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신개념 의료기기 전망 분석 보고서

신개념 의료기기 전망 분석 보고서 (Loan 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Corporate Author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
Title Statement
신개념 의료기기 전망 분석 보고서 / 식품의약품안전처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Jinhan M&B,   2017  
Physical Medium
121 p. : 삽화, 도표 ; 26 cm
ISBN
9791170099918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112-116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17794
005 20230222144220
007 ta
008 171018s2017 ulkad b 000c kor
020 ▼a 9791170099918 ▼g 935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610.28 ▼2 23
085 ▼a 610.28 ▼2 DDCK
090 ▼a 610.28 ▼b 2017z2
110 ▼a 한국. ▼b 식품의약품안전처 ▼0 AUTH(211009)149715
245 1 0 ▼a 신개념 의료기기 전망 분석 보고서 / ▼d 식품의약품안전처
260 ▼a 서울 : ▼b Jinhan M&B, ▼c 2017
300 ▼a 121 p. : ▼b 삽화, 도표 ; ▼c 26 cm
504 ▼a 참고문헌: p. 112-116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610.28 2017z2 Accession No. 12124192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대표적 유망 기술인 3D 프린팅, ICT, 로봇, 신소재 등이 접목된 의료기기에 대한 개발 현황 등을 제시하여 정부.산업계.학계 등이 의료기기 연구.개발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보고서이다. 보고서의 주요 내용은 3D프린팅 의료기기, ICT 기반 의료기기, 로봇 의료기기, 신소재 의료기기 각각에 대한 시장규모, 개발 현황 및 동향 등이다.

4차 산업혁명으로 과학기술이 융·복합된 새로운 형태의 의료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 현황과 동향을 담은 의료기기 전망 분석 보고서이다. 의료기기분야는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기존의 획일적 대량 생산에서 개별 요구에 맞춘 다양한 제품과 소량 생산이 가능해지면서 일상생활 속에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제품과 의료 서비스가 결합된 제품 등이 연구·개발되고 있다.
이번 보고서는 대표적 유망 기술인 3D 프린팅, ICT, 로봇, 신소재 등이 접목된 의료기기에 대한 개발 현황 등을 제시하여 정부·산업계·학계 등이 의료기기 연구·개발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보고서 주요 내용은 3D프린팅 의료기기, ICT 기반 의료기기, 로봇 의료기기, 신소재 의료기기 각각에 대한 시장규모, 개발 현황 및 동향 등이다.
3D프린팅 의료기기는 시장규모가 전 세계적으로 2015년 6,110억 원에서 해마다 15.4% 증가하여 2021년에는 1조 3,926억 원으로 성장하고, 우리나라는 2015년 87억 원에서 연평균 29.1%씩 성장하여 2021년 403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국내 또는 해외에서 개발된 제품으로는 치아교정기, 임플란트 등 치과용 의료기기, 인공 뼈·관절 등 인체 이식 의료기기, 보청기 등이 있으며 국내에서 허가·신고된 제품으로는 두개골성형재료 3건, 추간체유합보형재 4건, 의료용 가이드 9건 등이 있다.
ICT기반 의료기기는 세계 시장규모가 2020년에는 270조원으로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국내 시장은 2014년 3조원에서 매년 평균 12.5% 성장하여 2020년 14조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의료기관에서만 측정. 수집하던 혈압, 혈당, 심박수 등 환자의 생체정보를 시간과 장소에 제약 없이 측정하여 건강 상태를 수시로 확인. 진단. 치료가 가능해지고 있다.
국내 또는 해외에서는 혈장수치 추적용 모바일 앱, 콘택트렌즈형 안압측정기, 개인용 심전도 측정기, 동맥질환의 징후를 확인하기 위한 관상동맥 진단기 등이 개발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유헬스케어 게이트웨이 13건, 유헬스케어 혈당측정기 2건 등이 허가·신고돼 있다.
유헬스케어 게이트웨이는 원격진료를 위해 유헬스케어 의료기기에서 수집된 생체정보를 유무선 기술로 수집해 서버로 중계하는 기구 또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로봇 의료기기는 어르신이나 신체 활동이 불편한 사람을 대상으로 생활을 보조하거나 관절 등의 신체 회복을 도와 줄 수 있는 재활로봇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국내 수술로봇은 시장규모가 연평균 45.1% 대폭 증가하고 있으며 2018년에는 566억 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무인화 수술로봇, 혈관을 타고 다니면서 병변을 관찰하거나 검사·치료하는 마이크로로봇, 의사와 환자가 원격으로 상담할 수 있도록 활용되는 로봇 등이 연구·개발 중이며 국내에서 허가된 제품으로는 자동화시스템로봇수술기 7건, 로봇보조정형용운동장치 15건 등이 있다.
신소재 의료기기는 심혈관 질환에 사용되는 관상동맥스텐트, 조직과 뼈를 지지하거나 보호하는 이식용메쉬 등이 개발됐다. 국내에서는 특수재질골접합용나사 86건, 관상동맥스텐트 2건 등이 허가되어 있다.
바이오기술과 고분자, 금속, 세라믹 등 인체에 분해, 흡수되는 생체재료를 의료기기에 접목시켜 만든 제품이며 인공혈관·인공피부·인공힘줄·인공심장, 화상치료제, 봉합사 등 응용·활용 분야가 다양하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의료기기 산업 동향 
가. 산업 형태의 변화 
나. 신개념 의료기기의 정의 

Ⅱ. 본 론 

제1장 3D 프린팅 의료기기 
1. 3D 프린팅 의료기기 개요 
2. 국내ㆍ외 3D 프린팅 의료기기 시장 
3. 국내ㆍ외 기술 현황 
4. 3D 프린팅 의료기기 활용 사례 
5. 특허 및 임상, 논문 현황 
6. 기술 개발 동향 
7. 3D 프린팅 의료기기 개발 전망 

제2장 ICT 기반 의료기기 
1. ICT 기반 의료기기 개요 
2. 국내ㆍ외 의료기기 시장 
3. 국내ㆍ외 기술 현황 
4. ICT 기반 의료기기 활용 사례 
5. 특허 및 임상 현황 
6. 기술 개발 동향 
7. ICT 의료기기 기술 개발 전망 

제3장 로봇 의료기기 
1. 로봇 의료기기 개요 
2. 국내ㆍ외 로봇 의료기기 시장 
3. 국내ㆍ외 기술 현황 
4. 로봇 의료기기 활용 사례 
5. 특허 및 임상 현황 
6. 기술 개발 동향 
7. 로봇 의료기기 개발 전망 

제4장 신소재 의료기기 
1. 신소재 의료기기 개요 
2. 신소재 의료기기 시장 
3. 신소재 의료기기 활용 사례 
4. 특허 및 임상 현황 
5. 기술 개발 동향 
6. 신소재 의료기기 개발 전망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강연석 (2023)
亜留間次郎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