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달의 뒤편에 드리운 시간들 : 이서진 소설집

달의 뒤편에 드리운 시간들 : 이서진 소설집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서진
서명 / 저자사항
달의 뒤편에 드리운 시간들 : 이서진 소설집 / 이서진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북인,   2017  
형태사항
243 p. ; 21 cm
총서사항
소설문학 소설선
ISBN
9791187413202
내용주기
그림자 정원. - 달의 뒤편에 드리운 시간들. - 금(線). - 동행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19046
005 20171122165036
007 ta
008 171030s2017 ulk 000cj kor
020 ▼a 9791187413202 ▼g 03810
035 ▼a (KERIS)BIB000014615103
040 ▼a 211041 ▼c 211041 ▼d 211041 ▼d 211009
082 0 4 ▼a 895.735 ▼2 23
085 ▼a 897.37 ▼2 DDCK
090 ▼a 897.37 ▼b 이서진 달
100 1 ▼a 이서진
245 1 0 ▼a 달의 뒤편에 드리운 시간들 : ▼b 이서진 소설집 / ▼d 이서진 지음
260 ▼a 서울 : ▼b 북인, ▼c 2017
300 ▼a 243 p. ; ▼c 21 cm
440 0 0 ▼a 소설문학 소설선
505 0 ▼a 그림자 정원. - 달의 뒤편에 드리운 시간들. - 금(線). - 동행
536 ▼a 이 책은 강원도, 강원문화재단 후원으로 발간되었음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97.37 이서진 달 등록번호 1513370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2006년 『문학마당』 신인상에 단편소설 「해당화 피고 지는」이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한 이서진 작가가 데뷔 11년 만에 네 편의 중편소설을 묶은 첫 소설집.

「그림자 정원」은 죽은 언니와 살아 있는 동생을 각각 화자로 삼아 이야기가 펼쳐진다. 「달의 뒤편에 드리운 시간들」은 알츠하이머를 앓는 아내를 고통스럽게 지켜보는 남편의 이야기다. 「동행」은 납북된 어부였다가 귀환한 아버지와 그의 아들이 고향 거진을 찾아가는 이야기가 ‘아버지’와 ‘아들’의 장으로 나뉘어 이야기를 끌고 간다. 「금」은 세상 밖으로 내몰린 ‘나’와 어머니 무덤 옆에서 거처를 찾는 성전환자의 이야기가 서로 엮여진다.

소설 속 등장인물들은 모두 폭력의 희생자들이다. 따로 흘러가는 이중주는 마치 두 개의 독백처럼 보이지만 한 작품 안에 놓임으로써 비로소 대화를 나누며 다양한 폭력으로 입은 상처를 치유한다.

