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19457 | |
005 | 20171102180409 | |
007 | ta | |
008 | 171101s2015 ulkad b 000c kor | |
020 | ▼a 9788997453634 ▼g 03320 | |
035 | ▼a (KERIS)BIB000013910327 | |
040 | ▼a 21101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658.4/022 ▼2 23 |
085 | ▼a 658.4022 ▼2 DDCK | |
090 | ▼a 658.4022 ▼b 2015z1 | |
100 | 1 | ▼a Pellerin, Charles J. ▼q (Charles James), ▼d 1944- |
245 | 1 0 | ▼a 나사는 어떻게 일하는가 : ▼b 성공하는 팀을 만드는 법 / ▼d 찰스 펠러린 지음 ; ▼e 박창우, ▼e 유보림 옮김 |
246 | 1 9 | ▼a How NASA builds teams : ▼b mission critical soft skills for scientists, engineers, and project teams |
260 | ▼a 파주 : ▼b 이콘, ▼c 2015 | |
300 | ▼a 402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399-402 | |
610 | 1 0 | ▼a United States. ▼b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
650 | 0 | ▼a Teams in the workplace |
650 | 0 | ▼a Soft skills |
700 | 1 | ▼a 박창우, ▼e 역 |
700 | 1 | ▼a 유보림, ▼e 역 |
900 | 1 0 | ▼a 펠러린, 찰스,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658.4022 2015z1 | Accession No. 12124221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1990년 나사는 허블망원경을 우주로 보내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문제가 생겼다. 지구에 설치된 그 어떤 고성능 망원경보다 50배 이상의 성능을 기대했는데 그저 뿌연 화면만 보내온 것이다. 반사경의 미세한 문제로 인해 원래 기대했던 성능을 보여주지 못했다. 수조 원을 들인 프로젝트가 허망하게 끝난 것이다. 당연히 나사는 허블망원경 수리팀을 우주로 보냈고, 이를 성공적으로 지휘한 사람이 바로 이 책의 저자 찰스 펠러린 박사였다. 그 공로를 인정받아 ‘우주리더십’ 상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허블망원경의 반사경 결함이 ‘리더십의 실패’때문이라는 진상조사위의 발표 이후, 나사 최고위 관리직으로 승승장구하던 그의 인생에 변화가 왔다. 그 후 박사는 물리학이 아닌 리더십 연구에 집중했다. 스스로 ‘인간 물리학’실험이라 표현하는 이 연구는 ‘4-D 시스템’이라는 팀 빌딩 프로세스로 발전했다. 이 프로세스는 지금도 나사의 수많은 연구팀과 프로젝트에 적용되고 있다.
인문계열 학자가 아니라 물리학을 전공한 데다, 나사의 기술팀을 성공적으로 이끌어온 경험은 팀 빌딩에 새로운 접근을 가능하게 했다. 게다가 팀 빌딩을 원하는 전 직장(NASA)에서는 그의 연구를 활용하길 원했고, 그 실험은 지금까지도 계속되면서 더욱 정교해지고 있다. 이 책은 그 프로세스와 결과를 간략하게 설명한 책이다. 책의 가장 큰 장점은 물리학자의 기술적 사고를 통해 쓰여 있어, 기술 전문가들이 거부감 없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다는 것이다. 장황한 글보다 좌표 시스템을 활용하고, 팀 및 개인의 성과를 더 간단하게 바꾸어 말하고 있다.
영화 <마션>을 보면 나사(NASA)의 국장과 홍보수석 사이에서 스테이플러를 들고 우주선의 궤도를 설명하는 천체물리학자가 등장한다. 산하 조직까지 20만여 명이 근무하는 나사에서 일개 연구원이 최고 책임자를 상대로 무모한 프레젠테이션을 전개한다. 영화에 등장하는 제트추진연구소의 소장과 그 연구원들은 매우 자유로운 복장과 자세로 국장을 대하면서도, 보급선을 만드는 데 며칠이면 되겠냐는 국장의 질문에 바로 대답할 정도로 뛰어난 능력을 보여준다. 과연 이게 가능한 일일까?
