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19846 | |
005 | 20171103141738 | |
007 | ta | |
008 | 171103s2017 ggkd b 000c kor | |
020 | ▼a 9788946070196 ▼g 93320 | |
035 | ▼a (KERIS)BIB000014564879 | |
040 | ▼a 221016 ▼c 221016 ▼d 211009 | |
082 | 0 4 | ▼a 331.12 ▼2 23 |
085 | ▼a 331.12 ▼2 DDCK | |
090 | ▼a 331.12 ▼b 2017z3 | |
245 | 0 0 | ▼a 노동 현실과 희망 찾기 = ▼x Labour reality and hope finding / ▼d 이시균 [외]지음 ; ▼e 서울사회경제연구소 엮음 |
260 | ▼a 파주 : ▼b 한울아카데미, ▼c 2017 | |
300 | ▼a 372 p. : ▼b 도표 ; ▼c 23 cm | |
440 | 0 0 | ▼a 서經硏연구총서 ; ▼v 35 |
440 | 0 0 | ▼a 한울아카데미 ; ▼v 2019 |
500 | ▼a 지은이: 이시균, 김정우, 강신욱, 김혜원, 조성재, 박태주, 이정희, 김유선, 권혜자, 지민웅, 황덕순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700 | 1 | ▼a 이시균, ▼e 저 ▼0 AUTH(211009)110709 |
700 | 1 | ▼a 김정우, ▼e 저 ▼0 AUTH(211009)43384 |
700 | 1 | ▼a 강신욱, ▼e 저 ▼0 AUTH(211009)75469 |
700 | 1 | ▼a 김혜원, ▼e 저 ▼0 AUTH(211009)75913 |
700 | 1 | ▼a 조성재, ▼e 저 ▼0 AUTH(211009)99110 |
700 | 1 | ▼a 박태주, ▼e 저 ▼0 AUTH(211009)14447 |
700 | 1 | ▼a 이정희, ▼e 저 ▼0 AUTH(211009)131272 |
700 | 1 | ▼a 김유선, ▼e 저 ▼0 AUTH(211009)98648 |
700 | 1 | ▼a 권혜자, ▼e 저 ▼0 AUTH(211009)121013 |
700 | 1 | ▼a 지민웅, ▼e 저 ▼0 AUTH(211009)83057 |
700 | 1 | ▼a 황덕순, ▼e 저 ▼0 AUTH(211009)130058 |
710 | ▼a 서울사회경제연구소, ▼e 편 | |
945 | ▼a KLPA | |
949 | ▼a 서울사회경제연구소 연구총서 ; ▼v 35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1.12 2017z3 | Accession No. 11178119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한국의 노동 현실에서 희망 찾기는 가능한가?
새 정부가 출범한 지 3개월이 지났다. 문재인 정부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 국정 과제로 선언했다. 이와 더불어 2018년 최저임금 인상, 학교급식노동자 파업, 청년 실업 역대 최대치 경신 등 노동 관련 뉴스가 연일 화제가 되고 있다. 지금, 한국의 노동은 도마 위에 올랐다.
이 책은 외환위기 이후 고용 불안이 전 사회적으로 확산되고, 일을 하면서도 빈곤에 빠지는 근로빈곤이 만연한 지금의 한국 사회를 다각도로 분석한다. 특히 노동시장의 악화와 이에 각 사회 주체들이 어떻게 대응해왔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노동시장과 노사관계의 구체적인 실태 분석에서 산적한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과 제도 성과 분석까지를 담았다. 비정규직 고용이 전체 고용 시장에 어떤 영향을 가져오는지, 최저임금 상승과 근로시간 단축은 사회적으로 어떤 효과를 불러일으키는지, 청년 실업과 저출산·저결혼은 어떤 상관관계에 있는지 등 지금 일자리 정책을 고민할 때 꼭 필요한 질문에 대한 답을 이 책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2017년 대한민국의 노동 현실
얼마 전 2018년 최저임금이 확정되었다. 7530원으로 올해 최저임금보다 16.4% 더 높다. 이에 대한 반응은 제각각이다. 정부가 영세자영업자들에게 최저임금추가인상분을 지원하는 방안을 발표했지만 영세자영업자들이 가장 큰 피해를 볼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그러나 최저임금 상승이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국민들도 많으며 정부의 목표보다 더 빨리 ‘최저임금 1만원’을 실현해야 한다는 이들도 있다. 최저임금 인상을 두고 이렇게 다양한 반응이 나오는 이유는 최저임금이 한국 사회에서 일하는 거의 모든 노동자들 임금의 최전선으로 기능하면서 저임금층 임금 인상에 일정하게 기여하기 때문이다. 즉, 법적으로 정해놓은 하한선이지만 그 경계에 맞춰 삶을 꾸려가는 이들이 상당수라는 의미다.
