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제국대학 : 근대 일본의 엘리트 육성 장치 (1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天野郁夫, 1936- 박광현 朴光賢, 역 정종현 鄭鍾賢, 역
서명 / 저자사항
제국대학 : 근대 일본의 엘리트 육성 장치 / 아마노 이쿠오 지음 ; 박광현, 정종현 옮김
발행사항
서울 :   산처럼,   2017  
형태사항
311 p. : 연표 ; 22 cm
원표제
帝国大学 : 近代日本のエリート育成装置
ISBN
9788990062819
서지주기
참고문헌(p. 294-298)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21492
005 20171127165851
007 ta
008 171124s2017 ulkj b 001c kor
020 ▼a 9788990062819 ▼g 93910
035 ▼a (KERIS)BIB000014644626
040 ▼a 223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jpn
082 0 4 ▼a 378.52 ▼2 23
085 ▼a 378.52 ▼2 DDCK
090 ▼a 378.52 ▼b 2017
100 1 ▼a 天野郁夫, ▼d 1936- ▼0 AUTH(211009)73490
245 1 0 ▼a 제국대학 : ▼b 근대 일본의 엘리트 육성 장치 / ▼d 아마노 이쿠오 지음 ; ▼e 박광현, ▼e 정종현 옮김
246 1 9 ▼a 帝国大学 : ▼b 近代日本のエリート育成装置
246 3 ▼a Teikoku daigaku : ▼b kindai nihon no erīto ikusei sōchi
260 ▼a 서울 : ▼b 산처럼, ▼c 2017
300 ▼a 311 p. : ▼b 연표 ; ▼c 22 cm
504 ▼a 참고문헌(p. 294-298)과 색인수록
536 ▼a 이 저서는 2007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07-361-AM0013)
700 1 ▼a 박광현 ▼g 朴光賢, ▼e▼0 AUTH(211009)76325
700 1 ▼a 정종현 ▼g 鄭鍾賢, ▼e▼0 AUTH(211009)60710
900 1 0 ▼a Amano, Ikuo, ▼e
900 1 0 ▼a 아마노 이쿠오,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8.52 2017 등록번호 11178198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메이지유신 이후 서구의 기술을 배우기 위해 1886년의 '제국대학령'에 따라 설립되기 시작한 제국대학이 제2차 세계대전에 패한 이후 대학 이름에서 '제국'을 빼고 '국립종합대학'으로 새롭게 태어나기까지 70년의 역사를 다룬다. 1886년 도쿄제국대학을 시작으로 교토.도호쿠.규슈.홋카이도.오사카.나고야 등 순으로 7개의 제국대학이 되었다. 그리고 식민지 조선과 대만에 경성제국대학, 타이베이제국대학을 세워 모두 9개의 제국대학이 있었다.

지금도 커다란 존재감에 강한 유대감을 보이며 건재한 7개의 구(舊) 제국대학. 제국대학은 근대 일본 대학제도의 중심이었으며, 국가를 이끌어가는 엘리트 육성의 핵심 장치였다. 일본에서 지금도 지속되고 있는 대학 조직과 문화의 '원형'은 제국대학에 의해 모양을 갖추었다. 제국대학은 우수한 연구 성과를 내고 많은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으며, 국제적인 학술과 대학 세계의 중요한 일원으로서 이름을 알렸다.

이 책에서는 제국대학이 세워지는 각 지역의 사정에 따라 학교가 만들어지고 확충되는 양상이나, 제국대학생의 학생 생활 및 취업 현황, 교수들의 연구와 조직 체제, 예과교육의 실정, 태평양전쟁 때 보여준 변용 등을 각종 표와 더불어 풍부한 데이터를 토대로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

130년 전 도쿄에 처음 세워진 제국대학,
이후 일본 본토에 7 제국대학이 만들어졌다.
제2차 세계대전 패전 후에 ‘제국’이라는 말은 사라졌지만
구제대(舊帝大)라 불리며 강한 유대를 보이고,
지금도 건재한 제국대학 70년의 역사를 살펴본다

