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담화분석

담화분석 (Loan 79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해연, 저 김규현, 저 김용진, 저 박용예, 저 김명희, 저 김혜숙, 저 서경희, 저 백경숙, 저
Title Statement
담화분석 / 김해연 [외]집필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종합출판 Eng,   2016  
Physical Medium
396 p. ; 26 cm
Series Statement
(한국영어학회) 현대영어학총서 ;9
ISBN
9788980996223 9788980993567 (Set)
General Note
집필진: 김규현, 김용진, 박용예, 김명희, 김혜숙, 서경희, 백경숙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14699
005 20170913125141
007 ta
008 170912s2016 ulk b 001c kor
020 ▼a 9788980996223 ▼g 94740
020 1 ▼a 9788980993567 (Set)
035 ▼a (KERIS)BIB000014415216
040 ▼a 211052 ▼c 211052 ▼d 211009
041 0 ▼a kor ▼a eng
082 0 4 ▼a 420.141 ▼2 23
085 ▼a 420.141 ▼2 DDCK
090 ▼a 420.141 ▼b 2016
245 0 0 ▼a 담화분석 / ▼d 김해연 [외]집필
260 ▼a 서울 : ▼b 종합출판 Eng, ▼c 2016
300 ▼a 396 p. ; ▼c 26 cm
440 1 0 ▼a (한국영어학회) 현대영어학총서 ; ▼v 9
500 ▼a 집필진: 김규현, 김용진, 박용예, 김명희, 김혜숙, 서경희, 백경숙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546 ▼a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700 1 ▼a 김해연, ▼e▼0 AUTH(211009)103359
700 1 ▼a 김규현, ▼e▼0 AUTH(211009)38825
700 1 ▼a 김용진, ▼e▼0 AUTH(211009)38114
700 1 ▼a 박용예, ▼e▼0 AUTH(211009)69863
700 1 ▼a 김명희, ▼e▼0 AUTH(211009)46419
700 1 ▼a 김혜숙, ▼e▼0 AUTH(211009)141270
700 1 ▼a 서경희, ▼e▼0 AUTH(211009)141269
700 1 ▼a 백경숙, ▼e▼0 AUTH(211009)82293
945 ▼a KLPA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20.141 2016 Accession No. 111778453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6-23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20.141 2016 Accession No. 111787061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7-03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20.141 2016 Accession No. 11178706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20.141 2016 Accession No. 51103314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420.141 2016 Accession No. 52100437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6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420.141 2016 Accession No. 15133754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20.141 2016 Accession No. 111778453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6-23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20.141 2016 Accession No. 111787061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7-03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20.141 2016 Accession No. 11178706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20.141 2016 Accession No. 51103314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420.141 2016 Accession No. 52100437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420.141 2016 Accession No. 15133754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현대 영어학 총서 9권. 2000년대에 들어서 담화분석 연구는 그 범위와 대상이 더욱 확대되어 왔다. 이러한 점에서 본서는 기능주의적 관점의 담화분석을 중심으로 논의하되 그 범위를 확대하여 언어인류학, 대화분석, 비판적 담화분석, 교육 담화 분석, 수사학 등 주요 주제와 연구가 담화 연구에 어떻게 수용되고 영향을 주고 있는지 논의한다.

2000년대에 들어서 담화분석 연구는 그 범위와 대상이 더욱 확대되어 왔다. 담화분석은 위에서 논의한 여러 접근법의 기본 전제와 방법론을 수용하여 언어와 사회, 언어와 인지 구조 및 사회 구조, 문법 구조와 사회행위, 그리고 의사소통의 기능과 문법의 변화, 발전이라는 요소들의 상호 관련성을 탐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 뿐만 아니라 기능주의 담화분석의 이론, 사회언어학의 담화분석 이론, 대화분석 등 여러 이론들은 외국어 교육이나 ESL 분야에도 적용되어 교실수업에서 일어나는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classroom teacher-student interaction), 기관 담화(institutional discourse), 언론 담화 등 분석 대상과 연구 영역이 확대되어 적용되고 있다(Markee 2015). 이러한 점에서 본서는 기능주의적 관점의 담화분석을 중심으로 논의하되 그 범위를 확대하여 언어인류학, 대화분석, 비판적 담화분석, 교육 담화 분석, 수사학 등 주요 주제와 연구가 담화 연구에 어떻게 수용되고 영향을 주고 있는지 논의한다.

현대 영어학 총서
현대 영어학 총서는 한국 영어학회가 주관하여 100여 명에 이르는 저명한 집필진의 연구로 구성되어 완성된 결과로, 영어학의 위상을 정립하고 영어에 관심을 갖는 독자와 더불어 학부 및 대학원 학생을 위한 종합 안내서이다.