학교급식노동자들의 파업도 최저임금 인상의 연장선상에 놓여 있다. 급식노동자들은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학교 비정규직에 속한다. 이들은 파업을 통해 비정규직 철폐, 근속연수 인정, 최저임금 상승 등을 요구했다. 근속연수에 따라 임금이 상승되지 않는 무기계약직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당·승진에서 부당한 처우를 받고 있다. 이런 상황에 놓인 학교급식노동자들은 최저임금이 실질임금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청년 실업이 연일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다는 소식은 새로울 것도 없다. 안정적인 일자리를 구하려는 청년들은 많지만 공기업, 대기업의 일자리는 한정되어 있는 현실에 더해 공고한 군대식 조직 문화, 저임금 고강도 노동 등 자발적 실업자, 자발적 퇴사자를 양산하는 원인도 살펴봐야 청년 실업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다. 왜 수많은 정책적 뒷받침에도 청년들은 중소기업 입사를 꺼리는지, 그렇게 힘들게 들어간 대기업에서 결국 퇴사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져야 한다.
지금 대한민국의 노동 현실을 늘어놓자면 이 외에도 더 많은 사례를 제시할 수 있다. 이는 불안정한 근로 조건을 개선하고 상시적인 근로 빈곤을 해결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태와 현 제도의 성과를 분석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이 책은 노동시장, 노사관계와 관련해 11명의 전문가들이 심도 깊은 논의를 다룬 논문들로 구성되었다. 그 어느 때보다 성공적인 일자리 정책이 필요한 이때, 이 책을 통해 산적한 난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고용 불안과 근로 빈곤 해결을 위한 제언
2000년대에 들어서 한국에서는 고용 형태에 따른 근로 조건 격차가 큰 문제로 대두했다. 비정규직의 등장으로 고용 기간을 보장받지 못하면서 고용 불안이 더 커진 것이다. 또한 고용 형태에 따라 임금도 달라졌으며 근로 빈곤에 시달리는 사람도 증가했다. 이러한 상황 변화는 사회 주체의 대응을 촉발시킴과 동시에 제도적·정책적 해결을 요구했다. 대기업의 고용 창출의 사회적 책임이 논의되었고, 동시에 노동조합에 의한 대응 전략이 요구되었다. 제도적·정책적 측면에서는 비정규직의 사용 제한, 최저임금제도의 강화, 일자리 나누기를 통한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는 근로시간 단축제도의 실시, 근로빈곤 문제에 대응하는 사회보험과 공공부조 등의 지원제도 강화, 새로운 고용 대안으로서의 사회적경제 활성화 등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노동시장 성과의 악화와 이에 대응한 사회 주체 및 제도적·정책적 대응을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책은 주요 연구 대상을 분류해 제1부 고용 불안과 근로빈곤의 실상, 제2부 노사관계의 변화, 제3부 노동시장의 현실과 대응으로 나누어 수록했다.
‘1장 비정규직 고용 변동 분석’에서는 비정규직 활용이 전체 고용 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지, 아니면 긍정적 영향을 주는지 실증적으로 검토했다. 노동시장 유연화론자들은 비정규직 활용을 중심으로 한 유연한 고용전략이 기업의 경영 성과를 높일 수 있으므로 장기적으로 고용 규모를 키울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나 이에 대해 비판적인 논자들은 비정규직 활용이 기업 경영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이에 따라 전체 고용에도 부정적일 것이라고 비판한다.
‘2장 사내 하청 노동자들의 산업안전보건 격차’에서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산업안전보건 격차를 검토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 사내 하청 노동의 특성에 주목해 산업안전보건에서의 차이를 다룬 논문이 희소하고 최근에 발생한 사망 사고를 포함한 중대 재해가 사내 하청 노동자들에게 더 많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연구가 긴요하다.
저임금과 고용 불안의 문제가 확산되면서 근로능력이 있으면서도 빈곤한 계층인 근로빈곤층에 대한 관심이 증가해왔다. ‘3장 근로빈곤층 유형에 따른 소득지원제도 개편 효과’는 본인의 소득만으로 보면 빈곤하다고 보기 어렵지만 가구 단위의 생활 실태나 특성으로 인해 빈곤층으로 분류되는 집단의 특성을 분석한 글이다.
‘4장 근로빈곤과 지원 제도’는 공적이전소득 제도를 사회보험과 공공부조 그리고 기타 정부지원으로 구분할 때 각 지원제도가 빈곤 완화에 기여함에 있어서 효과성, 효율성 그리고 공평성의 측면에서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지를 분석했다.
‘5장 한국 자동차 산업 고용관계의 국제화’에서는 대기업의 해외 진출 및 고용관계의 국제화를 검토한다. 중국에 진출한 기아자동차와 부품 협력 업체 중 하나인 경신전자의 사업, 생산관리 및 고용관계 현황을 고찰함으로써 중국 노동시장 및 노사관계의 변화 양상에 대한 구체적 모습을 확인하고 한국계 기업의 고용관계 관리상 과제를 점검했다.
