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비즈니스 모델로 본 영국 사회적기업 (1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장종익, 저 오창호, 저 황세원, 저 김태일, 저 김정원, 저 김현미, 저 문병선, 저 유병학, 저 유승태, 저 정화령, 저 황호진, 저
서명 / 저자사항
비즈니스 모델로 본 영국 사회적기업 = Social enterprise UK business model approach / 장종익 외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알마,   2015   (2018 3쇄)  
형태사항
323 p. : 천연색삽화, 도표 ; 23 cm
총서사항
한신대학교 사회혁신경영대학원 글로벌 사회적경제 현장 탐방 시리즈 ;1
ISBN
9791185430812
일반주기
공저자: 김태일, 김정원, 김현미, 문병선, 유병학, 유승태, 정화령, 황호진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19-323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17824
005 20180726142213
007 ta
008 171018s2015 ulkad b 000c kor
020 ▼a 9791185430812 ▼g 93320
035 ▼a (KERIS)BIB000013911407
040 ▼a 241027 ▼c 241027 ▼d 241027 ▼d 222001 ▼d 244002 ▼d 211009
082 0 4 ▼a 658.408 ▼2 23
085 ▼a 658.408 ▼2 DDCK
090 ▼a 658.408 ▼b 2015z8
245 0 0 ▼a 비즈니스 모델로 본 영국 사회적기업 = ▼x Social enterprise UK business model approach / ▼d 장종익 외 지음
260 ▼a 서울 : ▼b 알마, ▼c 2015 ▼g (2018 3쇄)
300 ▼a 323 p. : ▼b 천연색삽화, 도표 ; ▼c 23 cm
440 0 0 ▼a 한신대학교 사회혁신경영대학원 글로벌 사회적경제 현장 탐방 시리즈 ; ▼v 1
500 ▼a 공저자: 김태일, 김정원, 김현미, 문병선, 유병학, 유승태, 정화령, 황호진
504 ▼a 참고문헌: p. 319-323
700 1 ▼a 장종익, ▼e▼0 AUTH(211009)105251
700 1 ▼a 오창호, ▼e▼0 AUTH(211009)75380
700 1 ▼a 황세원, ▼e▼0 AUTH(211009)60087
700 1 ▼a 김태일, ▼e
700 1 ▼a 김정원, ▼e▼0 AUTH(211009)122512
700 1 ▼a 김현미, ▼e
700 1 ▼a 문병선, ▼e
700 1 ▼a 유병학, ▼e
700 1 ▼a 유승태, ▼e
700 1 ▼a 정화령, ▼e
700 1 ▼a 황호진, ▼e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58.408 2015z8 등록번호 1117945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658.408 2015z8 등록번호 15133677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58.408 2015z8 등록번호 1117945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658.408 2015z8 등록번호 15133677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영국 사회적기업의 생생한 비즈니스 모델 현장 보고서. 한신대학교 사회혁신경영대학원의 교수와 학생들은 2015년 2월 8일부터 16일까지 영국의 사회적기업 현장을 기획 방문하여 심층 조사했다. 영국은 사회적기업이 전 세계 어느 곳보다 일찍 발달한 나라다. 이러한 풍성하고 다채로운 선구 사례를 직접 보고, 듣고, 살펴보는 것은 한국의 사회적기업과 사회적경제 전반을 되돌아보고 성장시키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되어줄 것이다.

사회적기업의 다양한 사례를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사회적 미션과 경제적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달성하려는 사회적기업이 실제로 어떻게 출현하고 어떻게 작동하며, 어떠한 환경이 필요한 것인가를 실제 사례 중심으로, 비즈니스 모델이라는 현실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1부와 2부에서는 지역재생형.지역공동체 증진형, 사회서비스 제공형, 노동통합형, 사회혁신형, 사회적 금융 및 중간지원조직 등 다양한 유형을 드러내줄 수 있는 사례를 선정하여 현장에서 그 실제를 확인하고 심층 면담과 실태 조사를 실시한다. 3부에서는 이런 현장의 움직임과 긴밀히 연관되는 사회적기업 제도와 정책 환경을 고찰함으로써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민간을 아우르는 네트워크가 어떤 식으로 형성되고 발전해왔는지를 거시적으로 조망해본다.

영국 사회적기업의
생생한 비즈니스 모델 현장 보고서

사회적기업은 실제로 어떻게 출현하고 어떻게 작동하며, 어떠한 환경이 필요한가?

[기획 의도]

현장에서 본 사회적기업의 모든 것!