이 책은 메이지유신 이후 서구의 기술을 배우기 위해 1886년의 ‘제국대학령’에 따라 설립되기 시작한 제국대학이 제2차 세계대전에 패한 이후 대학 이름에서 ‘제국’을 빼고 ‘국립종합대학’으로 새롭게 태어나기까지 70년의 역사를 다룬다. 1886년 도쿄제국대학을 시작으로 교토(京都).도호쿠(東北).규슈(九州).홋카이도(北海道).오사카(大阪).나고야(名古屋) 등 순으로 7개의 제국대학이 되었다. 그리고 식민지 조선과 대만에 경성제국대학, 타이베이(臺北)제국대학을 세워 모두 9개의 제국대학이 있었다.
지금도 커다란 존재감에 강한 유대감을 보이며 건재한 7개의 구(舊) 제국대학. 제국대학은 근대 일본 대학제도의 중심이었으며, 국가를 이끌어가는 엘리트 육성의 핵심 장치였다. 일본에서 지금도 지속되고 있는 대학 조직과 문화의 ‘원형’은 제국대학에 의해 모양을 갖추었다. 제국대학은 우수한 연구 성과를 내고 많은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으며, 국제적인 학술과 대학 세계의 중요한 일원으로서 이름을 알렸다.
이 책에서는 제국대학이 세워지는 각 지역의 사정에 따라 학교가 만들어지고 확충되는 양상이나, 제국대학생의 학생 생활 및 취업 현황, 교수들의 연구와 조직 체제, 예과교육의 실정, 태평양전쟁 때 보여준 변용 등을 각종 표와 더불어 풍부한 데이터를 토대로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
130년 전에 시작한 제국대학의 서사는 지금, 재차 새로운 전개를 보이고 있다. 제국대학의 70년 역사와 그 면면을 살펴본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아마노 이쿠오(지은이)

1936년 가나가와(神奈川)현에서 태어났으며, 히토쓰바시대학 경제학부.도쿄대학 교육학부를 졸업한 후 도쿄대학 대학원 교육학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공은 교육사회학, 고등교육론이다. 나고야(名古屋)대학 조교수, 도쿄대학 교육학부 교수, 도쿄대학 교육학부 학부장, 국립대학재무.경영센터 연구부장을 지냈다. 2017년 현재 도쿄대학 명예교수다. 저서로는 <일본의 고등교육시스템>, <학력의 사회사>, <교육과 선발의 사회사>, <시험의 사회사>, <대학의 탄생>(상.하), <고등교육의 시대>(상.하), <신제 대학의 탄생>(상.하) 등이 있다.

박광현(옮긴이)

동국대학교 교수. 경성제국대학과 재조일본인에 관한 연구를 진행해오다, 일본의 ‘패전’ 이후에 관심을 가지고 재일조선인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역저서로는 『「현해탄」 트라우마』(저서), 『제국대학: 근대 일본의 엘리트 육성 장치』(역서), 『재일조선인 자기서사의 문화지리 1?2』(공저) 등이 있다.

정종현(옮긴이)

인하대학교 한국어문학과 부교수. 대표 논저로는 『제국대학의 조센징』(휴머니스트, 2019), 『대한민국 독서사』(공저, 서해문집, 2018), 「노동자의 책읽기」(대동문화연구원, 2014), 「투쟁하는 청춘, 번역된 저항」(인하대 한국문학연구소, 2015)가 있다. 주요 관심사는 독서문화사, 냉전 문화 연구, 지성사, 비교문학 등이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프롤로그: 왜 제국대학인가 

제1부 탄생과 발전 
제1장 동서 양경(兩京)의 대학: 도쿄ㆍ교토 
제2장 일본열도의 남북으로: 도호쿠ㆍ규슈ㆍ홋카이도 
제3장 확충과 증설: 오사카ㆍ나고야 

제2부 고등학교 생활 
제1장 예과와 교양교육 사이 
제2장 자유와 인간 형성 
제3장 입시부터 진학까지 

제3부 학생에서 학사(學士)로 
제1장 엘리트들의 학생 생활 
제2장 다이쇼 데모크라시 속에서 
제3장 관(官)에서 민(民)으로: 직업의 세계 

제4부 교수의 세계 
제1장 교수가 되는 길 
제2장 강좌제와 대학자치 
제3장 학계의 지배자들 

제5부 종언과 환생 
제1장 대학 재정의 문제 
제2장 전시체제 아래에서 
제3장 국립종합대학으로 

에필로그: 연구대학이 되는 길 

후 기 
옮긴이의 말 
미 주 
인용ㆍ참고문헌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

연세대학교. 학생운동사 편찬위원회 (2022)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2023)
Rudestam, Kjell Erik (2022)
총신대학교. 100년사 개정위원회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