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13408 | |
005 | 20170829164927 | |
007 | ta | |
008 | 170829s2016 ulka 001c kor | |
020 | ▼a 9788961951425 ▼g 93340 | |
035 | ▼a (KERIS)BIB000014237441 | |
040 | ▼a 241008 ▼c 241008 ▼d 211009 | |
041 | 1 | ▼a kor ▼h ger |
082 | 0 4 | ▼a 355.02 ▼2 23 |
085 | ▼a 355.02 ▼2 DDCK | |
090 | ▼a 355.02 ▼b 2016z2 | |
100 | 1 | ▼a Clausewitz, Carl von, ▼d 1780-1831 ▼0 AUTH(211009)127020 |
245 | 1 0 | ▼a 전쟁론 / ▼d 카알 폰 클라우제비츠 지음 ; ▼e 김만수 옮김 |
246 | 1 9 | ▼a Vom Kriege |
250 | ▼a [전면 개정판] | |
260 | ▼a 서울 : ▼b 갈무리, ▼c 2016 | |
300 | ▼a 1128 p. : ▼b 삽화 ; ▼c 23 cm | |
440 | 0 0 | ▼a 카이로스총서 ; ▼v 41 |
500 | ▼a 국내 최초 독일어 원전 초판 완역 | |
500 | ▼a 색인수록 | |
650 | 0 | ▼a Military art and science |
650 | 0 | ▼a War |
700 | 1 | ▼a 김만수, ▼d 1962-, ▼e 역 ▼0 AUTH(211009)17440 |
900 | 1 0 | ▼a 클라우제비츠, 카알 폰, ▼e 저 |
900 | 1 0 | ▼a Kim, Man-su, ▼e 역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5.02 2016z2 | Accession No. 11177770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전쟁론』은 프로이센의 전쟁 이론가인 카알 폰 클라우제비츠가 쓴 책으로 1832~1834년에 세 권으로 출판되었다. 서양의 정치사상, 국제정치, 전쟁철학, 군사학 분야의 고전으로 인정받고 있다. 클라우제비츠가 살아있을 당시에 유행한 이른바 실증적인 전쟁 이론을 비판했다는 점에서, 즉 전쟁을 물리적.기하학적인 요소에서 ‘해방’시켰다는 점에서, 그래서 전쟁을 수행하는 인간의 정신과 심리를 고려한 전쟁 이론을 확립했다는 점에서 혁명적인 저서이다.
현대의 전쟁에 나타나는 공격과 방어, 전술과 전략의 형태는 200년 전과 크게 달라졌지만, 전쟁을 수행하는 인간의 정신은 여전히 중요하며 앞으로도 결정적인 요소로 남을 것이다. 옮긴이 김만수는 『전쟁론』 독일어 원전 제1권을 2006년에, 제2권과 제3권을 2009년에 국내 최초로 완역하였다.
그 이후 10여 년 만에 해설서 『전쟁론 강의』와 함께 『전쟁론』 번역의 전면개정완역판을 출간하게 되었다. 이번 개정판에서 옮긴이는 『전쟁론』 초판을 텍스트로 삼아 원전 텍스트에 더욱 충실하게 번역했다. 또한 초판 번역을 전면적으로 개정하고 해설을 전부 삭제하고 찾아보기를 크게 개선했다. 그림과 지도 등의 자료도 많이 실었다.
『전쟁론』은 클라우제비츠가 살아있을 당시에 유행한 이른바 실증적인 전쟁 이론을 비판했다는 점에서, 즉 전쟁을 물리적·기하학적인 요소에서 ‘해방’시켰다는 점에서, 그래서 전쟁을 수행하는 인간의 정신과 심리를 고려한 전쟁 이론을 확립했다는 점에서 혁명적인 저서이다. 현대의 전쟁에 나타나는 공격과 방어, 전술과 전략의 형태는 200년 전과 크게 달라졌지만, 전쟁을 수행하는 인간의 정신은 여전히 중요하며 앞으로도 결정적인 요소로 남을 것이다.
또한 『전쟁론』은 ‘전쟁의 전체 모습을 분석하는 정의에 최초로 정치를 포함했다는’ 점에서, 즉 전쟁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정치로 확장했다는 점에서 전쟁에 관한 불후의 고전으로 남을 것이다. 전쟁을 정치의 수단으로 볼 때만 전쟁의 본래 의도와 목적을 정확하고 올바르게 간파하게 된다. 국가 간의 전쟁에서 그러하듯이, ‘국가 안의 전쟁’에서도 그러하다.
― 옮긴이 김만수
개정판의 특징
옮긴이는 이번 개정판에서 『전쟁론』 초판을 텍스트로 삼아 원전 텍스트에 더욱 충실하게 번역했다. 또한 초판 번역을 전면적으로 개정하고 해설을 전부 삭제하고 찾아보기를 크게 개선했다. 그림과 지도 등의 자료도 많이 실었다.
