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20515 | |
005 | 20171115142303 | |
007 | ta | |
008 | 171113s2016 ulka b AC 001c kor | |
020 | ▼a 9788971551639 ▼g 94810 | |
020 | 1 | ▼a 9788971550732(세트) |
035 | ▼a (KERIS)BIB000014196910 | |
040 | ▼a 241018 ▼c 241018 ▼d 211009 | |
082 | 0 4 | ▼a 070.509519 ▼2 23 |
085 | ▼a 070.50953 ▼2 DDCK | |
090 | ▼a 070.50953 ▼b 2016z1 | |
100 | 1 | ▼a 권두연 ▼g 權杜姸 ▼0 AUTH(211009)103321 |
245 | 1 0 | ▼a 신문관의 출판 기획과 문화운동 / ▼d 권두연 지음 |
260 | ▼a 서울 : ▼b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院, ▼c 2016 | |
300 | ▼a 620 p. : ▼b 삽화 ; ▼c 23 cm | |
440 | 0 0 | ▼a 民族文化硏究叢書 ; ▼v 139 |
500 | ▼a 부록수록 | |
504 | ▼a 참고문헌(p. [583]-604)과 색인수록 | |
536 | ▼a 이 책은 2007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간행되었음 ▼g (NRF-2007-361-AL0013) | |
610 | 4 | ▼a 신문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70.50953 2016z1 | 등록번호 51103313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70.50953 2016z1 | 등록번호 51103313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070.50953 2016z1 | 등록번호 15133769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70.50953 2016z1 | 등록번호 51103313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70.50953 2016z1 | 등록번호 51103313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070.50953 2016z1 | 등록번호 15133769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민족문화연구총서 139권. 신문화 운동의 중심에 있었다고 평가되었음에도 독립된 연구대상으로 다루어지지 않은 신문관의 출판활동을 구조적, 관계적 측면에서 고찰함으로써 근대 초기 출판 기구를 중심으로 형성된 문화 기획 및 운동의 양상을 규명하는 자 한다.
이 책에 의하면, 다양한 인물과 단체를 규합하면서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전방위로 전개된 신문관의 출판활동은 근대 초기 학술.문화.언어 및 이를 추동한 담론 및 운동의 장을 고찰하는 데 유용하다.
이 책은 신문화 운동의 중심에 있었다고 평가되었음에도 독립된 연구대상으로 다루어지지 않은 신문관의 출판활동을 구조적, 관계적 측면에서 고찰함으로써 근대 초기 출판 기구를 중심으로 형성된 문화 기획 및 운동의 양상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책에 의하면, 다양한 인물과 단체를 규합하면서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전방위로 전개된 신문관의 출판활동은 근대 초기 학술·문화·언어 및 이를 추동한 담론 및 운동의 장을 고찰하는 데 유용하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권두연(지은이)
안동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연세대학교 국문과 BK21사업단 신진 연구원 및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박사 후 연구원을 지냈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명지대학교, 연세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에 출강했고 현재는 한세대학교에 재직하고 있다. 논문으로 「신문관 단행본 번역소설 연구」(2008), 「보성관의 출판활동연구」(2011), 「청년학우회의 활동과 참여 인물」(2012) 외 다수와 저서로 『최남선 다시 읽기』(공저), 『국제신문 미공개 논설 자료집』(편역, 공저) 등을 쓰고 펴냈다.

목차
제1부 서론 제1장 신문관이라는 문화 복합 기구 제2장 신문관에 관한 세 갈래 선행 연구 제3장 출판사와 사회·문화적 네트워크 제2부 출판 구조와 출판물의 기획 제1장 분업화된 운영 시스템 제2장 출판물의 구성과 기획 보론 : 출판 이념과 검열 제3부 결사의 장과 운동의 구심점 제1장 청년운동과 청년학우회 제2장 자국학운동과 조선광문회 제3장 어문운동과 조선어강습원 제4부 조선의 학술·문화 및 어문에 대한 새로운 모색 제1장 학술·문화서의 출판과 ‘실학적 인문주의’ 제2장 청년 양성의 실천적 방안 제3장 문체 실험과 ‘시문체’의 발명 제5부 필자-독자 네트워크와 문예 주체의 양성 제1장 ‘회중노사’와 ‘청년제류’의 절합 가능성 제2장 독자상의 분화와 독자층의 구축 제3장 문예의 훈련과 문예 주체의 양성 제6부 결론 신문관과 ‘그들’의 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