‘6장 산별노조의 전진은 멈추었는가’는 한국의 대표적인 산별노조인 보건의료노조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과연 노동조합이 연대임금과 공공성을 실현하는 데 역할을 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대답을 찾고 있다.
‘7장 최저임금과 단체교섭’은 한국의 최저임금제도를 노사관계의 맥락에서 검토한다. 노동시장 제도의 하나인 한국의 최저임금제도가 과연 얼마나 포괄적인지를 평가했다.
‘8장 저결혼·저출산과 청년 일자리’는 저출산 문제와 청년 고용의 문제의 상관성을 검토하고 있다. 남성은 고학력일수록, 고용이 안정적이고 임금이 높을수록 결혼 확률이 높지만 여성은 학력 수준이 낮을수록 높고 고용형태와 임금 수준에서의 차이가 뚜렷하지 않다.
‘9장 대기업집단 계열사의 고용 변화’는 대기업 집단의 독과점 구조가 고용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지정하는 대기업 집단 계열사 명부를 고용보험 DB와 연결하여 다각도로 고용 변동을 분석했다. 대기업 집단의 총 고용량은 증가했고 그중에서 1만 명 이상 대기업 집중이 강화되고 있다. 대기업 집단에서 청년 고용이 차지하는 비율은 점차 감소해왔으며 절대 수치에서도 2012년을 정점으로 이후 감소했다.
‘10장 주 40시간제의 효과와 근로시간 단축 정책의 함의’에서는 근로시간 단축을 통한 일자리 나누기의 가능성을 진단했다. 주 44시간에서 40시간으로의 법정 근로시간 단축 정책의 1년 단기 고용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했고 경기효과를 강력히 통제할 수 있는 2단계 이중차감법을 활용했다. 분석 결과 주당 실근로시간 감소 효과가 나타나면서 상용 근로자의 신규 채용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이러한 단기 효과는 장기적으로 고용 창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11장 사회적기업의 임금’은 일자리 문제의 새로운 대안으로 논의되는 사회적경제를 검토했다. 사회적기업이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일자리 창출 측면에서 긍정적 성과를 내고 있음이 확인되지만 다른 한편으로 고숙련의 우수한 인력을 확보하고 유지하기 어려운 점을 해결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는 점까지 언급한다.
지은이 소개
이시균
인하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인하대학교 경제학 박사
현재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
김정우
인하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인하대학교 경제학 박사
현재 한국노동연구원 전문위원
강신욱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현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김혜원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교수
조성재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현재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박태주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영국 워릭대학교(University of Warwick) 산업경제학 박사
현재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연구교수
이정희
영국 워릭대학교(University of Warwick) 경영학 박사(노사관계 및 조직행동)
현재 한국노동연구원 부연구위원
김유선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경제학 박사
현재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선임연구위원
권혜자
성균관대학교 철학과 졸업, 숭실대학교 경제학 박사
현재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
지민웅
인하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보스턴 대학교 경제학 박사
현재 산업연구원 연구위원 경제학과 교수
황덕순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현재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서울사회경제연구소(엮은이)
1993년 창립 이래 정의롭고 민주적인 사회경제구조의 확립 방안을 연구하고 통일 한국의 경제상을 정립하며, 변화하는 세계경제 질서 속에서 한국경제가 나아갈 바를 모색하는 작업을 지속해 오고 있다. 매년 심포지움을 개최하여 한국경제가 직면한 문제들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해 왔다. 연구소 회원을 중심으로 한 월례토론회를 통해 매월 두 편의 논문이 발표, 토론되며 서경연 워킹페이퍼 시리즈로 축적되었다. 이 외에도 워크숍을 개최하고 단행본과 연구총서 및 자료집을 발간하는 등 다방면으로 연구활동을 꾸준히 수행하고 있다.

Table of Contents
제1부│고용 불안과 근로빈곤의 실상 제1장 비정규직 고용 변동 분석(이시균) 제2장 사내 하청 노동자들의 산업안전보건 격차(김정우) 제3장 근로빈곤층 유형에 따른 소득지원제도 개편 효과(강신욱) 제4장 근로빈곤과 지원 제도(김혜원) 제2부│노사관계의 변화 제5장 한국 자동차 산업 고용관계의 국제화(조성재) 제6장 산별노조의 전진은 멈추었는가(박태주) 제7장 최저임금과 단체교섭(이정희) 제3부│노동시장의 현실과 대응 제8장 저결혼 저출산과 청년 일자리(김유선) 제9장 대기업집단 계열사의 고용 변화(권혜자) 제10장 주 40시간제의 효과와 근로시간 단축 정책의 함의(지민웅) 제11장 사회적기업의 임금(황덕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