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13727 | |
005 | 20180212132005 | |
007 | ta | |
008 | 170830s2016 ggkad b 001c kor | |
020 | ▼a 9788936315672 ▼g 93590 | |
035 | ▼a (KERIS)BIB000014060228 | |
040 | ▼a 241018 ▼c 241018 ▼d 211009 | |
082 | 0 4 | ▼a 642 ▼2 23 |
085 | ▼a 642 ▼2 DDCK | |
090 | ▼a 642 ▼b 2016 | |
100 | 1 | ▼a 이애랑 |
245 | 1 0 | ▼a 식생활관리 / ▼d 이애랑, ▼e 하애화, ▼e 류혜숙 지음 |
250 | ▼a 2판 | |
260 | ▼a 파주 : ▼b 교문사, ▼c 2016 ▼g (2017 2쇄) | |
300 | ▼a ix, 307 p. : ▼b 천연색삽화, 도표 ; ▼c 25 cm | |
500 | ▼a 부록: 전국 농수산물 도매시장 현황, 중앙·지방 도매시장 현황. 도매시장 종사자 및 주요 역할 외 | |
500 | ▼a 감수: 홍성야, 임양순 | |
504 | ▼a 참고문헌(p. 303)과 색인수록 | |
700 | 1 | ▼a 하애화, ▼e 저 |
700 | 1 | ▼a 류혜숙, ▼e 저 |
700 | 1 | ▼a 홍성야, ▼e 감수 |
700 | 1 | ▼a 임양순, ▼e 감수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642 2016 | Accession No. 12124146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642 2016 | Accession No. 12124341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2판은 2015년 개정된 한국인 영양소섭취기준에 맞추어 식단 작성의 실제 부분을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국민건강을 선도해 나갈 식품영양학 전공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식생활관리의 목표, 식단계획 및 작성, 식단평가, 식품구입 및 관리, 식품유통, 식품 첨가물 및 건강기능식품, 우리나라 상차림과 식사예절, 다른 나라 상차림과 식사예절, 건강체중과 다이어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한 급식관리가 아닌 총체적인 식문화를 파악하고 이끌어 갈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현대사회의 급속한 시대 변화에 발맞춘 식생활관리 지침서로 미래의 식생활관리자로서 익혀야 할 기초지식과 식단관리의 과정을 다루었다. 외부환경의 변화로 인한 현대인의 그릇된 식생활을 진단하고 이를 평가·해결할 수 있는 식단관리자의 직무능력에 대해 기술하고 있으며, 국민건강의 기초가 되는 올바른 식행동 요령을 제시한다.
이 책은 이전의 먹을거리에만 국한되어 있던 구시대의 소비문화를 넘어서 타인과 환경까지 고려하는 공동체의 가치를 공유한 소비문화로 바뀌어 가는 등의 새로운 식생활 환경에 부응할 수 있도록 실천적인 식생활관리의 길라잡이 역할을 할 것이다.
2판은 2015년 개정된 한국인 영양소섭취기준에 맞추어 식단 작성의 실제 부분을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국민건강을 선도해 나갈 식품영양학 전공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식생활관리의 목표, 식단계획 및 작성, 식단평가, 식품구입 및 관리, 식품유통, 식품 첨가물 및 건강기능식품, 우리나라 상차림과 식사예절, 다른 나라 상차림과 식사예절, 건강체중과 다이어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한 급식관리가 아닌 총체적인 식문화를 파악하고 이끌어 갈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1 식생활관리의 기본 2 식생활관리의 목표 3 식단계획과 식단 작성 4 식단 평가 5 식품의 유통 6 식품구입 및 관리 7 우리나라의 식사예절 8 다른 나라의 식사예절 9 식품첨가물과 건강기능식품 10 건강체중을 위한 식생활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