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21063 | |
005 | 20171206182424 | |
007 | ta | |
008 | 171116s2017 ulkad b 000c kor | |
020 | ▼a 9788925562452 ▼g 03300 | |
035 | ▼a (KERIS)BIB000014628080 | |
040 | ▼a 211044 ▼c 211044 ▼d 241050 ▼d 211009 | |
082 | 0 4 | ▼a 338.4791 ▼2 23 |
085 | ▼a 338.4791 ▼2 DDCK | |
090 | ▼a 338.4791 ▼b 2017z2 | |
100 | 1 | ▼a 김금향 ▼0 AUTH(211009)131692 |
245 | 1 0 | ▼a 일본의 컨벤션 도시를 가다 : ▼b 국제MICE도시, 국제회의, 전시회 / ▼d 김금향 지음 |
260 | ▼a 서울 : ▼b 알에이치코리아, ▼c 2017 | |
300 | ▼a 351 p. : ▼b 삽화, 도표 ; ▼c 22 cm | |
440 | 1 0 | ▼a (건국대학교 아시아콘텐츠연구소) 동아시아 모더니티 ; ▼v 03 |
504 | ▼a 참고문헌: p. 341-351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8.4791 2017z2 | 등록번호 11178164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38.4791 2017z2 | 등록번호 15134270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8.4791 2017z2 | 등록번호 11178164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38.4791 2017z2 | 등록번호 15134270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일본의 컨벤션 산업의 역사적 변천을 짚어가면서, 오늘날까지 해결되지 못한 컨벤션 산업과 정책의 과제들을 명확히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본 컨벤션 산업이 왜 확대되지 못했는지, 일본 컨벤션 산업의 성장 과정과 각 지역에서의 역할,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가 무엇이고 정책적으로 어떻게 진행될 것인지 등 일본 컨벤션의 미래까지 심도 있게 살펴본다. 이 책의 출간 의의는 4가지로 꼽을 수 있다.
일본 컨벤션 산업을 총괄적으로 연구한 첫 논문이라는 점이다. 즉, 일본 컨벤션 산업의 정책, 조직, 시설, 뷰로 및 PCO 등 관련 기관 전체에 관한 연구를 실시한 연구라 할 수 있다. 이 연구에 있어서 문헌조사뿐 아니라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반영하였다는 점이다. 실태조사란 연구대상이 되는 각 지역의 컨벤션 시설과 뷰로, PCO를 대상으로 인터뷰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반영하였다.
컨벤션 연구에 있어서 문헌과 자료의 소재 등을 분명히 했다는 점이다. 컨벤션 자료는 각 지역에 분산되어 있으며, 보존도 불분명하므로 문헌과 자료 찾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어떤 지역의 기관이 어떤 자료를 보관하고 있는지 명확히 하였다. 일본 컨벤션 산업의 변천을 명확히 했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컨벤션의 시작을 1965년 일본컨벤션 뷰로의 설립으로 보고 있으나, 「컨벤션」이라는 어휘가 도입되기 이전까지 거슬러 올라가 그 연원을 찾아 컨벤션의 역사를 서술하였다.
건국대학교 아시아콘텐츠연구소 동아시아 모더니티 03
일본의 컨벤션 도시를 살펴본 학술도서
국제MICE도시, 국제회의, 전시회를 중심으로 연구하다
컨벤션 산업은 국제교류와 문화교류의 매개로서 주목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에 커다란 경제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아시아 국가들은 국가전략으로서 컨벤션 유치와 개최지로서의 프로모션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컨벤션 개최에는 도시의 인프라 정비 등의 공공투자, 여행, 숙박, 교통, 케이터링, 기념품 등의 관광산업을 비롯하여 회의기획회사(PCO: Professional Congress Organizer), 인재파견, 경비, 음향.조명, 인쇄제작 등의 서비스 산업과 컨벤션 시설, 컨벤션 뷰로와 같은 공공 서비스 제공 조직 등 다수의 관련 산업이 관여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컨벤션 개최도시는 지역경제의 활성화와 고용증대, 국제도시로서의 인지도 향상 등 경제적.사회적.문화적 효과가 기대된다.
이 책에서는 일본의 컨벤션 산업의 역사적 변천을 짚어가면서, 오늘날까지 해결되지 못한 컨벤션 산업과 정책의 과제들을 명확히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본 컨벤션 산업이 왜 확대되지 못했는지, 일본 컨벤션 산업의 성장 과정과 각 지역에서의 역할,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가 무엇이고 정책적으로 어떻게 진행될 것인지 등 일본 컨벤션의 미래까지 심도 있게 살펴본다. 이 책의 출간 의의는 4가지로 꼽을 수 있다.
첫째, 일본 컨벤션 산업을 총괄적으로 연구한 첫 논문이라는 점이다. 즉, 일본 컨벤션 산업의 정책, 조직, 시설, 뷰로 및 PCO 등 관련 기관 전체에 관한 연구를 실시한 연구라 할 수 있다.
