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신자유주의 교육정책, 계보와 그 너머 : 세계화, 시민성, 민주주의

신자유주의 교육정책, 계보와 그 너머 : 세계화, 시민성, 민주주의 (Loan 19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Olssen, Mark Codd, John A., 저 O'Neill, Anne-Marie, 1959-, 저 김용, 역
Title Statement
신자유주의 교육정책, 계보와 그 너머 : 세계화, 시민성, 민주주의 / 마크 올슨, 존 코드, 앤 마리 오닐 지음 ; 김용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이시습,   2015  
Physical Medium
vi, 502 p. ; 23 cm
Varied Title
Education policy : globalization, citizenship and democracy
ISBN
9791130421056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463-495)과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Education and state Democracy and education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16698
005 20170928114751
007 ta
008 170927s2015 ulk b 001c kor
020 ▼a 9791130421056 ▼g 93370
035 ▼a (KERIS)BIB000013789583
040 ▼a 244004 ▼c 244004 ▼d 245017 ▼d 245017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79 ▼2 23
085 ▼a 379 ▼2 DDCK
090 ▼a 379 ▼b 2015z1
100 1 ▼a Olssen, Mark ▼0 AUTH(211009)112831
245 1 0 ▼a 신자유주의 교육정책, 계보와 그 너머 : ▼b 세계화, 시민성, 민주주의 / ▼d 마크 올슨, ▼e 존 코드, ▼e 앤 마리 오닐 지음 ; ▼e 김용 옮김
246 1 9 ▼a Education policy : ▼b globalization, citizenship and democracy
260 ▼a 서울 : ▼b 학이시습, ▼c 2015
300 ▼a vi, 502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463-495)과 색인수록
650 0 ▼a Education and state
650 0 ▼a Democracy and education
700 1 ▼a Codd, John A., ▼e▼0 AUTH(211009)56430
700 1 ▼a O'Neill, Anne-Marie, ▼d 1959-, ▼e▼0 AUTH(211009)76719
700 1 ▼a 김용, ▼e▼0 AUTH(211009)93541
900 1 0 ▼a 올슨, 마크, ▼e
900 1 0 ▼a 코드, 존, ▼e
900 1 0 ▼a 오닐, 앤-마리,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79 2015z1 Accession No. 11179777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9 2015z1 Accession No. 11177910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9 2015z1 Accession No. 11179725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저자들은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에 반대하며 미셸 푸코의 저작들에서 이론적·방법론적 통찰을 이끌어 낸다. 정책을 정치적·사회적·역사적으로 맥락화한 실천으로 보고 교육정책을 비판적으로 ‘읽는’ 방법에 집중한다. 즉 교육정책은 무엇이며, 왜 중요하고,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를 중심으로 교육정책을 이해하고, 개념화하며, 분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저자들은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에 대한 심각한 문제의식이 있다. 신자유주의는 공적 성격을 가지는 교육을 사사화해 민주주의를 침식하고 인류에 대한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한다. 이 책은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의 철학과 역사를 개관하고, 푸코의 담론 분석을 도구로 신자유주의 교육정책 담론을 분석한다. 세계화 시대에 걸맞은 민주주의와 시민성을 함양하는 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성긴 공동체주의와 교육국가 개념을 제안한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의 철학과 역사
● 신자유주의 교육 철학 논리 분석과 비판
● 푸코의 담론 분석을 도구로 신자유주의 교육정책 담론 분석
● 세계화 시대에 걸맞은 민주주의와 시민성을 함양하는 교육의 필요성 주장
● 성긴 공동체주의와 교육국가 개념 제안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마크 올슨(지은이)

영국 서리대학교(University of Surrey) 정치학과 교수다. 교육정책과 정치 이론을 강의한다. 근래에는 고등교육 정책, 규범적 정치 이론과 철학, 미셸 푸코와 교육정책 등의 주제를 연구한다. 마이클 피터스(Michael A. Peters)와 함께 쓴 논문 “Neoliberalism, higher education and the knowledge economy: from the free market to knowledge capitalism”은 교육정책 분야의 가장 권위 있는 학술지인 Journal of Education Policy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논문의 영예를 누렸다. 저서로는 Liberalism, Neoliberalism, Social Democracy: thin communitarian perspectives on political philosophy and education (2010), Toward A Global Thin Community: Nietzsche, Foucault, and the Cosmopolitan Commitment(2009), Michel Foucault: Materialism and Education(1999) 등이 있다.

존 코드(지은이)

뉴질랜드 매시대학교(Massey University)에서 교육정책 사회학을 강의했으며 2007년 작고했다. 대학교수가 되기 전에는 중등학교 교사로 일했으며, 교육철학과 교육정책, 교육과정 개발과 평가 등을 연구했다. 유수한 국제 학술잡지에 영향력 있는 논문을 많이 게재했다. 뉴질랜드의 교사 잡지 New Zealand Journal of Teachers’ Work에서 그의 죽음을 추모하면서 “뉴질랜드의 교사 가운데 그의 말을 들어본 적이 없거나 그의 책을 읽은 적이 없거나 그와 함께 공부하지 않은 사람은 찾기 어려울 것”이라 했을 정도로 뉴질랜드 교육계에 그의 공헌은 지대했다. 저서로는 Education & Society in Aotearoa New Zealand: An Introduction to the Social and Policy Contexts of Schooling and Education(2000)이 있다.