다양한 폭력의 상처를 치유하며 동행하는 ‘작품 속의 이중주’
2006년 『문학마당』 신인상에 단편소설 「해당화 피고 지는」이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한 이서진 작가가 데뷔 11년 만에 네 편의 중편소설을 묶은 첫 소설집 『달의 뒤편에 드리운 시간들』을 출간했다. 이서진 작가는 등단 이듬해 2007년 진주가을문예에 중편소설 「동행」이 당선되었고, 2011년 중편소설 「빨간눈이새」로 김만중문학상까지 수상할 정도로 여러 곳에서 필력을 인정받았다.
이서진의 소설집 『달의 뒤편에 드리운 시간들』의 서술은 두 층위로 나뉘어 진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소설 중간 중간 소제목을 넣거나, 글씨체까지 바꿔가면서 적극적으로 다른 목소리를 끌어들여 이야기를 꾸며 나간다. 「그림자 정원」은 죽은 언니와 살아 있는 동생을 각각 화자로 삼아 이야기가 펼쳐진다. 「달의 뒤편에 드리운 시간들」은 알츠하이머를 앓는 아내를 고통스럽게 지켜보는 남편의 이야기다. 「동행」은 납북된 어부였다가 귀환한 아버지와 그의 아들이 고향 거진을 찾아가는 이야기가 ‘아버지’와 ‘아들’의 장으로 나뉘어 이야기를 끌고 간다. 「금」은 세상 밖으로 내몰린 ‘나’와 어머니 무덤 옆에서 거처를 찾는 성전환자의 이야기가 서로 엮여진다.
이 네 편의 중편소설 속의 두 주인공은 영판 다른 사람처럼 보이지만 폭력적인 현실에서 자기 자리를 찾지 못한다는 점에서 닮은꼴이다. 이런 이중주의 형식으로 두 사람은 대화를 나누고 과거는 현재와 교묘하게 엮인다. 작중 현실에서 대화를 나누지 못하는 인물들은 글 속에서 이야기를 나눈다. 두 사람의 이야기를 엮으면 상처의 기원과 결과물이 하나로 엮인다. 어쩌다 그런 일이 생겼는지, 그 사건은 지금 살아 있는 사람에게 어떤 파장을 끼쳤는지가 드러난다.
그것들을 거슬러 올라가다보면 ‘폭력’이 나온다. 「그림자 정원」에서 언니는 열다섯 살에 군인에게 성폭행을 당하고 숨졌다. 언니의 참담한 죽음은, 태어나지도 않은 여동생의 삶도 왜곡시킨다. 「달의 뒤편에 드리운 시간들」에서 작은아버지는 화자와 엄마에게 폭력을 행사한다. 엄마는 달아났고, 집에 남겨진 소녀는 여행가방을 사들이는 여자로 자라났다. 결혼하여 가정을 꾸렸지만 그 기억에서 벗어나질 못하고 알츠하이머 환자가 된다. 「금」에선 폭압적인 아버지와 형들에게 시달리던 인물이 남성성을 버리고 여성이 되기로 마음먹지만 남성들에게 집단 강간을 당한다. 「동행」에서 아들은 납북당한 아버지의 부재로 갖은 고생을 치러야 했다. 가난에 시달리는 가족, 그걸 빌미로 어머니의 몸을 요구하는 경찰, 거기에 맞서다가 상처를 입은 동생. 이웃들은 가족을 빨갱이라고 의심하고 국가는 연좌제를 적용하여 앞길을 막았다. 이서진 작가의 소설 속 등장인물들은 모두 폭력의 희생자들이다. 그 폭력의 양상은 신체적 폭력, 제도가 가하는 폭력, 사회나 국가 등이 행한 폭력 등으로 다양하다.
이서진 작가는 “누군가는 한낱 파편만으로 그들의 생을 가볍게 속단한다. 상실, 그리움, 슬픔, 아픔, 외로움, 고단함, 억울함의 그림자가 깔려 있는 걸 보지 않는다. 쉽게 내보일 수 없었을 이면의 물크러진 상처를 제 기준대로 간단히 전체화시켜 버린다. 결코 타인의 성급한 잣대로 재단되어야 할 무게가 아님에도. 부당하고 불합리한 세상에서 막막히 떠도는 익명들, 존재를 옥죄는 혼돈의 흐릿함과 물크러진 상처에 대해 말하고 싶은 강렬함이 일었다. 그들의 피폐한 상황에 대해 미약한 기척이라도 내줄 수 있지 않을까. 짓물러진 상처에 말간 연분홍빛 새 살 차게 할 위안의 요소라도 되지 않을까, 그런 심정이었다”라고 첫 소설집 출간의 의미를 ‘작가의 말’에서 밝혔다.
따로 흘러가는 이중주는 마치 두 개의 독백처럼 보이지만 한 작품 안에 놓임으로써 비로소 대화를 나눈다. 따로 흐르는 것처럼 보이는 물줄기는 나란히 흐른다. 다양한 폭력으로 입은 상처를 치유하며 동행하듯이.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서진(지은이)

강원도 거진에서 태어났다. 강원대학교 대학원 국문학과를 수료했고, 2006년 <문학마당> 신인상에 '해당화 피고 지는'이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진주신문 가을문예에 중편소설 '동행'이 당선되었고, 중편소설 '빨간눈이새'로 김만중문학상과 중편소설 '그림자정원'으로 원주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 <달의 뒤편에 드리운 시간들>과 <낯선 틈> <당신의 허공gt;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작가의 말 = 4 
그림자 정원 = 9 
달의 뒤편에 드리운 시간들 = 73 
금[線] = 127 
동행 = 175 
해설 : 정원에 숨긴 말들 / 김나정 = 22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