하지만 나사의 업무 방식을 살펴보면 이런 일들이 실제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986년 챌리저호 폭발 사건, 1990년 허블망원경 반사경 문제, 1993년 옵저버호 발사 실패 등 엄청난 규모의 실패를 바탕으로‘성공’을 목표로 하는 조직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허블망원경 수리 프로젝트의 리더였던 저자가 말하는 팀 역량 강화기법
1990년 나사는 허블망원경을 우주로 보내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문제가 생겼다. 지구에 설치된 그 어떤 고성능 망원경보다 50배 이상의 성능을 기대했는데 그저 뿌연 화면만 보내온 것이다. 반사경의 미세한 문제로 인해 원래 기대했던 성능을 보여주지 못했다. 수조 원을 들인 프로젝트가 허망하게 끝난 것이다. 당연히 나사는 허블망원경 수리팀을 우주로 보냈고, 이를 성공적으로 지휘한 사람이 바로 이 책의 저자 찰스 펠러린 박사였다. 그 공로를 인정받아 ‘우주리더십’ 상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허블망원경의 반사경 결함이 ‘리더십의 실패’때문이라는 진상조사위의 발표 이후, 나사 최고위 관리직으로 승승장구하던 그의 인생에 변화가 왔다. 그 후 박사는 물리학이 아닌 리더십 연구에 집중했다. 스스로 ‘인간 물리학’실험이라 표현하는 이 연구는 ‘4-D 시스템’이라는 팀 빌딩 프로세스로 발전했다. 이 프로세스는 지금도 나사의 수많은 연구팀과 프로젝트에 적용되고 있다.
공대생이 공대생을 위해 쓴 팀 관리법
인문계열 학자가 아니라 물리학을 전공한 데다, 나사의 기술팀을 성공적으로 이끌어온 경험은 팀 빌딩에 새로운 접근을 가능하게 했다. 게다가 팀 빌딩을 원하는 전 직장(NASA)에서는 그의 연구를 활용하길 원했고, 그 실험은 지금까지도 계속되면서 더욱 정교해지고 있다. 이 책은 그 프로세스와 결과를 간략하게 설명한 책이다. 책의 가장 큰 장점은 물리학자의 기술적 사고를 통해 쓰여 있어, 기술 전문가들이 거부감 없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다는 것이다. 장황한 글보다 좌표 시스템을 활용하고, 팀 및 개인의 성과를 더 간단하게 바꾸어 말하고 있다.
“기술적인 은유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당신과 고객이 둘 다 전자electrons라고 가정합시다. 그럼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잭이 답했다. “강력한 반발 작용이 일어나겠죠.”
“맞아요. 하지만 당신이 중성자neutron가 된다면요?”
“반발 작용이 사라집니다. 아, 이제 이해가 되네요. 내가 바뀌어야 관계도 바뀐다는 거군요.”
“이 은유가 정확하지는 않지만 이와 비슷한 개념입니다.”
결국 팀 빌딩은 사람과 사람사이의 관계를 보고 그 흐름, 즉 맥락을 조절하는 일이다. 이 책은 그 사회적 맥락을 알려준다.
우리에게도 꼭 필요한 ‘사회적 맥락’ 관리
과거 대한항공의 사고율은 매우 높은 편이었다. 그 원인이 기장과 부기장 사이의 관계, 경직된 의사소통 구조에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부기장이 ‘선배’를 맹목적으로 믿고 판단을 미루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회사는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고, 그 결과 대한항공 사고율은 매우 낮아졌다.
최근 대우조선을 비롯한 여러 중공업 회사들이 상당한 적자를 드러냈다. 이런 프로젝트의 실패 원인에도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분명 그 핵심에는 팀 구성의 문제, 리더십의 문제가 자리하고 있다.
