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보이스 퍼스트 패러다임 : 슈퍼플랫폼을 선점하라 (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강정수, 저 김가연, 저 김영경, 저 김형석, 저 박래형, 저 박성미, 저 송승훈, 저 이수현, 저 장해강, 저 홍윤희, 저
단체저자명
Homo Digicus
서명 / 저자사항
보이스 퍼스트 패러다임 : 슈퍼플랫폼을 선점하라 / 호모 디지쿠스, 강정수 외 9인 지음
발행사항
파주 :   아마존의나비,   2017  
형태사항
239 p. : 삽화, 도표 ; 21 cm
ISBN
9791195785797
일반주기
호모 디지쿠스: 강정수, 김가연, 김영경, 김형석, 박래형, 박성미, 송승훈, 이수현, 장해강, 홍윤희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19023
005 20201028174110
007 ta
008 171030s2017 ggkad 000c kor
020 ▼a 9791195785797 ▼g 03300
035 ▼a (KERIS)BIB000014607318
040 ▼a 223009 ▼c 223009 ▼d 211009
082 0 4 ▼a 303.483 ▼2 23
085 ▼a 303.483 ▼2 DDCK
090 ▼a 303.483 ▼b 2017z26
110 ▼a Homo Digicus
245 1 0 ▼a 보이스 퍼스트 패러다임 : ▼b 슈퍼플랫폼을 선점하라 / ▼d 호모 디지쿠스, ▼e 강정수 외 9인 지음
260 ▼a 파주 : ▼b 아마존의나비, ▼c 2017
300 ▼a 239 p. : ▼b 삽화, 도표 ; ▼c 21 cm
500 ▼a 호모 디지쿠스: 강정수, 김가연, 김영경, 김형석, 박래형, 박성미, 송승훈, 이수현, 장해강, 홍윤희
700 1 ▼a 강정수, ▼e
700 1 ▼a 김가연, ▼e
700 1 ▼a 김영경, ▼e
700 1 ▼a 김형석, ▼e
700 1 ▼a 박래형, ▼e
700 1 ▼a 박성미, ▼e
700 1 ▼a 송승훈, ▼e
700 1 ▼a 이수현, ▼e
700 1 ▼a 장해강, ▼e
700 1 ▼a 홍윤희, ▼e
910 0 ▼a 호모 디지쿠스, ▼e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03.483 2017z26 등록번호 12125468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03.483 2017z26 등록번호 15133706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03.483 2017z26 등록번호 12125468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03.483 2017z26 등록번호 15133706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IT 기술이 현실 사회, 특히 한국 사회에 어떤 지각 변동을 가져올지 궁금했던 IT, 예술, 법률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아홉 명이 강정수 메디아티 대표와 여섯 달 동안 공부하고 토론하여 나온 결과물을 엮은 산물이다.

저자들은 인터페이스는 어떻게 타이핑에서 터치로, 보이스로 진화하게 되었는지, 목소리로 사물을 제어한다는 것이 우리의 일상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이며, 그 과정에서 기업들이 음성을 데이터화하고,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얼마나 우리의 생활 속에 깊숙이 침투해 있는지, 어떤 기업이 이 치열한 ‘플랫폼 전쟁’의 최종 승자로 등극할 것인지 등을 여러 자료들을 통해 분석하고 토론한다. 뿐만 아니라 보이스 퍼스트가 불러올 미래 삶의 변화와 그 사회적 함의를 독자들과 공유하고자 한다.

[미디어 소개]
☞ 한겨레신문 2017년 9월 22일자 기사 바로가기
☞ 한국경제신문 2017년 9월 22일자 기사 바로가기
☞ 한국일보 2017년 9월 16일자 기사 바로가기
☞ 머니투데이 2017년 9월 14일자 기사 바로가기

#모바일 퍼스트(Mobile First) #보이스 퍼스트(Voice First)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AI) #음성비서 #플랫폼 #인터페이스 #머신러닝 #알파고 # 딥러닝 #데이터 #프라이버시 #구글 #애플 #아마존 #삼성전자 #LG전자 #SK텔레콤 #KT #네이버 #Daum Kakao #CES #IFA #알렉사 #시리 #빅스비 #코타나 #기가지니(GigaGinie) #누구(NUGU) …

