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19338 | |
005 | 20171207135642 | |
007 | ta | |
008 | 171031s2017 bnk b 000c kor | |
020 | ▼a 9791195970216 ▼g 03300 | |
035 | ▼a (KERIS)BIB000014620660 | |
040 | ▼a 241008 ▼c 241008 ▼d 244002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35.4345 ▼2 23 |
085 | ▼a 335.4345 ▼2 DDCK | |
090 | ▼a 335.4345 ▼b 2017 | |
100 | 1 | ▼a 张博树, ▼d 1955- |
245 | 1 0 | ▼a 마르크스주의와 사회생물학 : ▼b 중국 경제 개혁의 전망 / ▼d 장 보수 지음 ; ▼e 오용득 옮김 |
246 | 1 9 | ▼a Marxism and human sociobiology : ▼b the perspective of economic reforms in China |
260 | ▼a 부산 : ▼b 책읽는저녁, ▼c 2017 | |
300 | ▼a 263 p. ; ▼c 22 cm | |
504 | ▼a 참고문헌: p. 254-263 | |
650 | 0 | ▼a Communism |
650 | 0 | ▼a Communism ▼z China |
650 | 0 | ▼a Sociobiology |
650 | 0 | ▼a Marxian economics |
700 | 1 | ▼a 오용득, ▼e 역 |
900 | 1 0 | ▼a Chang, Po-shu, ▼e 저 |
900 | 1 0 | ▼a Zhang Boshu, ▼e 저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35.4345 2017 | Accession No. 15133721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중국이 시도한 개혁개방정책 이후에 중국 공산당 시스템에 대한 허구성을 폭로하고 하며, 마르크스주의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그 대안으로 사회생물학을 주장한다. 즉, 중국 체제의 안정화를 기대하고 있는 보수의 포지션을 취하고 있다.
중국의 개혁개방정책은 중국의 권력자들의 기만적이고 자신의 부패를 위한 도구로써 경제, 즉 경제적 개방을 이용하고 그것이 중국인민을 위하는 것이 아닌 권력자 자신을 위하는 위악적인 면을 꼬집고 있다. 나아가 과거의 중국 경제를 적시하면서 그 묵계를 통해 이룩된 지금의 중국 경제 시스템을 현시할 수 있는 계기가 되며 뿐만 아니라 적폐를 주목하는 한국의 상황에서도 적용될 수 있으리라 예상한다.
이 책은 논쟁을 불러일으킬 만한 주제를 담고 있다. 하나는 중국이 시도한 개혁개방정책 이후에 중국 공산당 시스템에 대한 허구성을 폭로하고 있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마르크스주의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그 대안으로 사회생물학을 대리 보충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 책은 기본적으로 중국 체제의 안정화를 기대하고 있는 보수의 포지션을 취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사회생물학은 전체의 유기성, 부분이 전체에 대입되는 형태의 사고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는 중국의 개혁개방정책은 중국의 권력자들의 기만적이고 자신의 부패를 위한 도구로써 경제, 즉 경제적 개방을 이용하고 그것이 중국인민을 위하는 것이 아닌 권력자 자신을 위하는 위악적인 면을 꼬집고 있다. 나아가 과거의 중국 경제를 적시하면서 그 묵계를 통해 이룩된 지금의 중국 경제 시스템을 현시할 수 있는 계기가 되며 뿐만 아니라 적폐를 주목하는 한국의 상황에서도 적용될 수 있으리라 예상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장 보수(지은이)
1955년 북경에서 출생. 1972년 고교 졸업 후 북경의 한 국영공장에서 일하면서 사회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문화혁명 후 중국 인민대학에서 정치경제학을 전공하여 1982년 경제학 학사학위를 취득했다. 1985년 중국사회과학원 대학원 철학과에 입학하여 마르크스주의와 비판이론, 사회생물학을 연구하여 1988년과 1991년에 각각 철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중국사회과학원 철학과 학자로 재직하다가 2009년 (아마도 정치적 문제로) 퇴직했으며, 최근에는 미국 컬럼비아대학 정치학과의 객원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경제 행위와 인간经济行为与人』(1988), 『마르크스주의와 인간 사회생물학Marxism and Human Sociobiology』(1994), 『현대성과 제도의 현대화现代性与制度现代化』(1998), 『중국 사립대학의 중건重建中国私立大学』(2003), 『당의 전제정치 분석: 중국이 나아갈 길 构党专制:中国的根本出路』(2005), 『5.4에서 6.4까지: 20세기 중국의 전제주의 비판从五四到六四:20世纪中国专制主义批判』(2008), 『중국 헌정개혁의 가능성 연구보고中国宪政改革可行性研究报告』(2008), 『중국 비판이론의 구조 10강中国批判理论建构十讲』(2009), 『중국을 바꿔라: 6.4 이후의 중국정치사조改変中国: 六四以來的中国政治思潮』(2015) 등이 있다.
오용득(옮긴이)
동아대학교 철학과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동아대학교 철학생명의료윤리학과 강의전담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자기쇄신의 학으로서의 철학적 해석학』(2005), 『섹슈얼리티의 철학 - 유전자의 생존기계에서 성적 주체로』(2008), 『세상은 왜? - 세상을 보는 10가지 철학적 주제』(2011)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추천사
머리말
들어가는 말
1장 개혁들: 오늘날 우리가 당면한 이론적 딜레마들의 원천들에 대한 이해
2장 역사적 증거
3장 상품과 인간의 본성: ‘생존을-위한-노동’
4장 상품과 인간의 본성: ‘생존을-위한-노동’에서 ‘이윤을-위한-노동’으로의 전환
5장 마르크스의 철학적 인간학
6장 역사적 유물론: 하나의 불완전한 논증
7장 인간 사회생물학의 통찰들
8장 새로운 도전: 문화적·윤리적 쟁점들
9장 마르크스주의와 인간 사회생물학의 결합 가능성들과 난점들
10장 현실로의 복귀
옮긴이 후기
용어해설
참고문헌
Information Provided By: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