사람으로 이루어진 팀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사회적 맥락’이 존재한다. 실패를 극복하고 성공하는 팀을 만들기 위해서는 이‘맥락’을 파악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바꾸는 것이 필요하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찰스 펠러린(지은이)
하버드대학 ‘최고경영자 MBA 과정’ 수료, NASA에서 천체물리학본부장으로 근무했다. NASA에서 12개의 인공위성을 만들고 발사했으며, 허블망원경을 수리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두 번의 NASA 우수리더십상을 받았다. NASA 은퇴 후 콜로라도대학교 경영대학원 리더십 교수를 역임했으며, 1995년 ‘4-D 시스템’을 개발했다. 현재 ‘4-D 시스템즈’의 대표를 맡고 있다. ‘제5의 힘 (사회적 맥락)’ 관리에 4-D프로세스를 활용하는 전 세계 디벨로퍼를 지원하고 있다. '나사는 어떻게 일하는가' (원제:How NASA Builds Teams (wiley, 2009))는 그의 대표작으로 7개국에서 번역 출판되었다.
유보림(옮긴이)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의학박사. 2011년부터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EPM(Engineering Project Management) 과정에서 PM 소프트스킬 향상 교육담당 강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소프트스킬 및 코칭 전문회사인 (주)인시드(!NSEED) 대표를 역임하고 있다. 국제코칭연맹(ICF)의 4-D인증코치와 전문코치(PCC)로 활동하며, 2010년부터 ‘4-D 시스템즈’ 한국 프로그램 개발과 강의, 팀 코칭을 하고 있다. 충북대학교 국가지정연구실 연구교수, 태림제약 연구소 연구교수, 서울벤처대학교대학원 경영학과 겸임교수을 역임하였다.
박창우(옮긴이)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공학박사로 스탠퍼드대학교에서 SCPM(Stanford Certified Project Manager) 인증을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EDRC(Engineering Development Research Center) 교수와 EPM(Engineering Project Management) 책임교수로 과정운영과 강의를 맡고 있다. 한국시스템엔지니어링학회 부회장을 역임하는 등, 다양한 저술 활동과 함께 여러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관련 학술회의를 주관하고 있으며, 프로젝트 생태계(Project Ecosystem)를 중심으로 한 프로젝트 관리기술과 경영방법론을 연구 및 강의하고 있다.

Table of Contents
한국어판 서문 역자서문 이 책에 쏟아진 찬사들 감사의 말 프롤로그: 비전-팀 성과를 상위 20퍼센트로 올려라 1부_ 맥락의 이해와 분석 1장 허블 반사경의 결함이 주는 뼈아픈 교훈 2장 사회적 맥락 관리로 기술적 성과를 관리한다 3장 4-D 시스템: 팀 및 개인의 성과를 분석해주는 간단한 도구 2부_ 4-D 진단을 활용한 나사의 대표적 성과들 4장 4-D 진단 프로세스 5장 나사의 4-D 팀 빌딩 결과 3부_ 4-D 진단: 팀의 맥락과 컬러 코드 6장 4-D 시스템으로 성격 컬러를 찾아라 7장 4-D 시스템을 활용한 문화 분석 8장 프로젝트 마인드셋의 컬러를 일치시켜라 4부_ 맥락변환 9장 맥락변환 워크시트 10장 팀 성과를 제한하는 레드 스토리 라인 11장 감정 관리를 통한 팀의 에너지 관리 12장 사람들은 인정받고 싶어 한다 13장 공통의 관심사를 표현하라 14장 포용에 대한 욕구를 활용하라 15장 신뢰할 수 있는 맥락을 구축하라 16장 원하는 미래를 만들어라 17장 팀의 드라마 상태를 피하라 18장 유능한 인재를 나쁜 상황에 몰아넣지 마라 에필로그: 허블 망원경이 남긴 유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