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20533 | |
005 | 20171115172400 | |
007 | ta | |
008 | 171113s2016 ggkd b 001c kor | |
020 | ▼a 9788930317184 ▼g 93700 | |
035 | ▼a (KERIS)BIB000014088876 | |
040 | ▼a 211015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410 ▼2 23 |
085 | ▼a 410 ▼2 DDCK | |
090 | ▼a 410 ▼b 1997g1 ▼c 2 | |
100 | 1 | ▼a 주신자 ▼g 朱新子 ▼0 AUTH(211009)103287 |
245 | 1 0 | ▼a 한국 설화의 담화분석 / ▼d 주신자 지음 |
260 | ▼a 파주 : ▼b 집문당, ▼c 2016 | |
300 | ▼a xiii, 305 p. : ▼b 도표 ; ▼c 23 cm | |
440 | 0 0 | ▼a 텍스트 언어학 총서 ; ▼v 2 |
500 | ▼a 부록: 1. 효녀 심청, 2. 미녀와 스님, 3. 은혜 갚은 까치 외 | |
504 | ▼a 참고문헌(p. 277-294)과 색인수록 | |
900 | 1 0 | ▼a Joo, Shin-ja,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10 1997g1 2 | Accession No. 511033179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8-01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10 1997g1 2 | Accession No. 51103318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410 1997g1 2 | Accession No. 15133762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10 1997g1 2 | Accession No. 511033179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8-01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10 1997g1 2 | Accession No. 51103318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410 1997g1 2 | Accession No. 15133762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텍스트 언어학 총서 2권. 이 책은 담화 분석의 접근법 가운데 전체론적 담화 분석(“Holistic Discourse Analysis”, Longacre와 Hwang 2012)의 이론적 틀에 기반을 두고 한국 설화(narrative)에 대한 언어적 분석을 제시한다. 텍스트 전체 분석과 함께 동사구, 명사구, 절, 문장 등의 문법 자질과의 인터페이스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 책에서는 동사의 자질과 함께, 격 프레임(case frame)에 따른 동사의 유형과 문장 내 절의 배합구조에 중점을 두면서 정보의 중요성을 다룬다. 명사구의 형태를 통해서는 참여자 지시, 곧 등장인물 언급을 연구한다. 또한 왜 어떤 참여자는 명시적으로 지시되었는데 다른 참여자는 생략되었는가를 논의한다. 지시에 사용된 명사구의 형태뿐 아니라 주격조사와 주제조사의 대조되는 기능도 담화적 접근으로 연구한다.
이 책은 담화 분석의 접근법 가운데 전체론적 담화 분석(“Holistic Discourse Analysis”, Longacre와 Hwang 2012)의 이론적 틀에 기반을 두고 한국 설화(narrative)에 대한 언어적 분석을 제시한다. 텍스트 전체 분석과 함께 동사구, 명사구, 절, 문장 등의 문법 자질과의 인터페이스에 중점을 두고 있다.
첫 부분에서는 담화 연구의 기초로 철학과 언어학의 주제를 연결한다. 철학자들은 단순히 한 부분이 어떻게 다른 부분들과 연관되는지보다, 전체가 어떻게 부분들과 연관되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그들의 생각이 담화 문법에도 좋은 통찰력을 제공해서 전체로서의 담화는 그것을 구성하는 문장과 절의 관점만으로는 설명될 수 없고 문장의 특질은 전체에서의 역할을 고려해야 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 책은 전체 이야기의 관점에서 시작하여 부분들이 전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 부분들 간에 어떻게 상호 관련되는지를 검토한다.
설화 자료로는 여섯 개의 민담과 두 개의 단편을 사용한다. 전체구조 분석을 위해 피크와 프로필의 개념을 써서 각 이야기의 표면 층위와 플롯(개념) 층위의 통합적 구조를 다룬다. 어떤 문장과 단락이 무대배경과 에피소드(피크 등)의 표층 위치를 채우고 있으며, 어떻게 이들의 위치가 플롯 구조에서 설명부, 발단부, 절정부 등으로 기능하는지를 보여준다. 특정한 언어 자질이 특히 피크 에피소드에 나타나므로 피크에 기반을 두고 이야기의 프로필을 그린다.
