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17195 | |
005 | 20180828140443 | |
007 | ta | |
008 | 171011s2014 ulka 6 000c kor | |
020 | ▼a 9788937834806 (v.1) ▼g 07670 | |
020 | ▼a 9788937834813 (v.2) ▼g 07670 | |
020 | ▼a 9788937834820 (v.3) ▼g 07670 | |
020 | 1 | ▼a 9788937834837 (세트) |
035 | ▼a (KERIS)BIB000013616285 | |
040 | ▼a 211048 ▼c 211048 ▼d 211048 ▼d 211009 | |
082 | 0 4 | ▼a 781.6609 ▼2 23 |
085 | ▼a 781.6609 ▼2 DDCK | |
090 | ▼a 781.6609 ▼b 2014 | |
100 | 1 | ▼a 남무성 ▼0 AUTH(211009)68881 |
245 | 1 0 | ▼a Paint it rock : ▼b 남무성의 만화로 보는 록의 역사 = ▼x A comic book of rock history / ▼d 남무성 지음 |
246 | 3 1 | ▼a Comic book of rock history |
250 | ▼a [개정판] | |
260 | ▼a 서울 : ▼b 북폴리오 : ▼b 미래엔, ▼c 2014 ▼g (2015-2018) | |
300 | ▼a 3책(361 ; 347 ; 310 p.) : ▼b 삽화(일부천연색) ; ▼c 22 cm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81.6609 2014 1 | 등록번호 11177952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81.6609 2014 1 | 등록번호 111779521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0-10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81.6609 2014 2 | 등록번호 111795926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0-04 | 예약 예약가능(1명 예약중)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81.6609 2014 3 | 등록번호 11177952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781.6609 2014 1 | 등록번호 15134572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81.6609 2014 1 | 등록번호 11177952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81.6609 2014 1 | 등록번호 111779521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0-10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81.6609 2014 2 | 등록번호 111795926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0-04 | 예약 예약가능(1명 예약중)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81.6609 2014 3 | 등록번호 11177952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781.6609 2014 1 | 등록번호 15134572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2009년 출간된
방대한 록의 역사와 장르의 흥망성쇠를 일목요연하게 짚어내면서도 작가 특유의 거침없는 풍자와 비속어가 뒤섞여 역사서가 주는 편견을 말끔히 씻어내고 있다. 에피소드 별로 흥망성쇠를 거듭하는 장르와 당대의 아이콘이었던 록스타들의 기승전결 뚜렷한 스토리텔링, 그리고 치밀하게 짜여진 구성이 독자들을 거대한 락의 세계로 쉽게 몰입해 들어가게 한다.
개성 있는 그림체와 유머, 해박한 음악적 지식으로 마니아들의 절대적 지지를 얻고 있는 작가 남무성의 『Paint It Rock, 만화로 보는 록의 역사』가 3부작으로 완간되었다. 『Paint It Rock, 만화로 보는 록의 역사』은 『Jazz It Up, 만화로 보는 재즈의 역사』와 더불어 저자의 대표 시리즈로 그 첫 권은 2009년에 발표되어 베스트셀러에 오른 바 있다. 배철수, 성시완, 신대철, 장기호와 같은 전문 음악인들이 추천하고 독자들의 뜨거운 호평이 있었던 만큼 록의 가이드로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일본 음반 전문 유통사인 디스크 유니온(Disk Union)과 계약을 맺고 올해 출간되어 현지에서 큰 호응을 얻기도 했다.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록의 탄생부터 성장기를 다룬 전편에서 아쉬웠던 사항들을 교정하고 리뉴얼한 『Paint It Rock 1』과 함께 출간되는 2, 3편은 못다한 70년대 이야기부터 2000년대에 이르는, 록 역사 대장정이다. 전편의 주인공들이었던 엘비스 프레슬리와 비틀즈, 롤링 스톤스, 에릭 클랩튼, 레드 제플린에 이어 블랙 사바스, 딥 퍼플, 퀸이 프롤로그를 장식하며 데이빗 보위, 이글스를 거쳐 메탈리카, 너바나, 그린데이, 오아시스, 라디오헤드로 이어지는 록 스타들의 숨가쁜 릴레이가 펼쳐진다.
방대한 록의 역사와 장르의 흥망성쇠를 일목요연하게 짚어내면서도 작가 특유의 거침없는 풍자와 비속어가 뒤섞여 역사서가 주는 편견을 말끔히 씻어내고 있다. 록, 나아가 팝음악의 전공자부터 그저 가벼운 관심을 가진 입문자까지 두루두루 즐길 수 있는 필독서가 될 것이다.
