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불안 : 불안과 공포의 뇌과학 (Loan 2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LeDoux, Joseph E. 임지원, 역
Title Statement
불안 : 불안과 공포의 뇌과학 / 조지프 르두 지음 ; 임지원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Invention,   2017  
Physical Medium
559 p. : 삽화 ; 24 cm
Varied Title
Anxious : using the brain to understand and treat fear and anxiety
ISBN
9788971906026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456-557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Anxiety --Treatment Anxiety disorders --Treatment Fear --Treatment Brain --Research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17166
005 20171011155707
007 ta
008 171011s2017 ulka b 000c kor
020 ▼a 9788971906026 ▼g 03400
035 ▼a (KERIS)BIB000014605557
040 ▼a 211029 ▼c 21102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616.85/22 ▼2 23
085 ▼a 616.8522 ▼2 DDCK
090 ▼a 616.8522 ▼b 2017
100 1 ▼a LeDoux, Joseph E.
245 1 0 ▼a 불안 : ▼b 불안과 공포의 뇌과학 / ▼d 조지프 르두 지음 ; ▼e 임지원 옮김
246 1 9 ▼a Anxious : ▼b using the brain to understand and treat fear and anxiety
260 ▼a 서울 : ▼b Invention, ▼c 2017
300 ▼a 559 p. : ▼b 삽화 ; ▼c 24 cm
504 ▼a 참고문헌: p. 456-557
650 0 ▼a Anxiety ▼x Treatment
650 0 ▼a Anxiety disorders ▼x Treatment
650 0 ▼a Fear ▼x Treatment
650 0 ▼a Brain ▼x Research
700 1 ▼a 임지원, ▼e▼0 AUTH(211009)75900
900 1 0 ▼a 르두, 조지프, ▼e
945 ▼a KLPA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6.8522 2017 Accession No. 11177950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Call Number 616.8522 2017 Accession No. 15133698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6.8522 2017 Accession No. 11177950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Call Number 616.8522 2017 Accession No. 15133698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신경과학자 조지프 르두가 불안과 공포를 뇌과학으로 설명한 책. 르두는 최신의 생물학, 신경과학, 철학, 그리고 불안과 공포의 심리학을 검토하면서 불안이 무엇인지, 불안이 인간에게 어떤 식으로 해롭게 작용하며, 관련 장애들을 어떻게 치료해야 하는지 풀어간다. 대중적인 믿음과 반대로 르두는 불안이 선천적인 반응이 아니며, 시간이 흐르면서 삶의 경험이 그 씨를 뿌리고 키워나간다고 주장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해 불안과 연합한 생리적 반응(땀, 근육의 긴장, 심박수 증가)이 궁극적으로 우리 뇌의 화학적 성질을 변화시킨다는 얘기다.

공포는 직접적인 위협에 의해 촉발되는 반면, 불안은 지각된 위협에 대한 더 은밀한 반응이다. 우리는 미래의 가상 시나리오를 생각하거나 과거의 불쾌한 기억을 떠올릴 때 불안해진다. 이렇게 불안은 현재뿐만 아니라 과거와 미래까지 이어져 우리의 마음과 행동을 쥐고 흔든다. 결정과 행동에 반복해서 영향을 주는 정신적, 신체적 증상이 역치를 넘을 때, 불안은 정신 장애로 이어진다. 높은 곳을 두려워하는 사람이 있다. 이런 사람은 엘리베이터를 타거나, 계단을 오르거나, 창밖을 내다보는 것 등을 피하느라 큰 고통을 겪을 것이다.

신경과학자 조지프 르두
불안과 공포를 뇌과학으로 설명하다


르두는 『불안』에서 혁명적인 주장을 세운다. 우리는 공포와 불안을 잘못된 방식으로 이해하고 있다. 공포나 불안 같은 정서는 뇌에서 촉발되기를 기다리고 있는 선천적인 상태가 아니라, 우리가 인지적으로 만들어가는 경험이다. 이 문제를 치료하려면 의식적 현상과 그 근간에 있는 비의식적 과정을 모두 다루어야 한다. 뇌의 작동 방식에 대한 지식이 새로운 약물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돕겠지만, 르두는 뇌 연구로 심리치료를 재구성하는 데서 최고의 돌파구가 나올 것이라 주장한다.

우디 앨런의 <애니 홀>
알프레드 히치콕의 <현기증>
롤링 스톤즈의 <엄마의 작은 조력자>
문화적 상징이 된 “불안”의 시대


기억과 정서에 관한 세계적인 전문가이자 뉴욕대학교 교수인 조지프 르두는, 현대는 불안의 시대이며 다양한 문학, 영화, 음악에서 불안이 문화적 구심점 역할을 한다고 말한다. 여러 병리학적 증상에도 불구하고, 그는 불안이 삶의 자연스러운 한 부분이라 말한다. 미국 불안 및 우울증 협회에서 추정하는 바로는, 미국에서 약 4,000만 명의 성인이 불안 장애를 앓고 있다.

『불안』에서 르두는 최신의 생물학, 신경과학, 철학, 그리고 불안과 공포의 심리학을 검토하면서 불안이 무엇인지, 불안이 인간에게 어떤 식으로 해롭게 작용하며, 관련 장애들을 어떻게 치료해야 하는지 풀어간다. 대중적인 믿음과 반대로 르두는 불안이 선천적인 반응이 아니며, 시간이 흐르면서 삶의 경험이 그 씨를 뿌리고 키워나간다고 주장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해 불안과 연합한 생리적 반응(땀, 근육의 긴장, 심박수 증가)이 궁극적으로 우리 뇌의 화학적 성질을 변화시킨다는 얘기다.