둘째, 이 연구에 있어서 문헌조사뿐 아니라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반영하였다는 점이다. 실태조사란 연구대상이 되는 각 지역의 컨벤션 시설과 뷰로, PCO를 대상으로 인터뷰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반영하였다.
셋째, 컨벤션 연구에 있어서 문헌과 자료의 소재 등을 분명히 했다는 점이다. 컨벤션 자료는 각 지역에 분산되어 있으며, 보존도 불분명하므로 문헌과 자료 찾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어떤 지역의 기관이 어떤 자료를 보관하고 있는지 명확히 하였다.
넷째, 일본 컨벤션 산업의 변천을 명확히 했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컨벤션의 시작을 1965년 일본컨벤션 뷰로의 설립으로 보고 있으나, 「컨벤션」이라는 어휘가 도입되기 이전까지 거슬러 올라가 그 연원을 찾아 컨벤션의 역사를 서술하였다.
《일본의 컨벤션 도시를 가다》 본문 구성
제1부 <컨벤션 산업이란>에서는 컨벤션 산업에 관한 일반적인 논의, 즉 컨벤션의 정의와 구성 요소, 특징, 파급효과 등에 관하여 개관하였다. 또한 최근의 세계 및 일본의 컨벤션 개최의 동향에 관하여 고찰을 하였다.
제2부 <컨벤션의 변천>에서는 초기의 컨벤션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는 「시장(市)」과 견본시의 관계, 국제회의의 기원에 대하여 고찰을 하면서 어떻게 컨벤션이 정착하게 되었는지 검토를 하였다.
제3부 <컨벤션 정책과 시행>에서는 컨벤션 정책의 수립에 있어서 배경과 시행의 평가에 초점을 맞춰 고찰을 함과 동시에 향후 기대가 되는 정책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제4부 <일본의 컨벤션 시설>에서는 일본 컨벤션 시설의 역사를 고찰하면서 각 시설의 관리 운영의 상황, 영업활동과 전략에 대하여 검증을 실시하여 컨벤션 시설의 과제에 대하여 논하였다.
제5부<컨벤션뷰로의 동향, 그리고 PCO 및 관련 조직>에서는 컨벤션 사업과 관련된 조직의 역할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즉, 중앙기관인 국토교통성, 외무성, 문부과학성, JNTO를 비롯하여, 컨벤션의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각 도시의 뷰로, 민간 PCO 사 등이다. 특히, 뷰로의 설립 역사를 파악하면서 각 도시의 뷰로를 대상으로 실시한 인터뷰조사에 근거하여 현황 및 과제를 명백히 하였다.
제6부 <일본 컨벤션 도시의 현황>에서는 컨벤션 도시 중에서 정령지정도시와 중핵도시 및 기타 도시의 컨벤션 사업을 사례로 들어 각각의 도시의 컨벤션 사업의 추진 동향을 고찰하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금향(지은이)
오사카부립대학 관광전략연구소 연구원 및 건국대학교 아시아콘텐츠연구소 연구원으로 활동중이다. 한국외국어대학 인문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오사카시립대학 아시아도시문화학과에서 일본 컨벤션산업을 주제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수여받았다. 강의로는 컨벤션기획을 비롯하여 축제이벤트기획, 관광문화콘텐츠, 레저산업 등에 관해 국내 대학에서 강의를 하였으며, 일본의 관공서 및 연구기관과 함께 한국의 창조문화도시에 관한 연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최근의 관심 분야는 한일 문화탐방로, 콘텐츠 투어리즘, 지역문화 등으로 문화와 관광의 융합에 관심이 많다.

목차
제1부 컨벤션 산업이란 1장 컨벤션의 개괄 2장 세계 컨벤션 산업의 동향 3장 일본 컨벤션 산업의 동향 4장 소결 제2부 컨벤션의 변천 1장 구미의 컨벤션 연혁 2장 일본 컨벤션의 탄생 3장 전후 일본 컨벤션의 변천 4장 소결 3부 컨벤션 정책과 시행 1장 국제관광정책의 추이 2장 컨벤션 정책의 추이 3장 소결 4부 일본의 컨벤션 시설 1장 일본 컨벤션 시설의 역사 2장 일본 컨벤션 시설의 개관 3장 일본 지역의 컨벤션 시설의 현황 4장 소결 5부 컨벤션뷰로의 동향, 그리고 PCO 및 관련 조직 1장 일본 컨벤션뷰로의 연혁 2장 컨벤션뷰로의 개요 3장 일본 지역의 컨벤션뷰로의 동향 4장 일본의 PCO(Professional Congress Organizer) 5장 기타 컨벤션 관련 조직 6장 소결 6부 일본 컨벤션 도시의 현황 1장 정령지정도시(政令指定都市)의 컨벤션 사업 전개 2장 중핵도시의 컨벤션 사업의 추이 3장 소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