이 책은 영국의 사회적기업들을 기획 방문하여 심층 조사한 결과물이다. 한신대학교 사회혁신경영대학원의 교수와 학생 들은 2015년 2월 8일부터 16일까지 영국의 사회적기업 현장에서 집중 연구조사를 실시했다. 영국은 1800년대에 시작된 협동조합, 자선단체와 비영리기관 들이 진행해온 자체 수익 사업, 지역사회 중심의 지역사회기업, 공정무역을 세계 최초로 시작한 공정무역기업 등을 포함하여, 사회적기업이 전 세계 어느 곳보다 일찍 발달한 나라다. 이러한 풍성하고 다채로운 선구 사례를 직접 보고, 듣고, 살펴보는 것은 한국의 사회적기업과 사회적경제 전반을 되돌아보고 성장시키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되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 사회적기업 관련 책들의 경우 대부분 사회적기업의 개념과 역사, 정책 등에 치우쳐 있거나 사회적기업가의 혁신적 아이디어 실천을 간단히 소개하는 정도여서, 다양한 사례를 심층적으로 분석한 책은 찾아보기가 어렵다. 이런 문제의식 아래 이 책은 사회적 미션과 경제적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달성하려는 사회적기업이 실제로 어떻게 출현하고 어떻게 작동하며, 어떠한 환경이 필요한 것인가를 실제 ‘사례’ 중심으로, ‘비즈니스 모델’이라는 현실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 책 1부와 2부에서는 지역재생형.지역공동체 증진형, 사회서비스 제공형, 노동통합형, 사회혁신형, 사회적 금융 및 중간지원조직 등 다양한 유형을 드러내줄 수 있는 사례를 선정하여 현장에서 그 실제를 확인하고 심층 면담과 실태 조사를 실시한다. 그 과정에서 오랜 역사를 지닌 영국 사회적경제와 사회적기업의 성과와 발전상, 위기와 극복 과정, 지속가능성을 타진한다. 아울러 이를 통해 서서히 성장하고 있는 한국 사회적경제와 사회적기업에 도움이 되거나 성찰하게 해주는 요소들까지 함께 살펴본다. 3부에서는 이런 현장의 움직임과 긴밀히 연관되는 사회적기업 제도와 정책 환경을 고찰함으로써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민간을 아우르는 네트워크가 어떤 식으로 형성되고 발전해왔는지를 거시적으로 조망해본다.

지속가능성과 자생력을 갖추기 위한 ‘비즈니스 모델’의 중요성
2002년 신노동당 정부가 최초로 사회적기업 지원 정책을 발표한 이후 영국의 사회적기업은 1인기업을 포함하여 약 68만 8000여 개로 성장하여 약 200만 명의 일자리를 만들어내고 있다. 이어서 2010년 보수당과 자유민주당 연립정부가 새롭게 시작되면서부터는 사회적기업 영역만의 전폭적인 지원보다는 사회적기업이 자라난 토양과 뿌리로 생각할 수 있는 시민사회 영역에 대한 전반적인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영국의 사회적기업과 사회적경제의 발전 과정이 순탄하기만 했던 것은 아니다. 전통적으로 대부분의 자선기관과 사회적기업 등 사회적경제 조직은 정부 보조금이나 기업체의 지원금, 일반 시민의 성금에 의존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런 자금 조달 방식이 더 이상 용이하지 않게 된 것이다. 영국은 1980년대 대처주의 아래에서 대대적인 공공 지출 삭감, 공기업 민영화가 이뤄졌고, 그 여파로 수익성이 낮은 공공서비스 분야는 하나둘 사라져갔다. 또한 최근 글로벌 경제위기로 인해 정부 보조금이나 기타 지원금이 줄어들거나 끊기고 있고, 보조금의 성격도 성과 중심 지원 방식이나 차후에 수익을 보장해주어야 하는 투자금 형식으로 바뀌고 있다.
이때 중요한 것이 바로 사업 모델 개발과 사업 영역 개척이다. 오늘날 이는 사회적기업이 추구하는 사회혁신과 사회통합이라는 사회적 미션 수행에서 지속가능성과 자생력을 갖추기 위한 기본 전제이자 필수 요소가 되어가고 있다. 이와 관련해 런던에 위치한 커뮤니티 운송 서비스 제공 사회적기업 ‘해크니커뮤니티운수HCT’의 대표인 다이 파웰은 이렇게 말한다. “기업으로서 존재하는 것이 먼저다. 왜냐하면 이익을 내지 못하면 사회적 사명도 달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HCT는 이를 위해 상업 운송 분야에 뛰어들어 민간기업들과 경쟁했고, 기존의 교통 약자와 취약층 대상 서비스 외에 지역 모임을 위한 단체 운송, 도어투도어 운송, 공공 부문 계약 운송, 노선버스와 통학버스 서비스 등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해 수익을 올리고 있다. 아울러 소규모 지역 운송 조직들의 흡수 합병으로 규모의 경제를 통한 사업 운영의 효율성과 경쟁력 확보라는 혁신적 시도를 하여 안정된 수익 구조를 창출해냈다.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인 ‘커뮤니티링크스’는 41개에 이르는 프로젝트 사업, 고용 알선과 직업훈련 프로그램, 교육과 기술훈련, 기타 조사 활동과 캠페인에서 다채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운용한다. 특히 흥미 위주 프로그램이 아니라 주민의 필요에 맞춤한 프로그램으로 사회적 임무와 수익성을 동시에 구현하고 있다. 예술 분야 사회적기업 ‘아웃오브블루’는 자가 건물 소유를 최우선 과제로 정하고 이를 과감히 실현해냄으로써 안정된 수익을 올리는 기반을 마련했다. 이주민 소수민족 여성 문제 해결을 지향하는 사회적기업 ‘어카운트쓰리’는 자신들의 교육과 컨설턴트 서비스에 대해 공신력 있는 외부 인증을 획득함으로써 경쟁력과 성과를 높인다. 그 밖에 터닝포인트, 움프웰니스, 바이크워크스 등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사회적기업들 모두 이처럼 독자적이고 현실성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갖추고 있기에 사회적 가치 실현이라는 임무를 큰 어려움 없이 수행해나가고 있다.