[출판사 리뷰]
『Paint It Rock』은 내 소년 시절을 지배했던 록 음악에 대한 이야기다. 그렇다고 일방적인 록의 예찬서는 아니다. 한때 로커들에게 “당신들에게도 재즈만큼 치열했던 순간이 있었느냐”고 따져 묻던 내가 갑자기 록을 최고라고 추켜세우는 것도 어색한 모습일 것이다.
그래서 부분적인 평가는 전적으로 내가 느낀 것만큼, 하고 싶은 이야기를 당당하게 썼다.
그래야 흔히 말하는 ‘록 스피릿’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 '작가의 말' 중
1950년대에서 1970년대까지 록의 탄생부터 성장기까지
“오늘도 신나게 달려볼까요? 로큰롤 파티를 시작합니다!”
1951년 미국 클리블랜드의 인기 디제이 앨런 프리드가 리듬 앤 블루스(R&B)를 다르게 표현하고 싶어 외친 그 ‘로큰롤(Rock' n' Roll)’이라는 단어에서 록(Rock)은 발아한다. 그렇게 탄생한 로큰롤은 블루스가 더 이상 흑인의 전유물이 아니라는 생각을 널리 전파하며 진화를 거듭해나간다. 이처럼 『Paint It Rock 1』은 1950년대에서 1970년대까지 록의 탄생부터 성장기를 더듬어 간다. 척 베리부터 엘비스 프레슬리로 대표되는 로큰롤과 밥 딜런을 중심으로 한 포크, 혼돈과 저항의 60년대 사회상, 비틀즈를 선두로 영국의 록이 미국을 침공했다고 이름 붙여진 브리티시 인베이전(British Invasion), 크림으로 대표되는 헤비 블루스와 하드록, 히피 운동과 사이키델릭 록 그리고 프로그레시브 록까지 실로 방대한 내용을 담고 있어 중간 중간 작가의 자조섞인 말처럼 글이 지나치게 많은 만화다. 하지만 이러한 내용들이 단순히 연대기적으로 성실하게만 나열되었다면 이 책이 예술/음악 코너의 시장적 한계를 뚫고 나와 그처럼 큰 호응을 얻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에피소드 별로 흥망성쇠를 거듭하는 장르와 당대의 아이콘이었던 록스타들의 기승전결 뚜렷한 스토리텔링, 그리고 치밀하게 짜여진 구성이 이 거대한 세계로 쉽게 몰입해 들어가게 한다.
만화 특유의 한계없는 상상력,
거침없는 솔직함과 유머가 빛나는 다큐멘터리 툰(toon)
당시 사회의 모습과 뮤지션들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일들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만화라는 장치는 더없이 적절하게 활용된다. 캐리커쳐로 표현된 과거 뮤지션들이 등장해 당시의 일들을 재현하고 그 사이사이 관련 인터뷰 컷이 삽입되어 마치 다큐멘터리처럼 눈 앞에 펼쳐진다. 그래서 록 그룹 ‘시나위’의 리더로 유명한 신대철은 추천사를 통해 “마치 그 사건들을 목격이라도 한 것처럼 생동감 있게 표현한 작화에는 찬사를 보낼 수밖에 없다”고 하기도 했다. 또한 손석희 사회로 송대관, 버디 홀리, 남진 등을 연상케하는 캐릭터들이 출현하여 앨비스 프레슬리가 왜 대단한 가수인지를 토론하는 장면이라든지, 약물 중독으로 요절한 세 명의 천재 뮤지션, 지미 헨드릭스와 재니스 조플린, 짐 모리슨을 두고 ‘록계의 대표적인 약사들’이라고 표현한다든지, 조지 해리슨의 부인 패티 보이드에게 끈질긴 구애를 했던 에릭 클랩튼을 저자가 대포집에서 나무라는 장면이 등장하는 등, 만화 특유의 한계없는 상상력과 거침없이 솔직한 저자 특유의 어법으로 이야기는 활기가 넘친다. 사실 이러한 과감함은 깊은 이해에서 비롯된 자신감이다. “이야기를 쓰면 쓸수록 빠져나올 수 없는 마약 같다”는 생각이 들기까지 했다는 고백처럼 저자의 소년 시절을 온통 지배했던 록 음악에 대한 깊은 애정과 해박한 지식을 통한 이해가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그 과감함 자체가 ‘록 스피릿’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이번에 출간되는 『Paint It Rock 1』은 2009년에 나온 전작의 오탈자와 시기적인 표기, 오류를 꼼꼼히 수정하고 서체를 손보는 등의 리뉴얼 작업을 거쳐 소장 가치를 더욱 높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남무성(지은이)