공포는 직접적인 위협에 의해 촉발되는 반면, 불안은 지각된 위협에 대한 더 은밀한 반응이다. 우리는 미래의 가상 시나리오를 생각하거나 과거의 불쾌한 기억을 떠올릴 때 불안해진다. 이렇게 불안은 현재뿐만 아니라 과거와 미래까지 이어져 우리의 마음과 행동을 쥐고 흔든다. 결정과 행동에 반복해서 영향을 주는 정신적, 신체적 증상이 역치를 넘을 때, 불안은 정신 장애로 이어진다. 높은 곳을 두려워하는 사람이 있다. 이런 사람은 엘리베이터를 타거나, 계단을 오르거나, 창밖을 내다보는 것 등을 피하느라 큰 고통을 겪을 것이다.

동물 의식과 기억 삭제


동물도 인간과 같은 종류의 의식을 가질까? 아니면 단지 자극-반응 메커니즘이 의식을 가진 것처럼 보이는 것일까? 르두는 관행적인 동물 연구로 인해, 동물 의식을 받아들이는 과학자들의 태도가 지나치게 무비판적이 되었다고 지적한다. 그는 동물 의식에 관한 자기 입장을 밝히며, 관련 연구들을 소개한다. 또 그는 미셸 공드리 감독의 영화 <이터널 선샤인>을 들어, 과학계를 흥분시켰던 기억의 응고와 재응고 메커니즘, 자신이 시도한 약물 주입을 통한 기억 삭제 연구에 대해서도 상세히 밝힌다.

전반적으로, 르두는 불안과 공포라는 이 복잡한 정서의 초상을 완전히 그려내는 데 성공한다. 『불안』은 전문가들은 물론, 비전문가도 충분히 이해할 만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의 삶과 관련된 재밌는 일화들 그리고 철학, 동물 심리학에 관한 흥미로운 아이디어를 읽는 재미는 덤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조지프 르두(지은이)

세계적인 신경과학자. 뉴욕대학교 신경과학·심리학 교수. 설치류를 이용한 감정 관련 행동 연구, 특히 파블로프 조건화를 이용해 편도체가 뇌의 ‘두려움 중추’라는 것을 밝힌 연구로 유명하다. 1949년생으로, 루이지애나주립대학원 때 심리학에 뒤늦게 관심을 가지고 공부를 시작했다. 인지신경과학계의 거두인 마이클 가자니가의 지도 아래 ‘분열뇌’ 환자 연구로 뉴욕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코널 의대 신경생물학 연구실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하며 신경과학 기술을 익혔고, 본격적으로 감정과 기억의 뇌 기제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1989년 부임한 이래 지금까지 뉴욕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005년 뉴욕대를 대표하는 석학이자 학문의 경계를 넘어선 최고의 학자에게 부여하는 명예로운 칭호인 ‘유니버시티 프로페서’에 임명되었으며, 뉴욕대학교 감정뇌연구소 소장, 막스플랑크언어·음악·감정연구소 부소장도 맡고 있다. 한편, 2004년부터 뉴욕대 교수·박사·대학원생들과 함께 마음과 뇌를 노래하는 포크록 밴드 ‘아미그달로이드’(편도체)를 결성해 리드싱어이자 작사·작곡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스승 마이클 가자니가와 함께 쓴 《통합된 마음》 외에 《느끼는 뇌》 《시냅스와 자아》 《불안》이 있으며, 엮은 책으로 《마음과 뇌: 인지신경과학의 대화》 《자아: 영혼에서 뇌까지》 등이 있다.

임지원(옮긴이)

서울대학교와 대학원에서 식품영양학을 전공했습니다. 식품과 생명 현상 뒤에 숨어 있는 과학적 원리를 공부하는 데 흥미와 관심이 많습니다. 엄마가 된 이후에는 삶의 열정을 둘로 나누어 과학책을 읽고 번역하는 일과 두 아이를 키우는 일에 쏟았습니다. 그동안 《스피노자의 뇌》 《에덴의 용》 《일상적이지만 절대적인 화학지식 50》 《기발한 과학책》《지구의 역사를 바꾼 9가지 자연재해》 등 많은 과학 도서를 번역했습니다. 아이들이 세상 모든 것의 작동 원리인 과학에 흥미를 느끼고 그 비밀을 알아나가는 기쁨을 발견하는 데 작은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첫 책의 주제로 영양소를 골랐습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서문 5 

01장 불안과 공포의 아수라장 17 
02장 정서의 뇌를 다시 생각하기 45 
03장 이불 밖은 위험해 82 
04장 방어하는 뇌 120 
05장 우리의 정서는 동물 조상에게서 온 것일까? 157 
06장 의식의 물리학 198 
07장 개인의 문제: 기억은 의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까? 241 
08장 느낌: 정서 의식 268 
09장 4천만 명의 불안한 뇌 306 
10장 불안한 뇌의 개조 338 
11장 치료: 실험실의 교훈 365 

주 411 
참고 문헌 456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대한비과학회 (2022)
대한수면학회 (2022)
Spinelli, Ernesto (2023)
Greenberg, Leslie S. (2023)
Razzaque, Russell (2023)
대한전립선학회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