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13722 | |
005 | 20170830183608 | |
007 | ta | |
008 | 170830s2017 ulka 001c kor | |
020 | ▼a 9791161750323 ▼g 94000 | |
020 | 1 | ▼a 9788960772106 (세트) |
035 | ▼a (KERIS)BIB000014565401 | |
040 | ▼a 241008 ▼c 241008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005.133 ▼2 23 |
085 | ▼a 005.133 ▼2 DDCK | |
090 | ▼a 005.133 ▼b G573 2017z1 | |
100 | 1 | ▼a Ryer, Mat |
245 | 1 0 | ▼a 프로젝트로 완성하는 Go 프로그래밍 : ▼b Go 언어를 활용한 마이크로서비스 구축 가이드 / ▼d 맷 라이어 지음 ; ▼e 권순범 옮김 |
246 | 1 9 | ▼a Go programming blueprints : ▼b build real-world, production-ready solutions in Go using cutting-edge technology and techniques |
260 | ▼a 서울 : ▼b 에이콘, ▼c 2017 | |
300 | ▼a 513 p. : ▼b 삽화 ; ▼c 24 cm | |
440 | 0 0 | ▼a acorn+PACKT technical book |
500 | ▼a 색인수록 | |
500 | ▼a 부록: 안정적인 Go 개발 환경을 위한 지침 | |
500 | ▼a 기술 감수자: 마이클 함라(Michael Hamrah), 다비드 에르난데스(David Hernandez) | |
650 | 0 | ▼a Go (Computer program language) |
650 | 0 | ▼a Computer programming |
700 | 1 | ▼a 권순범, ▼e 역 |
900 | 1 0 | ▼a 라이어, 맷,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005.133 G573 2017z1 | Accession No. 12124148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acorn+PACKT 시리즈. Go는 인터넷/웹2.0 시대의 언어로서 성장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이 책은 Go 언어로 강력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Go에 내장된 동시성 메커니즘과 강력한 셸 기능을 활용해 고품질의 커맨드라인 툴과 웹 앱을 개발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또한 각 프로젝트는 모던 소프트웨어 시장에 선보일 수 있을 만한 흥미로운 예제들로 구성돼, 도커와 구글 앱 엔진을 사용해 직접 앱을 배포해볼 수 있다. 무엇보다 새로운 언어로 입문하길 망설이는 개발자에게 좋은 출발점이 돼줄 것이다.
★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 ★
■ 패턴, 실습, 기법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술을 탐구하면서 기발하고 재미있는 프로젝트 구축
■ Go의 net/http 패키지를 사용하고, RESTful 패턴과 저지연(low-latency) 웹 소켓 API를 탐색해 방대한 규모의 웹사이트 및 데이터 서비스 제작
■ 인증 및 권한 부여부터 완전히 작동하는 시소러스(thesaurus)까지 아우르는 기능을 사용해 다양한 원격 웹 서비스와 상호작용
■ Go kit 라이브러리를 사용한 대규모 조직용 마이크로서비스 구축
■ 확장성이 뛰어난 아키텍처를 조합해 모던 도큐먼트 데이터베이스와 대용량의 메시징 큐 기술 구현
■ 동시 프로그램 작성과 채널을 사용한 스마트하고 적절한 프로그램의 실행과 커뮤니케이션 관리
★ 이 책의 대상 독자 ★
실제 프로젝트를 구축하면서 Go 언어를 탐구하려는 초심자부터 흥미로운 방식으로 언어를 적용하는 방법에 관심이 있는 전문 고퍼(gopher)까지 모든 Go 프로그래머를 대상으로 한다.
★ 이 책의 구성 ★
1장. '웹 소켓을 이용한 채팅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여러 사람이 웹 브라우저에서 실시간 대화를 할 수 있는 완전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방법을 알려준다. NET/HTTP 패키지를 사용해 HTML 페이지를 제공하고 웹 소켓이 있는 클라이언트의 브라우저에 연결하는 방법을 알 수 있다.
2장. '사용자 계정 추가'에서는 채팅 애플리케이션에 OAuth를 추가하는 방법을 보여줌으로써 누가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추적할 수 있으며 구글, 페이스북 또는 깃허브를 사용해 로그인할 수 있다.
3장. '프로필 사진 구현의 세 가지 방법'에서는 채팅 애플리케이션에 인증 서비스나 Gravatar.com 웹 서비스 또는 사용자가 하드 드라이브에서 자신의 사진을 업로드할 수 있도록 허용해 가져온 프로필 사진을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4장. '도메인 이름 검색용 커맨드라인 툴'에서는 Go 커맨드라인 툴이 얼마나 쉬운지 살펴보고 이러한 기술을 사용해 채팅 애플리케이션용으로 완벽한 도메인 이름을 찾는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표준 입출력 파이프를 활용해 조합 가능하며 꽤 강력한 도구를 어떻게 쉽게 만드는지를 탐구한다.