한국 최초의 재즈 전문 월간지 <몽크뭉크(현 MMJAZZ)>를 창간하여 발행인 겸 편집인을 지냈으며(1997년 11월~1999년 2월) 이후 재즈 전문 월간지 <두밥(Doobop)>에서 편집인을 역임했다(1999년 3월~2001년 1월). 당시 한국의 재즈 연주인들을 대상으로 한 재즈 부문 시상식 ‘Doobop Jazz Awards’를 제정하여 시상식을 거행했고, ‘New Jazz Voice Concert’, ‘The Quartet Concert’, ‘대한민국 재즈 페스티벌 2000’ 등의 재즈공연을 주최, 혹은 기획에 참여했고, 2002년 5월에는 가수 서영은의 3집 앨범 <Kiss of Breeze>를 프로듀싱했다. 2003년과 4년에는 직접 쓰고 그린 ≪jazz it up!-만화를 보는 재즈역사 100년≫ 1, 2편을 출간하였다. 동년 11월에 문화컨텐츠진흥원에서 주최한 ‘대한민국 만화대상’에서 특별상을 수상했으며 2004년에는 문광부 후원으로 전국 14개 도시에서 재즈 워크숍 강연을 펼쳤다. 2005년 1월부터 현재까지 일본의 세계적인 재즈전문지 ≪스윙저널≫에 원고를 연재하고 있으며, 2005년 12월에 재즈 트리오 ‘젠틀레인’의 앨범, 2006년에는 색소포니스트 이정식의 프리재즈 앨범의 프로듀서를 맡았다. 그 외 다양한 매체를 통해 재즈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www.jazzlife.co.kr

목차
[1권] 추천의 글 6 작가의 말 20 프롤로그 29 록 앤 롤이라는 용어 Rock&Roll 41 척 베리 Chuck Berry 47 로큰롤의 스타들 51 패츠 도미노 Fats Domino 52 제리 리 루이스 Jerry Lee Lewis / 칼 퍼킨스 Carl Perkins 65 밥 딜런 Bob Dylan과 포크 Folk 70 우디 거스리 Woody Guthrie 76 혼돈과 저항의 60년대 83 영국의 로큰롤 84 비틀즈 The Beatles 85 머시 사운드 Mersey Sound 92 크로대디 클럽의 어느 날 93 야드버즈 The Yardbirds 98 비틀즈의 빌보드 융단폭격 106 브리티시 인베이전 British Invasion 110 롤링 스톤스 The Rolling Stones 112 애니멀스 The Animals 121 더 후 The Who 122 누벨바그 Nouvelle Vague 126 토미 Tommy 131 서프뮤직 Surf Music 132 비치 보이스 The Beach Boys 133 포크 록 Folk Rock 139 - Mamas & Papas / The Lovin'' Spoonful / Simon & Garfunkel Neil Young / Crosby, Stills & Nash / Seals & Crofts / Joni Mitchell / The Band 브리티시 블루스 British Blues 150 마키클럽의 죽돌이들 154 브리티시 헤비 블루스┃크림 Cream 158 히피 무브먼트 & 사이키델릭 록 Hippie Movement & Psychedelic Rock 164 - Grateful Dead / Jefferson Airplane 지미 헨드릭스 Jimi Hendrix 172 브라이언 엡스타인의 죽음 180 재니스 조플린 Janis Joplin 183 크림의 해체 188 스펜서 데이비스 그룹 The Spencer Davis Group 190 블라인드 페이스 Blind Faith 191 트래픽 Traffic 196 롤링 스톤스의 197 비틀즈의 후기 작품들 199 슈퍼 세션과 블루스 록 211 라이트닝 홉킨스 Lightnin’ Hopkins 214 우드스탁 Woodstock 224 히피 운동과 사이키델릭 록의 종결 228 프랭크 자파 Frank Zappa 229 도어즈 The Doors 234 벨벳 언더그라운드 The Velvet Underground 244 롤링 스톤스의 비극 251 레일라 Layla 253 옥상 콘서트 The Rooftop Concert 264 3J의 죽음 272 프로그레시브 록 Progressive Rock Part 1 279 제네시스 Genesis 284 핑크 플로이드 Pink Floyd 291 킹 크림슨 King Crimson 301 - Members of King Crimson 308 록시뮤직 Roxy Music 310 뉴 트롤즈 New Trolls 320 ELP와 Yes 324 프로콜 하럼Procol Harum / 릭 웨이크먼Rick