▶ 스마트폰 터치를 대신해 차세대 컴퓨터를 움직이는 것은 목소리
▶ 목소리 데이터를 삼키는 투톱 ‘아마존과 구글’, 멀찌감치 따라가는 한국 기업들
▶ 음성 명령, 자판이나 터치보다 편리해
▶ 대화형 인공지능, 데이터 수집의 첨병…프라이버시 이슈도 있어
▶ 데이터는 미래의 석유… 데이터를 쉽게 모아 인공지능 강화하는 스피커는 미래시대 IT 플랫폼
▶ 모바일 퍼스트는 끝났다. 이제는 보이스 퍼스트의 시대이다.
▶ 인공지능 스피커는 차세대 플랫폼, 일상을 지배할 것
▶ 상거래, 데이터, 사물인터넷의 허브...음성이 지배하는 슈펴 플랫폼이 열린다!
▶ 시리, 알렉사, 빅스비, 네이버, 카카오… 기업들은 왜 AI 비서 전쟁에 뛰어드는가?
▶ AI 음성비서, UI의 미래

“보이스 퍼스트(Voice First) 시대, 음성이 세상을 지배한다!”

2017년 9월 첫 주, 유럽 최대 가전전시회 IFA 2017이 열린 베를린 전시장에서는 전시회 기간 내내 ‘오케이 구글!’ ‘알렉사!’를 부르는 목소리가 울려 퍼졌다. 정작 이 음성 소프트웨어를 만든 구글과 아마존의 부스는 없거나 아주 작았다. 아마존과 구글의 음성비서들은 LG전자, 필립스(Phillips), 보쉬(Boche), 밀레(Miele), 지멘스(Siemens) 등 세계 유수기업들이 세운 대형 부스 곳곳의 냉장고, 청소기, 전등, 자동차 부품 속에서 목소리에 반응했다. 2017년 전 세계 IT업계 최대의 화두인 ‘보이스 인공지능’의 모습이다. 네이버, 카카오, SK텔레콤, KT 등 한국 IT 기업들이 아직 완벽하다고 말하기는 힘들지만 각기 인공지능(AI) 스피커를 서둘러 내놓고 있는 이유다. 인공지능 스피커는 인간의 목소리라는 명령에 반응하고, 목소리에 든 데이터를 수집한다.
10년 전인 2007년 탄생한 애플의 아이폰은 사람들이 정보를 소비하는 공간과 습관을 일거에 뒤바꿔 놓으며, ‘모바일 퍼스트(mobile first)’ 시대를 열었다. 이로 인해 전 세계 산업 지형과 기업 순위가 바뀌는 결과를 초래했다. 아이폰이 열어젖힌 모바일 퍼스트 시대에는 터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명령을 수행했다. 그로부터 불과 10년이 흐른 지금, 폰을 손으로 집어들 필요조차 없이 말로써 요청하면 쇼핑은 물론 메신저 보내기, 가전제품 제어까지 가능한 시대가 되었다. 우리는 이러한 세상을 ‘보이스 퍼스트 월드(Voice First World)’라고 이름하였다.

“담론이 아니라 실체로서의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구체적 삶의 모습을 이야기한다!”


이 책은 IT 기술이 현실 사회, 특히 한국 사회에 어떤 지각 변동을 가져올지 궁금했던 IT, 예술, 법률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아홉 명이 강정수 메디아티 대표와 여섯 달 동안 공부하고 토론하여 나온 결과물을 엮은 산물이다.
저자들은 인터페이스는 어떻게 타이핑에서 터치로, 보이스로 진화하게 되었는지, 목소리로 사물을 제어한다는 것이 우리의 일상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이며, 그 과정에서 기업들이 음성을 데이터화하고,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얼마나 우리의 생활 속에 깊숙이 침투해 있는지, 어떤 기업이 이 치열한 ‘플랫폼 전쟁’의 최종 승자로 등극할 것인지 등을 여러 자료들을 통해 분석하고 토론한다. 뿐만 아니라 보이스 퍼스트가 불러올 미래 삶의 변화와 그 사회적 함의를 독자들과 공유하고자 한다.