5장. '분산 시스템 구축 및 유연한 데이터 작업'에서는 NSQ 및 MongoDB를 기반으로 하는 확장성이 뛰어난 트위터 여론 조사 투표 계수 엔진을 구축함으로써 민주주의의 미래를 어떻게 준비하는지 설명한다.
6장. 'RESTful 데이터 웹 서비스 API를 통한 데이터와 기능 노출'에서는 5장, ‘분산 시스템 구축 및 유연한 데이터 작업’에서 만든 JSON 웹 서비스를 통해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구체적으로는 http.HandlerFunc 함수를 어떻게 래핑해 강력한 파이프라인 패턴을 제공하는지를 알아본다.
7장. '랜덤 추천 웹 서비스'에서는 구글 플레이스 API를 사용해 각 지역을 탐색하는 재미있는 방법을 보여주는 위치 기반 랜덤 추천 API를 어떻게 생성하는지 보여준다. 또한 내부 데이터 구조를 비공개로 유지하고 공개 뷰(public view)를 동일한 데이터로 제어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뿐 아니라 Go에 열거자를 구현하는 방법도 설명한다.
8장. '파일시스템 백업'에서는 코드 프로젝트를 위한 간단하지만 강력한 파일시스템 백업 도구를 구축하고, Go 표준 라이브러리의 OS 패키지를 사용해 파일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탐구하는 것을 돕는다. 또한 Go의 인터페이스가 어떻게 간단한 추상화로 강력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 살펴본다.
9장. '구글 앱 엔진용 Q&A 애플리케이션 구축'에서는 구글의 인프라에 배포할 수 있으며 운영 작업이 거의 혹은 전혀 없이도 대규모로 실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이 프로젝트는 가용성이 뛰어나고 엄청나게 빠르며 스키마가 필요 없는 데이터 저장소인 구글 클라우드 데이터스토어(Google Cloud Datastore)를 비롯해 구글 앱 엔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몇몇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한다.
10장. 'Go kit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Go의 마이크로서비스'에서는 대규모의 일체형 애플리케이션을 개별 서비스로 분리하는 최신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패러다임을 탐구한다. 각 서비스는 서로 독립적으로 실행되므로 서비스 수요에 맞게 개별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Go Kit은 구현 세부 사항에 대해 상관하지 않으면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의 과제 일부를 해결하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다.
11장. '도커를 이용한 Go 애플리케이션 배포'에서는 9장, ‘구글 앱 엔진용 Q&A 애플리케이션 구축’에서 작성한 애플리케이션을 패키징하고 배포하기 위해 도커 이미지를 만드는 방법을 간략히 살펴본다. 이미지를 설명하는 Dockerfile을 작성하고 도커 툴을 사용해 이미지를 빌드한 후 디지털 오션(Digital Ocean) 클라우드에 배포한다.
부록. '안정적인 Go 개발 환경을 위한 지침'에서는 Go를 새 컴퓨터에 처음부터 설치하는 방법을 살펴보고 선택 가능한 개발 환경과 장래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다. 몇 가지 코드 편집기(또는 통합 개발 환경, IDE) 옵션을 살펴보고, 협업이 어떻게 우리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뿐만 아니라 패키지의 오픈소스화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검토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맷 라이어(지은이)
6살 때부터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하고 있으며, 아버지와 함께 게임과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처음에는 ZX 스펙트럼(ZX Spectrum)에서 베이직(BASIC)으로, 그리고 코모도어 아미가(Commodore Amiga)에서는 AmigaBASIC과 AMOS로 게임을 만들었다. 「Amiga Format」 잡지의 코드를 일일이 옮겨 적고 변수를 바꿔보거나 GOTO문을 움직여서 어떻게 되는지를 확인하는 데 많은 시간을 쏟았다. 이와 같은 프로그래밍에 대한 탐구 정신과 집념이 밑거름이 돼서 18세에 영국 맨스필드에 있는 에이전시에서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만들기 시작했다. 수년 동안 런던에서 일하면서 C#과 오브젝티브C(Objective-C)뿐 아니라 루비(Ruby)와 자바스크립트(JavaScript)까지 아우르는 다양한 언어로 모든 코딩을 해왔으나 구글이 개척한 Go라는 새로운 시스템 언어에 주목했다. 매우 적절하고 관련성이 높은 최신 기술 과제를 다루기 시작한 이래로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베타 단계에 있던 때부터 Go 언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2012년에는 콜로라도의 볼더(Boulder)로 옮겨 큰 데이터 웹 서비스 및 고가용성 시스템부터 소규모 프로젝트 및 자선 활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일하던 회사가 매각된 후 2015년 런던으로 귀국했고 현재까지 다양한 제품, 서비스,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만들기 위해 Go를 계속 사용하고 있다.