집필진
김해연(중앙대학교)
김용진(숭실대학교)
김명희(한양대학교)
서경희(한국외국어대학교)
김규현(경희대학교)
박용예(서울대학교)
김혜숙(건양대학교)
백경숙(한양여자대학교)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해연(지은이)

중앙대학교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01 서론: 담화와 담화분석|김해연 
1. 서론 
2. 담화와 담화분석의 여러 정의와 접근법들 
2.1 담화와 담화분석의 정의 
2.2 담화분석의 여러 접근법들(Approaches to Discourse Analysis) 
3. 담화분석의 연구 방법 
4. 담화분석의 역사적 발전과 연구 주제들 
5. [담화분석]의 구성 

02 담화와 담화 유형|김용진 
1. 서론 
2. 발화의 유형 
3. 수사(rhetoric)의 방식 
4. 담화 유형론의 갈래 
4.1 구어 담화와 문어 담화 
4.2 장르(genre) 이론 
4.3 레지스터(register) 이론 
5. 마무리 

03 내러티브|김명희 
1. 서론 
2. 내러티브의 정의와 종류 
2.1 내러티브의 특징 
2.2 내러티브의 정의 
2.2.1 시간순서(sequentiality)를 중요시하는 정의 
2.2.2 상황반전(inversion/transformation)을 중요시하는 정의 
2.2.3 이야기화자(storyteller)를 중요시하는 정의 
2.3 내러티브의 종류 
3. 내러티브의 기본구조 
3.1 러시아 구조주의자들의 내러티브 구조 
3.2 Labov & Waletzky(1967), Labov(1972)의 내러티브의 구조 
3.3 Longacre (1976, 1983/1996)의 내러티브 구조 
4. 내러티브의 분석 방법 
4.1 주제 분석(thematic analysis) 
4.2 구조 분석(structural analysis) 
4.3 상호작용 분석(interactional analysis) 
4.4 행위 분석(performance analysis) 
5. 내러티브에서의 중요한 개념 
5.1 전경(foreground)과 배경(background) 
5.2 응결성(coherence)과 응집성(cohesion) 
6. 내러티브의 연구 분야 
6.1 사회언어학(sociolinguistics) 분야 
6.2 담화분석(discourse analysis) 분야 
6.3 대화분석(conversation analysis) 분야 
6.4 언어습득(language acquisition) 분야 
7. 결론 

04 담화표지|서경희 
1. 서론 
2. 담화표지란 무엇인가 
2.1 담화표지의 정의 
2.2 담화표지의 다양성 
2.3 담화표지의 특성 
2.4 문법화와 담화표지 
2.5 담화표지의 기능 
3. 영어의 담화표지 연구 
3.1 정보수령표지와 정보제시표지 
3.1.1 정보수령표지: yeah, oh, okay 
3.1.2 정보제시표지: like, you know, well, I mean 
3.2 모호한 지시를 나타내는 표지들: and that sort of thing, whatever 
3.3 시간부사의 담화표지화: now, just 
3.4 인과관계표지: because(cos) 
3.5 포괄적 담화표지: still, however 
3.6 기타 담화표지들: actually, in fact, of course 
4. 결론 및 제언 

05 대화분석|김규현 
1. 서론 
1.1 언어와 사회적 상호작용 
1.2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대화의 상호작용 분석 
2. 대화의 조직 
2.1 말 순서 취하기 조직 
2.1.1 말차례 구성 
2.1.2 말차례 분배 
2.2 인접쌍과 순차 조직 
2.3 선호 조직 
2.4 수정 조직 
3. 말의 방법적 속성: 관행과 행위 
4. 문법과 사회적 상호작용 
5. 결론 

06 교육과 담화분석 |박용예 
1. 서론 
2. 교육담화 연구의 주된 주제들 
2.1 교육담화의 구조 및 특성 
2.1.1 교실 담화의 구조 및 특성 
2.1.2 비 교실 담화의 구조 및 특성 
2.2 교육담화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2.3 교육 이론 및 교육적 문제들과 관련된 담화 연구들 
2.3.1 문화간 차이 및 갈등에 대한 연구들 
2.3.2 제이언어습득과 관련된 연구들 
3. 결론 

07 성(性)과 담화분석|김혜숙 
1. 서론 
2. 성과 언어 
2.1 생물학적 성과 사회문화적 성 
2.2 페미니즘 물결: 제1물결, 제2물결 및 제3물결 
2.3 요약 
3. 차이에 근거한 성과 언어 연구 
3.1 결손 접근법 
3.2 지배 접근법 
3.3 (문화)차이 접근법 
3.4 요약 
4. 페미니스트 후기구조주의 담화분석 
4.1 후기구조주의 
4.2 페미니스트 후기구조주의 담화분석 
4.3 페미니스트 후기구조주의 담화분석 예: Baxter(2003)의 교실 담화분석 
4.3.1 배경 
4.3.2 Damien과 Joe 
4.3.2.1 외연적 분석 
4.3.2.2 FPDA 분석 
4.3.3 Anne과 Rebecca 
4.3.2.1 외연적 분석 
4.3.2.2 FPDA 분석 
4.4 요약 
5. 결론 

08 비판적 담화분석 |김해연 
1. 서론 
2. 비판적 담화분석 이론의 역사적 발전 
3. 비판적 담화분석의 주요 기본 개념 
4. 비판적 담화분석의 방법론 
5. 비판적 담화분석의 주요 연구 주제들 
6. 결론 

09 대조수사학 |백경숙 
1. 들어가는 말 
2. 대조수사학의 성림과 그 배경 
3. 문화간 수사구조의 대조분석 
3.1 아랍어와 영어 
3.2 동양의 제 언어와 영어 
3.3 스페인어와 영어 
3.4 기타 언어와 영어 
3.5 논의 및 시사점 
4. 대조수사학의 주요 관심사 및 쟁점들 
4.1 대조수사학과 작문이론 
4.2 대조수사학과 학문담화 공동체 
4.3 사회문화적 행위로서의 글쓰기 및 작문교육 연구 
4.4 대조수사학의 학제적 성격 
4.5 대조수사학의 연구방법 
5. 맺는말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