이 책을 시작으로 소위 4차 산업혁명으로 일컬어지는 인류 삶의 양식을 바꿔 놓을 수 있는 현재 진행형의 기술 발전 양상과 그에 따른 사회적 함의에 관해 지속적으로 토론하고 그 결과물을 내놓을 예정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호모 디지쿠스(지은이)

<b>“왜 IT 최신 트렌드 자료는 영어 자료밖에 없나요?” </b> IT, 유통, 게임, 법률 등 각 분야의 전문가 아홉 명이 2017년 초 <호모 디지쿠스> 모임을 결성했다. 강정수 메디아티 대표와 함께 ‘기술이 한국 사회와 미래에 끼칠 영향’에 대한 공부를 시작했을 때 가장 먼저 느꼈던 의문이었다. 4차 산업혁명이란 말이 유행어가 되기 전부터 이미 혁명은 피부로 느껴지고 있었는데 이들이 읽어야 할 밑 자료는 해외 기술 블로그나 전문지 등 외국 자료가 대부분이었다. 인공지능, 알고리즘, 자율 주행차, 신재생에너지, 사라지는 일자리, 기술변화에 따른 규제의 변화 등. 이들이 일하는 곳은 제각각이었다. 전자 및 반도체 회사, 전자상거래 및 게임 회사, 법무법인, NGO, 영상 제작 등. 그러나 ‘기술이 한국 사회와 미래에 끼칠 영향’에 대한 관심만은 공통적이었다. <호모 디지쿠스>는 장충동 모처에서 한 달에 한 번, 공부 모임을 시작했다. 발제하고 토론하며 책을 쓰기로 결심했다. 그 첫 주제로 ‘보이스 인공지능’을 택했다. 목소리로 검색하고, 컴퓨터 및 사물을 제어하는 수단이 될 때, 우리의 일상과 산업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을지 궁금했기 때문이다. <호모 디지쿠스>는 이러한 호기심, 특히 첨예한 IT 기술 이슈 등에 대한 공부 및 토론 과정을 통해 나온 결과물들을 엮어 관심 있는 독자들과 공유할 수 있는 저술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다.

강정수(지은이)

메디아티 대표, 사단법인 오픈넷 이사. 연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비덴대(Witten/Herdecke)에서 경영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디지털경제, 최신 IT기술 동향, 뉴미디어에 대한 다양한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한다.

김가연(지은이)

인터넷 자유 운동 시민단체 (사)오픈넷 변호사 겸 활동가. 어릴 때부터 꿈꿔온 삶을 사는 중이며, SF 영화 <매트릭스>를 좋아한다.

김영경(지은이)

연세대학교 기술경영학 협동과정 박사과정 재학. 모건 스탠리(Morgan Stanley)와 리먼 브라더스(Lehman Brothers)에서 바이스 프레지던트, 스탠다드 차타드 증권(Standard Chartered Securities)에서 디렉터로 재직하며 다양한 내수 업종의 애널리스트로 일했다. 금융을 떠나 산업으로 자리를 옮겨 국내 커머스 업체에서 산업 및 기업 분석과 전략 업무를 담당했다. 연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경영학과에서 석사를 취득했다. 기술과 경영을 접목해 기술로 세상을 이롭게 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공저서로 『보이스 퍼스트 패러다임: 슈퍼 플랫폼을 선점하라』가 있다.

김형석(지은이)

삼성전자 책임연구원. 영상처리, 비전, 머신러닝/딥러닝,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설계 분야에서 연구 개발에 전념하고 있다.

박래형(지은이)

법무법인(유한) 로고스 변호사, (사)희망과 동행 이사

박성미(지은이)

콘텐츠 생산 노동자. 단편영화 감독. 디지털 유목민. 글을 그림으로, 어려운 이야기를 쉬운 이야기로 바꾸어 내는 일에 관심이 많다.

송승훈(지은이)

회계법인과 글로벌 게임회사를 거쳐 현재 외국계 IT 기업 근무. 사람, 와인, 책, 새로운 기술과 트렌드에 관심이 많으며, 항상 배우고 성장하는(atmosphere of continual growth) 삶을 지향한다.

이수현(지은이)

하는 일은 홍보. 월급 받는 곳은 게임회사. 새로운 건 늘 재미있다. 배우는 게 좋고, 사람을 좋아한다. 디지털 시대 사람이 사람답게 살아야 할 길이 고민이다. 삼인행필유아사(三人行必有我師)를 머리에 새겨 살고자 한다.