사회적기업과 사회적기업가를 지원하고 키우다
사회적기업이 성장하는 데는 중간지원조직의 역할도 중요하다. ‘중간지원조직’은 말 그대로 정부와 민간의 중간 역할을 하는 조직으로 이것 없이는 지역사회의 잠재력을 발굴해내기 힘들다. 사회적경제 분야에서는 특히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이 큰 편이다.
세계 최초의 비영리은행 ‘채리티뱅크’는 자신의 여윳돈이 사회적?환경적?인간적으로 더 나은 곳에 사용되기를 원하는 사람들과 사회적경제 조직들을 연결해주는 은행이다. 이를 통해 사사로운 영리 추구보다는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사회적경제 조직들이 필요한 금융 자원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쿱앤커뮤니티파이낸스’는 1만~5만 파운드(약 1700만~8500만 원)의 소액 대출을 제공하여 일반 시중은행에서 대출을 받기 어려운 협동조합을 지원한다. ‘언리미티드’는 사람, 즉 사회적기업가를 키우는 중간지원조직이다. ‘어워드Award'나 대학 연계 프로그램으로 사회적기업가를 양성하고 ‘글로벌 소셜 네트워크’ 사업을 통해 그 시스템과 모델을 전 세계에 알리고 적용하는 일을 한다. ‘영파운데이션’은 사회적기업가를 육성하고, 사회적기업에 대한 정부와 기업의 투자를 이끌어내고 연결하며, 직접 사회적기업을 만들거나 투자하면서 연구와 실천 양면으로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구축해나간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오창호(지은이)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석사 및 박사를 받았으며, 산업자원부 유통물류위원회 위원, 한국인터넷마케팅협회 자문교수를 지냈다. 현재 한신대학교 경영학과 교수이다.

장종익(지은이)

현직 한신대학교 글로벌비즈니스학부 및 대학원 사회적경영학과 교수 학력 • 미주리주립대학교, 농업 및 응용경제학 박사 • 연세대학교, 경제학 학사 및 석사 경력 및 수상 • 현 고용노동부 사회적기업육성위원회 위원 • 현 고용노동부 고용보험기금·산재보험기금 자산운용위원회 위원 • 현 경기도 사회적경제위원회 위원장 • 현 경기연구원 비상임이사 • 현 한국협동조합학회 부회장, 전 편집위원장 • 전 기획재정부 협동조합정책심의회 위원 • 전 대통령 일자리위원회 사회적경제전문위원 • 전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비상임이사 • 전 캐나다 HEC 몬트리올 비즈니스 방문 교수 • 전 (사)한국협동조합연구소 사무국장, 소장 • 전 한살림사업연합 감사, 전 행복중심생협연합회 감사 • 한국사회적기업학회 우수논문상 수상(2017. 1) • 한신대학교 우수교원 수상(2021. 5) 대표적 저역서 • 장종익 외, 『이탈리아와 독일 협동조합 100년 성공의 비결』, 동하, 2019. • 장종익 외, 『비즈니스모델로 본 영국 사회적기업』, 알마, 2015. • 장종익, 『협동조합 비즈니스전략: 개념, 모델, 사례』, 동하, 2014. • 장종익 역, 『21세기의 대안, 협동조합운동』, 들녘, 2003. 대표적 논문 장종익, 2021, “프리랜서의 직업적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 분석과 정책적 함의,” 『노동정책연구』 21(6): 33-61. 장종익, 2020, “협동조합형 소매체인의 상대적 장점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협동조합연구』 38(2): 155-175. 장종익, 2019, “사회적경제 개념에 관한 고찰: 비영리섹터 개념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적기업연구』 12(3): 35-61. 장종익, 2018, “제4차 산업혁명과 협동조합 4.0시대의 도래: 프리랜서협동조합과 플랫폼협동조합의 등장,” 『한국협동조합연구』 36(3): 117-134. Jang, J., T. Kim, H. Hong, C. Yoo, and J. Park, 2018, “Statistical Estimation of Causal Effects of Social Economy on Subjective Well-Being,” VOLUNTAS: International Journal of Voluntary and Nonprofit Organizations , 29(3): 511-525. Jang, J., 2017, “The Emergence of Freelancer Cooperatives in South Korea,” Annals of Public and Cooperative Economics , 88(1): 75-89. 장종익, 2012 “협동조합기본법 제정이후 한국협동조합의 역할과 과제,” 『동향과 전망』, 86: 289-320.