개정판에서는 번역 초판에서 잘못된 부분을 바로잡았다. 문장이 불분명하거나 어색한 부분을 명확하게 이해되도록 수정하고, 구어체를 문어체로 바꾸었다. 그래서 전체적으로 문장이 점잖고 중후하게 되었다. 또한 이번 개정판은 문장의 길이와 호흡을 원문과 비슷하게 했고, 클라우제비츠의 문체, 비유, “유머에 가까운” 표현을 살리는 데 신경을 썼다. 『전쟁론』을 읽는 것이 어렵든 쉽든, 이번 개정판은 『전쟁론』의 독일어 원문을 (우리말로) 읽는 느낌을 받게 된다.
이번 개정판은 번역 초판에 있던 해설을 전부 삭제하였다. 그래서 원문을 읽다가 역자의 해설을 읽는 번거로움을 피하게 되었다. 이는 이번에 해설서를 번역과 독립적으로 출간했기 때문에 가능해졌다.
책 말미의 찾아보기는 그 자체로 『전쟁론』에 관한 하나의 작은 용어집이라고 할 만하다. 찾아보기가 인명, 지명, 용어, 전쟁, 연도의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져 체계적으로 정리되었다. 『전쟁론』을 통독하는 것이 어렵다면 용어의 찾아보기를 참고하여 해당 부분을 발췌하여 읽는 것도 『전쟁론』 독서의 한 방법이 될 것이다. 특히 전쟁과 전투 등을 연도별로 정리하여 체계적이고 깔끔하다. 『전쟁론』에 나오는 모든 연도를 찾아보기에 넣은 것도 독창적인 발상이다.
『전쟁론』에 나오는 인물, 『전쟁론』과 관련되는 내용, 18~19세기 유럽의 정치 상황, 유럽의 지리를 좀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그림과 지도를 60여 개 실은 것도 이번 개정판의 특징이다.
『전쟁론』 각 부분의 핵심 내용 요약
『전쟁론』의 방대한 분량에서 전쟁의 본질, 절대 전쟁과 현실 전쟁, 전쟁과 정치의 관계에 주로 관심이 있다면, 제1권 제1편과 제3권 제8편을 먼저 읽을 수 있다. 클라우제비츠의 전쟁 이론의 핵심이 무엇인지, 그의 이론이 그전의 이론과 어떻게 다른지, 그의 이론이 왜 혁명적인지 하는 것을 이해하려면 제1권 제1편~제3편을 읽는 것이 좋을 것이다.
클라우제비츠는 전쟁과 전투에서 인간의 정신적인 요소를 강조했는데, 이는 제1권의 제1편과 제3편에서 확인할 수 있다. 18세기와 19세기의 전쟁, 프리드리히 대왕과 나폴레옹 시대의 전투의 모습, 즉 전쟁의 역사적인 측면에 관심이 있다면, 주로 제1권 제4편과 제2권 제5편을 읽는 것이 도움이 된다. 물론 이 외에도 『전쟁론』의 모든 곳에서 그 당시의 전쟁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공격과 방어의 본질, 방어가 공격보다 우세하다는 (역설처럼 보이는) 명제에 대해서는 제2권 제6편의 앞부분에서 서술하고 있다. 이 부분에서, 그리고 특히 제6편 뒷부분에서 모택동의 대장정과 베트남 전쟁에 관한 이론적인 근거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공격과 방어의 본질과 차이에 대해서는 제2권 제6편의 앞부분과 제3권 제7편이 많은 시사점을 준다.