앤 마리 오닐(지은이)

뉴질랜드 매시대학교(Massey University)에서 교육과정 사회학, 교육 정책 사회학, 성과 교육 등을 연구하며 강의한다. 정치 이론, 여성주의, 비판사회 이론 등을 활용해 교육에서의 생산과 재생산에 연구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신자유주의 통치성 개념을 활용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Reshaping Culture, Knowledge and Learning: Policy and content in the New Zealand Curriculum Frame- work(2004), Critically Examining the New Zealand Curriculum Framework: Contexts, Issues and Assessment(2004)가 있다.

김용(옮긴이)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문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교육학박사) 충북대학교 대학원 법학과(법학박사)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교수 학교자율운영 2.0 - 학교개혁의 전개와 전망(2019, 살림터) 법화사회의 진전과 학교 생활세계의 변용(교육행정학연구 제35권 제1호, 2017) 외 다수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한국어판 서문 v 

01	세계화 시대의 교육정책 읽기 1 
교육정책 읽기 3 
세계화 이론 7 
새로운 세계 질서에서 민족 국가 13 
세계화, 자유주의 그리고 신자유주의 18 
교육정책의 맥락 23 

02	푸코의 후기구조주의 27 
푸코의 마르크스주의 비판 27 
푸코의 인식론: 지식-권력 31 
담론 35 
푸코와 국가 37 
통치성 39 
사목권력 41 
국가 이성과 내치 42 
자유 이성 45 
규율권력과 ‘생명권력’ 47 
텍스트중심주의 52 
포스트모던적 전환 56 
정치적인 것의 회귀 59 

03	비판적 정책 분석: 푸코적 접근 64 
푸코의 비판관 64 
니체의 영향 69 
푸코적 비판의 대상 72 
푸코의 방법: 고고학과 계보학 74 
푸코와 구조주의의 결별 81 
푸코의 유물론 86 
푸코와 비판적 정책 분석 88 

04	텍스트로서 정책과 담론으로서 정책: 97 
분석의 얼개 97 
정책 텍스트의 해석에서 언어적 관념론 98 
의도적 오류 100 
언어적 관념론 102 
소쉬르의 사회언어학 105 
담론 이론 107 
푸코와 교육 담론 109 
담론 분석의 얼개 111 
담론 분석의 목적 114 
정책 담론과 사회구조 116 

05	고전자유주의 119 
자유주의의 공통 요소들 120 
개인과 인간 본성 123 
자유주의 담론의 역사적 발전 129 
홉스와 로크의 재산권 132 
지배적 담론으로서 자유주의 139 
고전경제적 자유주의 140 
애덤 스미스 145 
사익 148 
자유주의의 모순 152 
인간 본성과 소유적 개인주의 논제 155 
흄과 소유적 개인주의 160 
자유주의, 개인주의 그리고 교육 165 

06	사회민주적 자유주의 171 
영국에서 복지 국가의 출현 180 
복지 국가의 선구자: 그린과 홉하우스 185 
20세기 복지주의 191 
케인스적 복지 국가 합의 197 
역사적 타협 200 
뉴질랜드에서 복지 국가의 발전 203 

07 신자유주의의 발흥 209 
뉴라이트 209 
신자유주의 정의하기 213 
통화주의의 교의 216 
오스트리아경제학과 시카고경제학 222 
인적자본론 229 

08	신자유주의 기관 재구조화 이론 237 
공공 선택 이론 237 
대리인 이론 249 
거래비용 경제학 252 
자유주의 정치 철학 257 
푸코의 신자유주의 분석 261 
통제 양식으로서 신자유주의 268 

09	시장, 전문성, 신뢰 271 
잉글랜드의 교육 재구조화 271 
뉴질랜드의 교육 재구조화 273 
유사성과 차이 275 
시장과 국가 281 
시장과 개인의 자유 283 
소극적 자유와 적극적 자유 286 
교육의 탈전문화 290 
경쟁과 시장화: 고등교육의 사례 292 
전문적 일의 재구성 295 
경영주의의 재탄생 298 
불신의 문화 300 
신뢰와 전문적 책무성 304 

10	선택, 불평등 그리고 사회 통합 담론 309 
1990년대의 선택 310 
선택과 ‘제3의 길’ 313 
학교 선택의 근거 316 
학교 선택과 불평등 319 
선택의 한계 321 
사회 선택과 ‘제3의 길’ 326 
다양성과 권한 이양 담론 329 
국가 통제의 필요 332 
‘제3의 길’의 상반된 방향 335 

11	민주주의, 시민성, 성긴 공동체 338 
갈등하는 윤리적 얼개: 공리주의와 사회 정의 339 
롤스와 그의 공동체주의적 비판 345 
사회민주주의 토대로서 공동체주의 359 
공동체주의의 형식들 365 
‘성긴’ 공동체주의를 향해 367 
공동체, 자유 그리고 정의 372 
공동체주의와 교육 선택 정책 378 
공립학교 교육에 대한 정당성을 다시 말하기 380 

12	세계화, 민주주의 그리고 교육 384 
신자유주의의 실패 386 
복지 국가의 재탄생 391 
세계화 명제 수정하기 398 
세계시민적 민주주의 407 
민주주의와 생존 그리고 국제 관계 413 
민주주의와 다문화주의, 그리고 정의 417 
교육으로 민주주의를 심화하기 424 
숙의 428 
논쟁 430 
교육국가의 발흥: 민주적 역량을 교육하기 433 


옮긴이 후기 440 
미주 443 
참고문헌 462 
찾아보기 49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