95 ▼2 23
085 ▼a 953.1 ▼2 DDCK
090 ▼a 953.1 ▼b 2009z11 ▼c 3
245 0 0 ▼a 淸溪川, 청계고가를 기억하며 / ▼d 전우용 [외]
260 ▼a 서울 : ▼b 마티, ▼c 2009
300 ▼a 311 p. : ▼b 삽화 ; ▼c 21 cm
440 0 0 ▼a 서울학 모노그래프 ; ▼v 03
500 ▼a 공저자: 김기호, 송도영, 송인호, 오유석, 강우원, 진양교
504 ▼a 참고문헌(p. 305-308)과 색인수록
700 1 ▼a 전우용, ▼e▼0 AUTH(211009)13958
700 1 ▼a 김기호, ▼e▼0 AUTH(211009)76171
700 1 ▼a 송도영, ▼e▼0 AUTH(211009)28320
700 1 ▼a 강우원, ▼e▼0 AUTH(211009)16207
700 1 ▼a 오유석, ▼e▼0 AUTH(211009)68375
700 1 ▼a 진양교, ▼e▼0 AUTH(211009)94912
700 1 ▼a 송인호, ▼e▼0 AUTH(211009)36593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953.1 2009z11 3 Accession No. 11178287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서울학 모노그래프 3권. 청계천은 서울이 조선 왕조의 수도가 된 이래 600년 가까이 도성 한복판을 흐르면서 서울 주민의 시선을 자극하고,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었던 중요한 공간 요소였다. 비록 1961년에 도성 내 구간이, 이어 1967년에 그 하류 구간이 모두 복개됨으로써 청계천은 서울 주민의 시야에서 완전히 자취를 감추어 버렸지만, 그 이전 600년 가까운 기간 동안 청계천에 부착되었던 상징성까지 완전히 소멸하지는 않았다.

복개와 청계고가의 건설과 철거, 그리고 청계천 복원, 청계천은 서울의 역사를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청계천은 서울이 조선 왕조의 수도가 된 이래 600년 가까이 도성 한복판을 흐르면서 서울 주민의 시선을 자극하고,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었던 중요한 공간 요소였다. 조선시대의 청계천은 도성내 가로와 건축물의 배치를 규정했으며, 명당수인 동시에 빨래터이자 하수도였다. 이곳은 또 명절의 놀이터였고, 거지들의 생활터전이기도 했다. 청계천은 수많은 도시 기능을 감당해야 했고 그런 만큼 풍부한 상징성을 지녔다. 1961년에 도성 내 구간이, 이어 1967년에 그 하류 구간이 모두 복개됨으로써 청계천은 서울 주민의 시야에서 완전히 자취를 감추어 버렸지만, 그 이전 600년 가까운 기간 동안 청계천에 부착되었던 상징성까지 완전히 소멸하지는 않았다. 청계고가도로 아래에 또는 청계천로 양측에, 미미하나마 역사적 관성의 숨결은 남아 있었다. 청계천 ‘복원’은 역설적으로 그 숨결을 결정적으로 약화시켰지만, 세심한 사람들은 아직도 청계천 주변의 건조물과 토지 이용 양태를 통해 그 역사적 흔적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송도영(지은이)

프랑스 고등사회과학원(E.H.E.S.S.)에서 역사인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유목민에서 도시민으로: 북아프리카의 이민과 정체성 위기』 『서울읽기』 등이 있다.

전우용(지은이)

1962년 충북 옥천에서 출생.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과정을 마치고 『19세기 말~20세기 초 한인 회사(會社)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시립대 서울학연구소 상임연구위원, 서울대병원 병원역사문화센터 교수,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연구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객원교수,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서울시 문화재위원 등을 지냈다. 한국 근현대의 사회경제사, 도시사, 보건의료사, 일상사, 개념사 등에 관해 두루 연구하면서 『서울은 깊다』, 『한국 회사의 탄생』, 『현대인의 탄생』, 『오늘 역사가 말하다』, 『140자로 시대를 쓰다』, 『우리 역사는 깊다』, 『내 안의 역사』, 『망월폐견』, 『민족의 영웅 안중근』 등의 저서를 냈다.

오유석(지은이)

성공회대학교 민주주의연구소 부소장 겸 전임연구교수이다. 여성정치세력민주연대 대표를 맡았으며 여성의 정치 확대를 위한 연구와 참여활동을 하고 있다. <근대화 전략과 새마을운동>(2001, 공저), <정치의 한복판, 여성젠더정치의 그늘>(2013, 공저) 등의 책과, 「가난과 전쟁이 만든 새마을지도자」(2011) 등의 논문을 썼다.

진양교(지은이)

도시계획학 학자이자 실무자로서 활동하고 있다. 서울시립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저서로 『기억과 상징으로의 여행: 43 도시 재생공원』 『청량리: 공간과 일상』(공저) 등이 있다.

강우원(지은이)

현재 세종사이버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1995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도심부 제조업 논문으로 행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후 미국 Colorado University와 서울연구원에서 Visiting Scholar로 연수한 바 있다. 서울특별시 도시계획상임기획단장을 역임하는 한편, 서울시 거여·마천 뉴타운, 성수전략정비계획, 서남생활권계획 등의 총괄계획가(Master Planner)를 수행하며 공직과 연구에 진력했다. 최근 도시재생에 관심을 가지면서 사람의 삶과 일자리(산업), 예술과 문화, 그리고 도시에 대한 학제적 접근(Interdisciplinary Approach)을 시도해 왔다. 주요 저서로는 『이사 오고 싶은 도시 이야기(한국능률협회)』, 『부동산법 기초(부연사)』, 『동경의 도시계획(서울연구원, 역서)』, 『청계천, 청계고가를 기억하며(도서출판 마타, 공저)』가 있다. ∎개인블로그 http://blog.daum.net/woowon

김기호(지은이)

1952년 경기도 양평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했으며, 독일 아헨 공대 건축대학에서 기존 주거단지 주거환경 개선에 대한 연구로 공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공간(空間)과 독일 HP&P, 아헨 시청에서 다년간 건축 및 도시설계 실무를 담당한 후 지금은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에서 도시설계, 도시경관, 도시역사환경 보존을 주제로 강의 및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도시계획과 건축, 그리고 역사보존이 잘 결합해 고유한 도시경관을 이룬 유럽의 도시설계에서 큰 영향을 받아 1990년대 이후로는 서울의 근대도시가 형성된 역사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으며, 기고, 논문 등을 통해 도시계획과 건축관리에서 서울의 역사적인 경관이 존중되도록 촉구하고 있다. 서울시의 다양한 도시계획과 도시설계 과제에도 참여했으며, 최근에는 서울도시기본계획(서울플랜 2030)과 역사도심관리 기본계획 수립을 주도한 바 있다.

송인호(지은이)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서울학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한옥에 살어리랏다』 『숙천제아도』(이상 공저)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책을 펴내며 | 청계천, 시간ㆍ장소ㆍ사람 
전우용 | 역사 속의 청계천과 그 이미지 
김기호 | 청계천: 세종로부터 삼일로까지 
송도영 | 청계천 공구상가의 형성과변화 
강우원 | 세운상가의 40년 존재담론 
오유석 | 청계천과 동대문 시장의 사회사 
진양교 | 청계천의 황학동 
송인호 | 청계천로의 도시조직 

주註 
참고문헌 
찾아보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한국학호남진흥원 (2022)
홍봉한 (2022)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HK+ 사업단 지역인문학센터 (2022)
김민수 (2022)
서종원 (2022)
최보영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