미셸 푸코는 클라우제비츠의 명제를 전복하여 정치를 전쟁의 수단이라고 했는데, 『전쟁론』에서 오늘날의 전쟁과 정치를 통찰할 수 있는 실마리는 주로 제1권 제1편과 제3권 제8편에서, 그리고 『전쟁론』 곳곳에 보석처럼 박혀 있는 촌철살인의 풍자, 비유, 유머, 지혜에서, 그리고 이를 이해하여 자기 것으로 만드는 독자의 역량으로 얻을 수 있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카알 폰 클라우제비츠(지은이)
카알 폰 클라우제비츠(Carl Philipp Gottlieb von Clausewitz)는 1780년 6월 1일에 막데부르크 근처의 부르크(Burg)에서 태어났고 1831년 11월 16일에 브레슬라우에서 사망했다. 프로이센의 장군이자 군사 개혁가로서 전쟁에 관한 불멸의 고전 『전쟁론』을 남겼다. 12살까지는 부르크의 라틴어 학교에서 약간의 학교 교육만 받았다. 7년 전쟁에 장교로 참전한 아버지가 프로이센 장교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한 덕분에 아들은 12살에 군대에 들어갈 수 있었다. 13살에 마인츠에서 처음 전투를 경험했고, 그 후 몇 년 동안 라인 강의 전투에 참전했다. 클라우제비츠의 부대가 노이루핀(Neuruppin)으로 이동하여 그곳에서 1796~1801년에 공부할 시간을 가졌다. 프랑스 혁명, 군대, 정치에 관한 책을 읽고, 논리와 윤리에 관한 강의도 들었다. 좋은 추천서 덕분에 1801년 가을에 샤른호스트가 설립한 베를린의 군사 학교에 입학하여 평생의 스승이자 ‘정신적인 아버지’인 샤른호스트를 만나게 되었다. 1804년에 군사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했다. 1806년에 아우구스트 왕자의 부관으로 예나와 아우어슈테트 전투에 참전하여 프랑스의 포로가 되었다. 1년 동안 프랑스에 있으면서 프로이센의 패배 원인을 분석하였다. 1807년 11월에 프로이센으로 돌아와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샤른호스트와 함께 4년 동안 프로이센 군대의 개혁 문제를 다루고 저술 활동을 했다. 1812년에는 프랑스에 대항하려고 프로이센을 떠나 러시아의 군대에 들어갔다. 나폴레옹 전쟁이 끝난 후에 3년 동안 그나이제나우의 참모장으로 코블렌츠에서 근무했고, 1818~1830년의 12년 동안 베를린의 일반 군사 학교의 교장으로 근무했다. 그는 복고 시대의 개혁가로서 군대에서 환영받지 못하는 인물이었고, 교장으로 있는 동안 전투 부대로 보내달라는 모든 신청을 거부당했다. 교장이라는 한직에 있는 동안 자신의 전투 경험을 바탕으로 과거의 전쟁사와 전쟁 이론을 섭렵하여 『전쟁론』을 집필했다. 1830년에 비로소 포병 부대의 감독관으로 발령받았지만, 정신적인 고통에 따른 신경 쇠약과 1831년의 콜레라로 11월 16일에 브레슬라우에서 51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클라우제비츠와 그의 부인의 유해는 1971년에 폴란드의 브레슬라우에서 동독의 부르크의 묘지로 옮겨졌다. 비문의 글은 다음과 같다. “Amara Mors Amorem non separat.”(쓰라린 죽음도 사랑을 떼어 놓지 못한다.)
김만수(옮긴이)
1962년 서울 출생. 홍익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1985년), 독일 프랑크푸르트대학교에서 사회학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1987~1999년). 독일 보훔대학교 한국학과에서 객원교수를 지낸(1999~2001년) 후에 귀국하여 대전대, 고려대, 홍익대 등에서 사회학, 경제학, 정치경제학, 군사학을 강의했다. 『리영희 - 살아있는 신화』(2003년)와 『실업사회』(2004년)를 출간하고, 20여 편의 논문을 우리말과 독일어로 발표했다.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을 연구하여 『전쟁론』 독일어 원전을 완역하고 세 권으로 출간했다(2006~2009년). 2016년에는 『전쟁론』 독일어 원전 초판을 완역하여 출간하고(앞의 번역의 전면개정판), 『전쟁론 강의』(『전쟁론』의 해설서)를 출간했다. 2018년에는 『전쟁론』의 ‘부록’ 독일어 원전 초판을 완역하고 해설한 『전쟁이란 무엇인가』를 출간했다. 『전쟁이란 무엇인가』에는 클라우제비츠의 전쟁철학을 일관되고 통합적인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한 논문도 실었다. 2020년에는 한국의 클라우제비츠 연구 60년을 결산하는 『클라우제비츠와의 마주침』을 출간했다. 현재 홍익대학교 교양과 교수.