Wakeman 330 브라이언 이노 Brian Eno 332 레드 제플린Led Zeppelin과 헤비메탈 335 미국의 하드록 American Hard Rock 353 [2권] 추천의 글 4 작가의 말 11 프롤로그 17 블랙 사바스 Black Sabbath 38 딥 퍼플 Deep Purple 49 토미 볼린과 헤비메탈의 표현 양식 67 제프 벡 Jeff Beck 68 플리트우드 맥 Fleetwood Mac 78 CCR과 두비 브라더스 CCR & Doobie Brothers 90 이글스 Eagles 100 컨트리 록Country Rock에 관한 단상 107 레너드 스키너드와 올맨 브라더스 Lynyrd Skynyrd & The Allman Brothers Band 108 짧지만 치열했던 서던 로커들의 역사 126 데이빗 보위 David Bowie 127 글리터 록 Glitter Rock 137 퀸 Queen 138 엘튼 존의 미국 데뷔 Elton John 149 트루바두르의 두 사람 | 톰 웨이츠 Tom Waits 156 플리트우드 맥 2 165 딥 퍼플 패밀리 170 헤비메탈의 시대 Age of Heavy Metal 180 에어로스미스 Aerosmith 185 주다스 프리스트 Judas Priest 186 러쉬 Rush 198 씬 리지 Thin Lizzy 207 AC/DC 212 스콜피언스 Scorpions 218 랜디 로즈의 죽음 Randy Rhoads 223 콰이어트 라이엇 Quiet Riot 225 펑크록 | 섹스 피스톨즈와 더 클래쉬 Punk Rock 226 브라이언 이노와 토킹헤즈 Brian Eno & Talking Heads 264 노웨이브 No Wave 265 황제의 최후 | Elvis Presley 266 포스트 펑크에서 뉴웨이브로 | 조이 디비전 Joy Division 268 버즈콕스 Buzzcocks 273 더 큐어 The Cure 274 고딕(Gothic)과 고스(Goth) 275 바우하우스의 앨범 《벨라루고시의 죽음》 276 비틀즈, 그 후 The Beatles 278 프로그레시브 록 2 Progressive Rock 2 302 캔터베리 록 Canterbury Rock 303 마이크 올드필드 Mike Oldfield 320 크라우트록과 탠저린 드림 Krautrock 329 클라투 Klaatu 339 [3권] 추천의 글 4 작가의 말 9 브루스 스프링스틴 Bruce Springsteen 13 티어스 포 피어스 Tears for Fears 22 80년대 소프트록 Soft Rock 28 - REO Speedwagon / Journey / ELO / Toto / Asia / Styx - Foreigner / Dire Straits / Chicago / Boston 팝Pop과 프로그레시브 록Progressive Rock의 만남 60 - Supertramp / The Alan Parsons Project / Yes / Jon&Vangelis / The Moody Blues 팝 메탈 Pop Metal 75 반 헤일런 Van Halen 76 본조비 Bon Jovi 85 데프 레퍼드 Def Leppard 92 메탈리카 Metallica 100 메가데스 Megadeth 120 건즈 앤 로지스 Guns N? Roses 140 아이언 메이든 Iron Maiden 149 판테라 Pantera 160 퀸 Queen 2 172 프랭크 자파의 그래미 수상 거부 Frank Zappa 177 안타까운 죽음들 | Roy Buchanan, Stevie Ray Vaughan 182 텍사스 블루스 록, 그 끈적거림의 계보 190 유투 U2 191 알이엠 R.E.M. 198 얼터너티브 록 Alternative Rock 205 레드 핫 칠리 페퍼스 Red Hot Chili Peppers 206 너바나 Nirvana 224 커트 코베인 죽음의 미스터리 250 드림 시어터 Dream Theater 260 모던 록과 브릿팝 Modern Rock&BritPop 267 그린데이 Green Day 268 오아시스 Oasis 274 더 스미스 The Smiths 287 라디오헤드 Radiohead 288 Modern Rock etc. 295 - Suede / Placebo / Muse / NIN / Coldplay 에필로그 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