유승태(지은이)

제3시대그리스도교연구소 상임연구원. 한신대 신학대학원에서 기독교윤리 석사과정을 수료하고, ‘작은교회운동’과 사회적 경제의 친밀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신대 사회혁신대학원에서 사회적 경제 석사과정을 이수했다.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배제(노동 배제)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 연구 및 영국 런던 이주민 지역의 사회적 기업 비즈니스모델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현재 신학 연구자이자 성남시 마을 활동가로 활동 중이다.

김태일(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학부 국제학 전공 재학 중

김정원(지은이)

영국 런던에 위치한 사회혁신연구소 스프레드아이(Spread-i) 대표. 스프레드아이는 한국을 비롯, 아시아와 유럽에서 공통으로 관찰되는 다양한 사회 문제를 새로운 방식으로 풀어 나가는 혁신 사례를 발굴하고, 이를 전 세계의 혁신가들과 공유하며 혁신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협업이 필요한 사회혁신 실천가, 정책입안자 및 연구자를 위한 글로벌 지식 공유, 교육, 연구 조사, 디지털 컨텐츠 제작, 네트워킹을 돕는다. 홈페이지(www.spreadi.org)에서 스프레드아이가 수행한 여러 사업을 살펴볼 수 있다.

김현미(지은이)

서울북부두레생협 이사, 서울시협동조합협의회 상호거래위원

문병선(지은이)

사회적기업 (사)서곡생태마을 사무국장

유병학(지은이)

(사)강북주거복지센터 이사. 전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마을기업 인큐베이터

정화령(지은이)

iCOOP협동조합지원센터 교육팀 근무

황세원(지은이)

좋은 일을 하고 있어, 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려면 사회가 어떻게 바뀌어야 할지 연구해 오고 있다. 첫 직장으로 <국민일보>에 들어가 10년간 기자로 일했고, <서울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로 이직한 뒤로는 대학원에서 사회적경제를 전공하기도 했다. 이후 민간독립연구소인 <희망제작소>와 <LAB2050>을 거치며 ‘좋은 일의 기준은 무엇인가?’라는 주제로 연구해 왔다. 특히 청년 세대와 지방도시 관점에서의 좋은 일자리에 관심이 많다. 현재는 <일in연구소> 대표이며 대통령 소속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본위원회 공익위원,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자문위원, 행정안전부 청년 자립 및 활력 사업 평가위원을 맡고 있다.

황호진(지은이)

사회혁신공간 데어 사회혁신기금추진단 근무. 전 한국거래소 팀장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머리말 

1부 사회통합과 사회혁신에 기여하는 사회적기업 

1장 해크니커뮤니티운수: 지역공동체의 핏줄이 되는 사회적기업_오창호 
2장 커뮤니티링크스: 이웃과 이웃을 연결하기 위한 혁신_문병선 
3장 아웃오브블루: 자산 확보로 예술 사업에 날개를 달다_황세원 
4장 어카운트쓰리: 이주민 시대의 사회적기업_유승태 
5장 터닝포인트: 터닝포인트에서 인생의 전환점을 찾다_김현미 
6장 움프웰니스: 요양원 노인의 건강한 삶을 위한 사회적기업_장종익 
7장 바이크워크스: 자전거로 가능한 가치 있는 일, 몇 가지나 될까_황세원 

2부 사회적기업과 사회적기업가를 키우는 지원조직 

8장 채리티뱅크: 영국 사회적경제의 든든한 버팀목_황호진 
9장 쿱앤커뮤니티파이낸스: 마을 협동조합을 위한 작은 은행_유병학 
10장 언리미티드: ‘사람’을 키우는 중간지원조직_정화령 
11장 영파운데이션: 연구와 실천의 양 날개를 가진 중간지원조직_김태일 

3부 영국 사회적기업 제도와 정책 환경_김정원 

영국 사회적기업의 이해 
영국 사회적기업 현황 
주요 사회적기업 관련 중앙정부 지원 정책 
지방정부의 사회적기업 지원 정책 
사회적기업 생태계 
사회적 투자

관련분야 신착자료

Jacobs, F. Robert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