Table of Contents
머리말의 차례 부인의 제1권 머리말 35 부인의 제3권 머리말 859 알리는 말 44 짧은 논설 47 저자의 말 50 저자의 머리말 52 편의 차례 제1권 제1편 전쟁의 본질 57 제2편 전쟁의 이론 143 제3편 전략 일반 235 제4편 전투 325 제2권 제5편 전투력 417 제6편 방어 553 제3권 제7편 공격(초안) 861 제8편 전쟁 계획 947 장의 차례 제1편 전쟁의 본질 57 제1장 전쟁이란 무엇인가? 59 제2장 전쟁의 목적과 수단 84 제3장 전쟁 천재 103 제4장 전쟁에 따르는 위험 128 제5장 전쟁에서 겪는 육체적인 고통 131 제6장 전쟁에서 얻는 정보 134 제7장 전쟁에서 겪는 마찰 137 제8장 제1편의 결론 141 제2편 전쟁의 이론 143 제1장 전쟁술의 분류 145 제2장 전쟁 이론 155 제3장 전쟁술 또는 전쟁학 179 제4장 방법론 183 제5장 비판 191 제6장 사례 224 제3편 전략 일반 235 제1장 전략 237 제2장 전략의 요소 251 제3장 정신적인 요소 253 제4장 중요한 정신력 256 제5장 군대의 무덕 258 제6장 대담성 264 제7장 인내심 270 제8장 수의 우세 272 제9장 기습 281 제10장 책략 290 제11장 병력의 공간적인 집결 293 제12장 병력의 시간적인 집결 294 제13장 전략적인 예비 병력 302 제14장 병력의 절약 306 제15장 기하학적인 요소 308 제16장 전쟁 행동의 중지 311 제17장 오늘날의 전쟁의 성격 319 제18장 긴장과 휴식 321 제4편 전투 325 제1장 개요 327 제2장 오늘날의 전투의 성격 328 제3장 전투 일반 330 제4장 계속 335 제5장 전투의 의의 346 제6장 전투의 지속 시간 349 제7장 전투의 승패의 결정 351 제8장 전투에 대한 양쪽의 합의 360 제9장 주력 전투 366 제10장 계속 374 제11장 계속 381 제12장 승리를 이용하는 전략적인 수단 389 제13장 전투에서 패배한 후의 후퇴 403 제14장 야간 전투 408 제5편 전투력 417 제1장 개요 419 제2장 군대, 전쟁터, 원정 420 제3장 병력의 비율 424 제4장 병과의 비율 429 제5장 군대의 전투 대형 442 제6장 군대의 일반적인 배치 450 제7장 전위와 전초 459 제8장 전진 부대의 행동 방식 470 제9장 야영 476 제10장 행군 479 제11장 계속 489 제12장 계속 495 제13장 사영 500 제14장 식량 조달 509 제15장 작전 기지 531 제16장 병참선 537 제17장 지형 542 제18장 고지 548 제6편 방어 553 제1장 공격과 방어 555 제2장 전술에서 공격과 방어의 관계 560 제3장 전략에서 공격과 방어의 관계 566 제4장 공격의 집중성과 방어의 분산성 572 제5장 전략적인 방어의 성격 577 제6장 방어 수단의 범위 580 제7장 공격과 방어의 상호 작용 591 제8장 저항의 유형 594 제9장 방어 전투 614 제10장 요새 620 제11장 앞 장의 계속 633 제12장 방어 진지 641 제13장 요새 진지와 보루 진지 648 제14장 측면 진지 659 제15장 산악 방어 665 제16장 계속 675 제17장 계속 690 제18장 하천 방어 697 제19장 계속 719 제20장 A. 습지 방어 723 B. 범람지 727 제21장 삼림 방어 736 제22장 초병선 738 제23장 나라의 관문 743 제24장 측면 행동 749 제25장 나라 안으로 하는 후퇴 769 제26장 인민 무장 투쟁 786 제27장 전쟁터의 방어 794 제28장 계속 800 제29장 계속. 점차적인 저항 818 제30장 계속. 결전을 하지 않는 경우에 전쟁터의 방어 822 제7편 공격(초안) 861 제1장 방어와 갖는 관계에서 본 공격 863 제2장 전략적인 공격의 성질 865 제3장 전략적인 공격의 대상 869 제4장 공격력의 감소 871 제5장 공격의 정점 873 제6장 적의 전투력의 파괴 875 제7장 공격 전투 877 제8장 도하 880 제9장 방어 진지의 공격 884 제10장 보루 진지의 공격 886 제11장 산악 공격 888 제12장 초병선의 공격 892 제13장 기동 894 제14장 습지, 범람지, 숲의 공격 898 제15장 결전을 하는 경우에 전쟁터의 공격 901 제16장 결전을 하지 않는 경우에 전쟁터의 공격 906 제17장 요새의 공격 911 제18장 수송대에 대한 공격 917 제19장 사영에 있는 적군의 공격 921 제20장 견제 929 제21장 침략 934 승리의 정점 935 제8편 전쟁 계획 947 제1장 머리말 949 제2장 절대 전쟁과 현실 전쟁 952 제3장 A. 전쟁의 내부적인 연관성 957 B. 전쟁의 목적과 노력의 정도 962 제4장 전쟁 목표의 자세한 정의. 적을 쓰러뜨리는 것 978 제5장 계속. 제한된 목표 988 제6장 A. 전쟁의 목표에 미치는 정치적인 목적의 영향 991 B. 전쟁은 정치의 수단이다 994 제7장 제한된 목표. 공격 전쟁 1004 제8장 제한된 목표. 방어 1008 제9장 적을 쓰러뜨리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전쟁 계획 1015 찾아보기 1061 후기 1125