권순범(옮긴이)
특정 기술보다는 문제 해결이라는 하나의 화두에 천착하고 있으며 데이터 및 콘텐츠 큐레이션에 관심이 많다. 현재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다. 교육공학을 전공해 한때는 인적자원개발(HRD)을 하기도 했다.

Table of Contents
1장. 웹 소켓을 이용한 채팅 애플리케이션 __간단한 웹 서버 ____템플릿을 사용해 로직과 뷰 분리 ____Go 프로그램의 적절한 빌드 및 실행 __서버상의 채팅방 및 클라이언트 모델링 ____클라이언트 모델링 ____채팅방 모델링 ____관용적인 Go를 사용한 동시성 프로그래밍 ____채팅방을 HTTP 핸들러로 변환 ____복잡성 제거를 위한 헬퍼 함수 사용 ____채팅방 생성 및 사용 __HTML 및 자바스크립트 채팅 클라이언트 구축 ____템플릿을 최대한 활용 __내부를 보기 위한 코드 추적 ____TDD를 이용한 패키지 작성 ____인터페이스 ____단위 테스트 ____인터페이스 구현 ____새 추적 패키지 사용 ____선택적 트레이싱 만들기 ____깔끔한 패키지 API __요약 2장. 사용자 계정 추가 __핸들러의 연쇄 __보기 좋은 소셜 로그인 페이지 작성 __동적 경로를 포함한 엔드포인트 __OAuth2 시작하기 ____오픈소스 OAuth2 패키지 __인증 프로바이더에게 앱에 대해 알림 __외부 로그인 구현 ____로그인하기 ____프로바이더로부터 오는 응답의 처리 ____사용자 데이터 제시 ____추가 데이터로 메시지 기능 확장 __요약 3장. 프로필 사진 구현의 세 가지 방법 __OAuth2 서버의 아바타 ____아바타 URL 가져오기 ____아바타 URL 전송 ____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아바타 추가 ____로그아웃 ____더 보기 좋게 만들기 __Gravatar 구현 ____아바타 URL 프로세스 추상화 __아바타 이미지 업로드 ____사용자 식별 ____업로드 폼 ____업로드 처리 ____이미지 제공 ____로컬 파일을 위한 아바타 구현 ____코드 리팩토링 및 최적화 __세 개의 구현 결합 __요약 4장. 도메인 이름 검색용 커맨드라인 툴 __커맨드라인 툴을 위한 파이프 설계 __다섯 개의 간단한 프로그램 ____Sprinkle ____Domainify ____Coolify ____Synonyms ____Available __다섯 개의 프로그램 조합 ____모두를 관장하는 하나의 프로그램 __요약 5장. 분산 시스템 구축 및 유연한 데이터 작업 __시스템 설계 ____데이터베이스 설계 __환경 설치 ____NSQ 소개 ____MongoDB 소개 ____환경 시작 __트위터에서 투표 읽기 ____트위터로 승인 ____MongoDB에서 읽기 ____트위터에서 읽기 ____NSQ에 게시 ____정상적으로 프로그램 시작 및 중지 ____테스트 __투표 집계 ____데이터베이스에 연결 ____NSQ의 메시지 소비 ____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유지 ____Ctrl + C에 응답 __솔루션 실행 __요약 6장. RESTful 데이터 웹 서비스 API를 통한 데이터와 기능 노출 __RESTful API 설계 __핸들러 간 데이터 공유 ____컨텍스트 키 __래핑 핸들러 함수 ____API 키 ____교차 출처 자원 공유(CORS) __의존성 주입 __응답 __요청 이해 __하나의 함수로 API 제공 ____핸들러 함수 래퍼 사용 __엔드포인트 핸들링 ____구조체에 메타데이터를 추가하기 위한 태그 사용 ____단일 핸들러로 다수의 작업 수행 ____curl을 사용해 API 테스트 __API를 사용하는 웹 클라이언트 ____투표 목록을 보여주는 인덱스 페이지 ____새 투표 생성 ____투표의 세부 정보 표시 __솔루션 실행 __요약 7장. 랜덤 추천 웹 서비스 __프로젝트 개요 ____프로젝트 설계 세부 사항 __코드에서 데이터 표현 ____Go 구조체의 공개 뷰 __랜덤 추천 생성 ____구글 플레이스 API 키 ____Go의 열거자 ____구글 플레이스 API 쿼리 ____추천 구축 ____쿼리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핸들러 ____CORS ____API 테스트 __요약 8장. 