장해강(지은이)

반도체 회사 엔지니어. 센서, IoT에 관심과 비전을 가지고 있다.

홍윤희(지은이)

16년째 IT 기업에서 다양한 종류의 커뮤니케이션 업무 담당. 요즘의 주요 관심사는 임팩트를 만들어내는 사회 활동이다. 인간의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AI 시대의 생존법이라고 믿는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책을 펴며 = 7
프롤로그 _ 보이스 인공지능 서비스 전쟁 = 15
1 Welcome to the Voice First World 
 보이스, 컴퓨터를 삼키다 
  알렉사, 하늘은 왜 파랗지? = 41
  2016년 모멘텀 = 44
  보이스 컴퓨팅 = 47
  알렉사와 스킬 = 52
 보이스 전쟁에 뛰어든 키 플레이어들 
  시리, 왕좌를 내어주다 = 56
  쇼핑에 압도적인 알렉사, 대화의 맥락을 이해하는 구글 홈 = 60
  맞춤 비서 코타나 = 64
  보이스 인공지능 서비스 현황 = 68
 클라우드와 머신러닝의 마법 
  보이스 인공지능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 72
  더 많은 피드백, 더 스마트해지는 인공지능 = 75
  기계 학습과 자연어 처리 = 76
  구글의 한 수, 개별화된 머신러닝 = 79
 슈퍼 보이스 인공지능의 서막 
  세계를 이해하는 알고리즘의 비밀 = 83
  스스로 변화하는 코드와 기하급수 학습 = 88
  오디오 증강현실 = 90
2 보이스, 인터페이스 혁명 
 기계와의 대화, 70년의 역사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선구자들 = 95
  실시간 응답의 시작 :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와 유닉스 = 97
  2차원을 제어하다 :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와 마우스 = 99
  가장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터치 그리고 아이폰 = 101
  단순함과 편리하면서도 특별한 사용자 경험을 추구하는 미래형 인터페이스 = 104
 보이스 인터페이스의 부상 
  음성 인식 기술의 태동기, 소리를 1:1로 매칭하다 = 106
  차근차근 한 걸음씩 : 통계적 방법의 유행 = 109
  사람보다 말을 더 잘 알아듣는 기계 : 딥러닝 알고리즘 적용 = 111
 데이터 포식자, 보이스 인터페이스 
  쓸모없는 놀이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승자가 된다 = 114
  마찰의 감소 = 116
  스크린을 탈출한 인터페이스 = 118
  인터페이스와 데이터 = 120
  브레인과 촉수로 작동되는 복합현실 : 인터페이스의 미래 = 122
 보이스 인공지능이 풀어야 할 숙제 
  만물 상자는 가능한가 = 126
  스킬의 한계 = 130
  이용자들은 기대한다 = 132
  언캐니 밸리 = 134
  프라이버시의 종말 = 136
  넘어야 할 산 : 인증과 결제 = 141
3 보이스, 세상을 먹어 치우다 
 정보 습득 매개체 보이스, OS가 되다 
  모바일 퍼스트에서 보이스 퍼스트로 = 145
  OS를 갖는 자가 생태계를 지배한다 = 147
  아마존은 어떻게 알렉사를 OS화하려고 하는가 = 150
 보이스는 어떻게 삶을 바꾸는가 
  보이스는 공간을 재정의한다 = 152
  보이스는 시간을 재정의한다 = 153
  보이스, 배움과 놀이를 재정의할 수 있을까 = 155
 정보를 접하는 경험의 변화 : 브라우징→ 서치 → 노-서치 
  쇼핑 정보 공간, 마트 매대에서 인터넷 브라우징으로 옮겨가다 = 158
  보이스, 검색 자체가 불필요한 쇼핑 경험 = 160
  가격 민감도의 감소 = 161
  보이스로 쇼핑 경험 한계를 넘겠다 : 식품과 패션 정복을 위한 아마존의 야심 = 164
  노-서치 시대를 연 보이스, 아마존의 공격과 구글의 고민 = 167
  한국어 보이스 인공지능, 어디까지 왔을까? = 172
에필로그 _ 대담 : 다시 한 번, 혁명이 온다 = 177
미주 = 224

관련분야 신착자료

Urry, John (2022)
권경득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