다음으로 동사와 명사가 담화에서 어떻게 기능하는가를 분석한다. 시제, 시상, 서법, 양태, 그리고 태(voice)와 타동성 같은 동사의 자질은 텍스트의 근간이 되는 중요한 전경 정보에서부터 덜 중요한 배경 정보에 이르기까지 정보의 상대적 중요성에 기여한다. 이 책에서는 동사의 자질과 함께, 격 프레임(case frame)에 따른 동사의 유형과 문장 내 절의 배합구조에 중점을 두면서 정보의 중요성을 다룬다. 명사구의 형태를 통해서는 참여자 지시, 곧 등장인물 언급을 연구한다. 또한 왜 어떤 참여자는 명시적으로 지시되었는데 다른 참여자는 생략되었는가를 논의한다. 지시에 사용된 명사구의 형태뿐 아니라 주격조사와 주제조사의 대조되는 기능도 담화적 접근으로 연구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머리말 제1장 들어가기 1.1. 연구의 틀과 범위 1.2. 한국어의 언어학적, 문법적 연구 1.3. 이 책의 구성 1.4. 한국어의 통사적 특징 제2장 담화 문법에 대한 철학적, 언어학적 고려 2.1. 들어가기 2.2. 전체와 부분에 대한 철학자들의 사고 2.2.1. Polanyi: 부분들로는 전체를 명확하게 기술할 수 없다 2.2.2. Cassirer: 해석학적 분석의 우선성 2.2.3. Gardamer: 언어의 특질 2.2.4. Hirsch: 담화의 영역(universe of discourse) 2.3. 언어에서 전체로서의 담화 구조 2.3.1. 음운론적 증거 2.3.2. 의미론적 증거 2.3.3. 통사적 또는 문법적 증거 2.3.4. 화용적 증거 2.3.5. 그 외 고려사항 2.4. 끝맺는 말 제3장 한국 설화에 대한 총체적인 분석: 피크와 프로필 3.1. 들어가기 3.1.1. 통합적인 구조 3.1.2. 설화의 부분 부분들에서 몇 가지 주목할 만한 특징 3.1.3. 통합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프로필(profile) 3.1.4. 문단 분석 3.2. 한국 설화의 통합적인 구조 3.2.1. 선택된 설화들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 3.2.2. 「효녀 심청」의 구조 3.2.3. 「미녀와 스님」의 구조 3.2.4. 「은혜 갚은 까치」의 구조 3.2.5. 「은혜 모르는 호랑이」의 구조 3.2.6.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구조 3.2.7. 「모자장수」의 구조 3.2.8. 「물매미」의 구조 3.2.9. 「이런 음악회」의 구조 3.3. 끝맺는 말 3.3.1. 이야기들 사이의 구조적인 차이점 3.3.2. 피크 부분을 나타내는 특징들 3.3.3. 프로필의 비교 제4장 정보의 상대적 중요성 4.1. 들어가기 4.2. 한국어 동사의 표층자질과 개념/심층자질의 기능 4.2.1. 시제 4.2.2. 시상 4.2.3. 서법/양태 4.2.4. 태 타동성 4.2.5. 격 프레임(case frame)에 따른 동사 유형 4.2.6. 문장 내의 절 배합 구조 4.3. 정보의 상대적 중요성 4.3.1. 정보의 상대적 중요성을 연속체로 나타내기 4.3.2. 정보의 상대적 중요성을 여러 순위로 나타내기 4.3.3. 설화의 간략한 분석: 「미녀와 스님」 4.4. 끝맺는 말 제5장 참여자 지시 5.1. 들어가기 5.2. 명사구에 의한 명백한 언급 5.2.1. 처음 등장 소개 5.2.2. 문단의 주제 등장인물 5.2.3. 역할 변화 5.2.4. 비사건 후 사건의 재개 5.2.5. 문단 경계 5.2.6. 시간 표현 5.2.7. 인용 형식 5.3. 등장인물 언급에서 명사구의 형태 5.4. 등장인물 언급에서 조사의 선택 5.4.1. 보완 정보를 위한 주격조사 ‘가’의 사용 5.4.2. 주로 주 정보를 위한 주제조사 ‘는’의 사용 5.4.3. 주격조사와 주제조사의 비교 5.5. 끝맺는 말 끝맺는 말 부록 1. 효녀 심청 2. 미녀와 스님 3. 은혜 갚은 까치 4. 은혜 모르는 호랑이 5. 해와 달이 된 오누이 6. 모자장수 7. 물매미(계용묵 1950) 8. 이런 음악회(김유정 1936) 참고문헌 찾아보기(한-영) 찾아보기(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