파일시스템 백업 __솔루션 설계 ____프로젝트 구조 __백업 패키지 ____명백한 인터페이스 우선 검토 ____구현을 통한 인터페이스 테스트 ____파일시스템 변경 확인 ____변경 사항 확인 및 백업 시작 __사용자 커맨드라인 도구 ____작은 데이터 유지 ____인수 파싱 ____새로운 도구 사용 __데몬 백업 툴 ____중복 구조 ____데이터 캐싱 ____무한 루프 ____filedb 레코드 업데이트 __솔루션 테스트 __요약 9장. 구글 앱 엔진용 Q&A 애플리케이션 구축 __Go용 구글 앱 엔진 SDK ____애플리케이션 생성 ____앱 엔진 애플리케이션은 Go 패키지다 ____app.yaml 파일 ____로컬에서 간단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____간단한 애플리케이션을 구글 앱 엔진에 배포 ____구글 앱 엔진의 모듈 __구글 클라우드 데이터스토어 ____비정규화 데이터 __엔티티 및 데이터 액세스 ____구글 클라우드 데이터스토어의 키 ____구글 클라우드 데이터스토어에 데이터 가져오기 ____구글 클라우드 데이터스토어에서 데이터 읽기 __구글 앱 엔진 사용자 ____비정규화된 데이터 임베딩 __구글 클라우드 데이터스토어에서의 트랜잭션 ____트랜잭션을 사용해 카운터 유지 관리 ____조기 추상화 방지 __구글 클라우드 데이터스토어에서 쿼리 __투표 ____색인 생성 ____엔티티의 다른 뷰 포함 __투표하기 ____datastore.Key를 통한 부모 액세스 ____코드에서의 줄 맞춤 __HTTP를 통한 데이터 조작 노출 ____타입 단언을 사용하는 옵션 기능 ____응답 헬퍼 ____경로 파라미터 파싱 ____HTTP API를 통한 기능 노출 ____구글 앱 엔진의 컨텍스트 ____키 문자열 디코딩 ____라우터 핸들러 매핑 __다중 모듈로 앱 실행 ____로컬에서의 테스트 __다중 모듈 앱 배포 __요약 10장. Go kit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Go의 마이크로서비스 __gRPC 소개 __프로토콜 버퍼 ____프로토콜 버퍼 설치 ____프로토콜 버퍼 언어 ____Go 코드 생성 __서비스 구축 ____테스트 시작 ____Go의 생성자 ____bcrypt로 암호 해싱 및 유효성 검사 __요청 및 응답을 포함한 메소드 호출 모델링 ____Go kit의 엔드포인트 __Go kit의 HTTP 서버 __Go kit의 gRPC 서버 ____프로토콜 버퍼 타입에서 자체 타입으로 변환 __서버 명령 생성 ____Go kit 엔드포인트 사용 ____HTTP 서버의 실행 ____gRPC 서버의 실행 ____메인 함수의 즉시 종료 방지 ____HTTP를 통한 서비스 사용 __gRPC 클라이언트 구축 ____서비스 사용을 위한 커맨드라인 도구 ____CLI에서의 인수 파싱 ____케이스 본문을 추출해 좋은 코드 정렬 유지 ____Go 소스 코드에서 도구 설치 ____서비스 미들웨어로 속도 제한 ____속도 제한기 수동 테스트 ____적절한 속도 제한 __요약 11장. 도커를 이용한 Go 애플리케이션 배포 __로컬에서 도커 사용 ____도커 도구 설치 ____Dockerfile ____다른 아키텍처용 Go 바이너리 빌드 ____도커 이미지 빌드 ____도커 이미지를 로컬에서 실행 ____도커 프로세스 검사 ____도커 인스턴스 중지 __도커 이미지 배포 ____도커 허브에 배포 __디지털 오션에 배치 ____드롭릿 생성 ____드롭릿의 콘솔에 액세스 ____도커 이미지 풀링 ____클라우드에서 도커 이미지의 실행 ____클라우드에서 도커 이미지에 액세스 __요약 부록. 안정적인 Go 개발 환경을 위한 지침 __Go 설치 __Go 설정 ____올바른 GOPATH 얻기 __Go 툴 __저장 시 정리, 빌드, 테스트 실행하기 __통합 개발 환경 ____서브라임 텍스트 3 ____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__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